• Title/Summary/Keyword: black-oxide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초

SOFC용 다공성 NiO-YSZ 음극소재의 강도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rength in NiO-YSZ Porous Anode Material for Solid Oxide Fuel Cell)

  • 이기성;서두원;유지행;우상국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1-248
    • /
    • 2003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음극소재로 사용되는 다공성 NiO-YSZ 소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Y_2$O$_3$첨가제의 양 및 기공전구체로 첨가되는 탄소첨가제의 종류를 변화시켰으며, 이에 따른 기계적 강도와 기공율,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Y_2$O$_3$첨가제의 양은 8 mol%와 10 mo1%로 각각 변화시켰으며, 기공전구체는 활성탄과 카본블랙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카본블랙을 기공전구체로 사용하였을 경우 활성탄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상대적으로 고온의 소결온도에서 제조된 10 mo1%의 $Y_2$O$_3$가 첨가된 NiO-YSZ 음극소재가, 8 mol%가 첨가된 소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10 mo1%의 $Y_2$O$_3$와 카본블랙이 첨가된 음극소재는 전기전도도 값에 있어서도 $700^{\circ}C$~10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10^2$~$10^3$S/cm의 양호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Surface Renewable Hydrogen Ion-Selective Polymeric Composite Electrode Containing Iridium Oxide

  • Quan, Hongmei;Kim, Won;Chung, Koo-Chun;Park, Jong-M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10호
    • /
    • pp.1565-1568
    • /
    • 2005
  • A surface renewable pH electrode was prepared by utilizing composite electrode technique. Iridium oxide micro-fine particles was prepared by hydrolysis of $(NH_4)_2IrCl_6$ at elevated temperature. The iridium oxide particles were mixed with well-dispersed carbon black and then filtered. The mixture was suspended in DMF containing PVC as a binder. The mixture was precipitated rapidly by adding large amount of water. The precipitate was ground and pressure-molded to iridium oxide composite electrode material. The electrode showed linear response between pH 1-13 with 50 to 60 mV/pH slope. The electrode maintained the pH response without appreciable slope drift for 170 days if stored in deionized water. The electrode surface can be renewed reproducibly by simple grinding process whenever contaminated or deactivated.

인장하중하에서의 고분자/거친금속 계면의 파손에 대한 비교연구 II: 접착모델 (Comparative Study on the Failure of Polymer/Roughened Metal Interfaces under Mode-I Loading II: Adhesion Model)

  • 이호영;김성룡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3
    • /
    • 2005
  • Copper based leadframe sheets were immersed in two kinds of hot alkaline solutions to form brown-oxide or blackoxide layer on the surface. The oxide-coated leadframe sheets were molded with epoxy molding compound (EMC). After post mold curing, the oxide-coated EMC-leadframe joints were machined to form sandwiched double-cantilever beam (SDCB) specimens. The SDCB specimens were used to measure the fracture toughness of the EMC/leadframe interfaces under quasi-Mode I loading conditions. After fracture toughness testing, the fracture surface were analyzed by various equipment to investigate failure path. An adhesion model was suggested to explain the failure path formation. The adhesion model is based on the strengthening mechanism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dhesion model. The explanation of the failure path with the proposed adhesion model was introduced in the companion paper.

국내외 홍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 효과 (Antioxidant and nitric oxide inhibition effect of domestic and foreign fermented black tea extracts)

  • 문교하;김경지;이유림;김종철;심두보;정강현;이권재;안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54-46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홍차 3종과 외국산 홍차 7종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의 항염증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국내산 홍차인 보성에서 총 폴리페놀(330.13 mg GAE/g)과 탄닌(285.65 mg TAE/g)의 함량을 보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제주(590.11 mg CE/g)가 외국산 홍차와 유사하게 높은 함량을 보였다. 테아닌 함량은 국내산 홍차인 하동(651.50 mg%)이 외국산 홍차보다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과 환원력은 25 ㎍/mL 농도에서 보성 홍차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5 ㎍/mL 농도에서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제주(63.89%), 보성(59.73%)과 하동(52.76%)에서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대식세포에서의 세포보호 효과는 50-100 ㎍/mL 농도의 모든 홍차 추출물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고 200 ㎍/mL 농도에서는 보성이 98.22%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보여주었다. 세포 내 NO 생성 억제 활성은 국내산 하동, 제주와 보성 홍차의 모든 농도에서 외국산보다 높은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다. LPS에 의해 염증이 유발된 대식세포에서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여 50 ㎍/mL의 보성홍차 추출물에서 SOD-1 발현이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1.39배 증가하였다. 또한, GST발현은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보성과 제주 홍차 추출물에서 각각 1.52배와 1.46배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홍차와 외국산 홍차를 비교 평가한 결과 보성과 제주 홍차 추출물의 항산화 단백질 발현은 폴리페놀이나 플라보노이드 성분과 밀접하게 관여한 것으로 보이며 하동 홍차의 NO 생성 억제 활성은 높은 테아닌 함량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국내산 홍차 추출물인 보성, 제주와 하동 홍차가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의 가능성이 있다고 보인다.

휴대폰 카메라 렌즈 스페이서 적용을 위한 구리의 흑화 (Cu Blackening through CuO Oxidation for the Application of Camera Lens Spacers in Mobile Phones)

  • 이예지;김용하;김창현;원용선
    • 청정기술
    • /
    • 제27권1호
    • /
    • pp.17-23
    • /
    • 2021
  •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 내에 정렬된 카메라 렌즈들은 일반적으로 검은색 폴리머 스페이서(spacer)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이 계속 얇아지고 삽입되는 렌즈의 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고려해볼 때, 렌즈들을 분리해주는 스페이서의 기계적 특성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기존 폴리머 스페이서의 대체재로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구리(Cu) 소재가 고려되고 있는데, 특히 표면에 고유한 흑색 구리(II) 산화물(CuO)을 형성하여 빛의 간섭을 줄이고 플레어(flare) 현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로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과 특허들을 분석 및 정리하여 표준 구리 흑화 공정과 공정 조건을 제시하였다. 전체 공정은 수세(cleaning), 탈산화(deoxidizing), 활성화(activation), 흑화(blackening), 그리고 안정화(sealing)의 단위 공정들로 구성되는데, 각 단위 공정의 온도 및 활성화 용액의 농도 등의 공정 변수가 구리 시료(strip)의 흑화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표준 공정 조건은 색차계로 측정된 구리 시료의 흑화도가 품질 만족(on-spec.) 조건에 부합하는가를 기준으로 결정되었다.

콩깍지 추출물의 항산화·항염·항비만 및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평가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obesity and Estrogen-like Activities of Soybean Pod Extracts)

  • 정은숙;김행란;황유진;장경아;서미경;추한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49-660
    • /
    • 2021
  • In this study, soybean pods of 45 soybean landraces (or varieties) were classified as yellow (19 samples), black (23 samples), or black in green (3 samples) based on soybean seed coat colo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and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obesity, and estrogen-like activities were assesse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ranges were 24.13-108.03 mg GAE/g and 3.31-72.02 mg CE/g, respectively, and were highest in the black group followed by the yellow group and were least in the black in green group, while ABTS and DPPH activities followed the order black in green > black > yellow. Estrogen-like and estrogen receptor-α activity ranges were 29.06-35.58 pg/mL and 7.05-10.13 pg/mL and were followed the order yellow > black > black in green and black in green > yellow > black, respectively. Nitric oxide (NO) inhibitory and UCP-1 activities followed the same order as estrogen receptor-α activities. Our findings suggest that soybean pods are excellent sources of antioxidants and high-quality functional materials.

효소 처리에 의한 흑미 호분 추출물의 산화방지와 항염증 활성 증진 (Improvement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leurone layer extracts of black rice (Oryza sativa L.) by enzyme treatment)

  • 이미경;유수인;이민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28-5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흑미 호분을 실험소재로 선택하여, 흑미 호분에 효소(lipase, lecitase, lipopan)를 처리함으로써 산화방지와 항염증활성을 증진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해보고자 DPPH 라디칼 제거능과 ABTS 라디칼 제거능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효소 처리군이 무 처리군에 비해 산화방지 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라이페이스를 처리한 후 추출한 시료에서 산화방지활성 증진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총 안토사이아노 사이드 함량 측정 결과와 일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산화방지 활성의 증가에서 라이페이스의 작용이 흑미 호분 겉면의 지방 분해를 도와 산화방지능과 관련된 유효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추출한 것으로 생각된다.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효소처리한 흑미 호분 추출물(OLAE)과 LPS를 함께 처리하여 RAW 264.7 세포가 생산하는 NO의 양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측정해 보았다. 효소 처리를 한 경우, 라이페이스와 lecitase를 연이어 처리한 경우의 시료에서 NO의 생성이 억제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TNF-{\alpha}$, IL-6)의 분비량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항염증 활성의 증진은 두 가지의 효소를 처리하는 과정 중에 일어나는 유효성분의 변화 또는 성분의 전환이 되었기 때문이라 여겨지며, 이를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는 부산물로 버려지는 흑미 호분을 효소 처리 과정을 이용하여 만든 흑미 호분층 추출물(OLAE)로 활용하면 유용하고 안정하고 효과적인 산화방지 및 항염증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로 가능함을 제시할 수 있다.

Black ginseng-enriched Chong-Myung-Tang extracts improve spatial learning behavior in rats and elicit anti-inflammatory effects in vitro

  • Saba, Evelyn;Jeong, Da-Hye;Roh, Seong-Soo;Kim, Seung-Hyung;Kim, Sung-Dae;Kim, Hyun-Kyoung;Rhee, Man-He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2호
    • /
    • pp.151-158
    • /
    • 2017
  • Background: Chong-Myung-Tang (CMT) extract is widely used in Korea as a traditional herbal tonic for increasing memory capacity in high-school students and also for numerous body ailments since centuries. The use of CMT to improve the learning capacity has been attributed to various plant constituents, especially black ginseng, in it.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first investigated whether black ginseng-enriched CMT extracts affected spatial learning using the Morris water maze (MWM) test. Their molecular mechanism of action underlying improvement of learning and memory was examined in vitro. Methods: We used two types of black ginseng-enriched CMT extracts, designated as CM-1 and CM-2, and evaluated their efficacy in the MWM test for spatial learning behavior and their anti-inflammatory effects in BV2 microglial cells. Results: Our results show that both black ginseng-enriched CMT extracts improved the learning behavior in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 in the water maze test. Moreover, these extracts also inhibit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BV2 cells, with significant suppression of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especially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and $interleukin-1{\beta}$. The protein express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nuclear $factor-{\kappa}B$ pathway factors was also diminished by black ginseng-enriched CMT extracts, indicating that it not only improves the memory impairment, but also acts a potent anti-inflammatory agent for neuroinflammatory diseases. Conclusion: Our research for the first time provides the scientific evidence that consumption of black ginseng-enriched CMT extract as a brain tonic improves memory impairment. Thus, our study results can be taken as a reference for future neurobehavioral studies.

Anti-neuro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pa L.)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BV2 cells and ICR mice

  • Lee, Kang Pa;Choi, Nan Hee;Kim, Hyun-Soo;Ahn, Sanghyun;Park, In-Sik;Lee, Dea 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1호
    • /
    • pp.13-19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One of the mechanisms considered to be prevalent in the development of Alzheimer's disease (AD) is hyper-stimulation of microglia.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pa L.) is widely used to treat diabetes and atherosclerosis, and is known to exer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its neuroprotective effects have not been elucidated thus far. MATERIALS/METHODS: We undertook to asses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ethanolic extract of black chokeberry friut (BCE) in BV2 cells, and evaluate its neuroprotective effect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mouse model of AD. RESULTS: Following stimulation of BV2 cells by LPS, exposure to BCE significantly reduced the generation of nitric oxide as well as mRNA levels of numerous inflammatory factor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 2 (COX-2), interleukin 1 beta ($IL-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In addition, AD was induced in a mouse model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LPS ($250{\mu}g/kg$), subsequent to which we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BCE (50 mg/kg) on brain damage. We observed that BCE significantly reduced tissue damage in the hippocampus by downregulating iNOS, COX-2, and $TNF-{\alpha}$ levels. We further identified the quinic acids in BCE using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Furthermore, we confirmed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BCE and quinic acid on amyloid beta-induced cell death in rat hippocampal primary neurons.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black chokeberry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development of AD.

코스메슈티컬 적용을 위한 흑호두 과피의 생리학적 연구 (Physiological Study of the Extract of Junglans nigra Shells for the Cosmeceutical Application)

  • 이현주;옥승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9-36
    • /
    • 2021
  • 천연물 중 시판되지 않고 대부분 버려지는 흑호두(Juglans nigra) 과피를 추출하여 화장품 적용 가능성과 생리 활성 및 효능을 조사하였다. 흑호두 과피 열수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00㎍/mL에서 76.06%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00 ㎍/mL에서 61%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흑호두 과피 추출물을 피부 각질 세포인 HaCaT 세포에 적용했을 때 250 ㎍/mL에서 92.6%로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히 낮았고 500 ㎍/mL 농도에서 67.35%의 nitric oxide(NO) 생성이 억제되었으며 100 ㎍/mL 농도에서 비타민 C보다 31배 더 높은 Hyaluronidase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흑호두 과피 추출물은 코스메슈티컬 응용 및 식품, 향료, 헬스 케어, 제약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고부가 가치 천연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