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porgy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담수 사육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수온 상승에 따른 HSP90, HSP70 mRNA의 발현 및 혈장 cortisol과 glucose 변화 (Expression of HSP90, HSP70 mRNA and Change of Plasma Cortisol and Glucose During Water Temperature Rising in Freshwater Adapted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최철영;민병화;김나나;조성환;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5-3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담수사육 감성돔을 대상으로 수온을 상승시켰을 때, 세포적 스트레스 측면에서 HSP90 및 HSP70 mRNA의 발현 정도를, 신경-내분비적 스트레스 측면에서 혈장 cortisol 및 glucose 농도를 조사하였다. RT-PCR법을 이용하여 생식소로부터 HSP90 (891 bp) 및 HSP70 (465 bp) cDNA 단편을 클로닝 하여, 타 종과 그 상동성을 비교해 본 결과, 감성돔 HSP90은 참돔 HSP90과 99%, 무지개송어 HSP90과 95%, 대서양 연어HSP90과 94%, zebrafish HSP90과 94%로 나타났으며, 감성돔 HSP70은 무지개송어 HSP70과 96%, silver seabream HSP70과 95%, zebrafish HSP70과 95%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감성돔의 사육수온을 $30\;^{\circ}C$로 상승시켰을 때, HSP90 mRNA는 모든 조직에서 그 발현 정도가 $20\;^{\circ}C$ 실험구에 비하여 $7{\sim}9$배 정도 높았으나, HSP70 mRNA는 생식소에서만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 cortisol 및 glucose 농도는 $20\;^{\circ}C$ 실험구에 비하여 $30\;^{\circ}C$ 실험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Photoperiod, Temperature, and Fish Size on Oxygen Consumption in the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Chang Young Jin;Jeong Min Hwan;Min Byung Hwa;Neill William H.;Fontaine Lance P.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3호
    • /
    • pp.142-150
    • /
    • 2005
  • The effects of photoperiod, temperature, and fish size on oxygen consumption (OC) in the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a euryhaline marine teleost, were studied using a closed recirculating seawater system with a respiratory chamber. Fish reared in indoor recirculating seawater tan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mall (15.7-55.8 g, mean 38.1$\pm$15.9 g) and large (108.7-238.8 g, mean 181.8$\pm$54.9 g) fish. The OC of the fish showed a clear diel rhythm, with higher values in the daytime and lower values at night, in accordance with light (09:00-20:59 h) and dark (21:00-08:59 h) cycles. The OC of the fish increased linearly with the water temperature. The OC was the highest at 10:00 h, one hour after the onset of daylight and was the lowest at 03:00 h, six hours after dusk. The average OC at $20^{\circ}C$ during the light period was as high as 219.8 mg $O_2$/kg/h in the small fish and 156.3 mg $O_2$/kg/h in the large fish, while during the dark period it was as low as 130.5 and 110.4 mg $O_2$/kg/h, respectively. The OC during the dark period, which showed limited variation, could be regarded as the resting OC, and was 107.6, 130.5, and 219.8 mg $O_2$/kg/h at 15, 20, and $25^{\circ}C$, respectively, in small fish, and 52.3, 110.4, and 171.0 mg $O_2$/kg/h in large fish. As the body weight of black porgy increased, the OC decreased exponentially and the relationship was expressed as OC=1,222.8$BW^{-0.567}$, OC=1,113.2$BW^{-0.448}$, and OC=1,495.3$BW^{-0.468}$ at 15, 20, and $25^{\circ}C$, respectively. At a fish density of 14.5 g/L at $20^{\circ}C$, black porgy had the highest OC per breath compared to fish at the same density at 15 or $25^{\circ}C$. This suggests that the black porgy responds to the stocking density (15 kg/$m^3$) and water temperature ($20^{\circ}C$) conditions commonly observed in intensive aquaculture with the deepest breath and the highest metabolic activity.

담수 및 해수에서 순화 사육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생리상태 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Conditions o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Acclimated and Reared in Freshwater and Seawater)

  • 민병화;최철영;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44
    • /
    • 2005
  • 해산어류의 담수순화 양식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감성돔을 재료로 하여 담수와 해수에서 90일간 사육하였을 때, 어체의 생리상태를 스트레스, 삼투압조절, 성장 및 생존율 측면에 서 조사 비교하였다. 스트레스 측면에서 담수돔과 해수돔의 혈장 cortisol농도의 경우 60일째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실험종료시에는 각각 12.6$\pm$5.0 ng/ml, 4.5$\pm$2.9 ng/ml로 담수돔이 해수돔보다 높았지만 안정시의 농노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투압조절 측면에서 담수돔과 해수돔의 삼투질농도의 범위는 각각 346.7$\pm$4.6$\~$356.5$\pm$2.1 mOsm/kg, 350.0$\pm$2.0$\~$351.0$\pm$2.6 mOsm/kg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한 아가미 조직의 손상이나 세포의 괴사도 관찰되지 않았다. 성장 및 생존율 측면에서 실험종료시 담수돔과 해수돔의 전장은 각각 17.0$\pm$1.3 cm, 16.1$\pm$0.8, 체중은 각각 88.2$\pm$22.0 g, 69.4$\pm$11.8 g, 생존율은 각각 $80.2\%$, $73.7\%$로 담수돔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증중률 등의 성장관련 요인과 체성분의 조성면에서도 담수돔과 해수돔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GTH$\beta$ 유전자 발현 및 성스테로이드 합성에 미치는 GnRHa의 효과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ue (GnRHa) on Expression of the Gonadotropin Subunit Gene and on Synthesis of the Sex Steroids i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최철명;민병화;장영진;박인석;조성환;안광욱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3-298
    • /
    • 2005
  • RT-PCR을 이용하여 감성돔의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FSH$\beta$와 LH$\beta$ cDNA를 각각 cloning하였다. GenBank를 이용하여 FSH$\beta$와 LH$\beta$ 아미노산 배열과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감성돔 FSH$\beta$는 참돔 FSH$\beta$$83.3\%$, snakehead fish FSH$\beta$$79.2\%$ 및 striped bass FSH$\beta$$76.0\%$의 상동성이 나타났으며 , 감성돔 LH$\beta$는 yellowfin seabream LH$\beta$$97.7\%$, 참돔 LH$\beta$$96.2\%$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1년생 수컷 감성돔에 GnRHa를 처리한 후,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GTH subunit mRNA의 농도와 혈중 T및 혈중 $E_2$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GnRHa를 체중 g당 $0.2\;{\mu}g$으로 복강 주사한 후 0, 6, 12, 24 및 48시간제에 뇌하수체와 혈액을 샘플링한 결과, 호르몬 처리 후 6시간째에 FSH$\beta$ mRN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LH$\beta$ mRNA 발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혈중 T와 혈중 $E_2$ 농도는 GnRHa처리 후 24시간째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성 스테로이드 및 생식소 발달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 ($T_3$)의 영향 (Effects of 3,5,3'-triiodo-L-thyronine ($T_3$) on Sex Steroid Levels and Gonadal Development i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민병화;노경언;정민환;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15-22
    • /
    • 2005
  • 웅성 선숙형 해산 어류인 감성돔에게 $T_3$를 경구 투여하여 성스테로이드인 testosterone(T), $estradiol-17{\beta}(E_2)$ 및 cortisol 수준의 변화와 생식소 발달을 조사하였다. 외인성 $T_3$는 사육 60일째 감성돔의 혈장 T의 수준을 유의하게 상승시켰으나, 혈장 $E_2$ 및 난모세포의 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T_3$ 처리는 생식소 내 정소 발달과 정자 형성과정을 촉진시켰으며, 정자 방출 기간을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_3$를 처리한 실험구에서 60일째에 혈장 cortisol 수준이 대조구에 비하 여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서 외인성 $T_3$는 T와 cortisol 분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능적 수컷의 생식소 발달에 있어 직 간접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해수 및 담수사육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호흡측정실내 수용개체수에 따른 산소소비 비교 (Effect of Fish Number in Respiratory Chamber on Routine Oxygen Consumption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Reared in Seawater or Freshwater)

  • 정민환;김영수;민병화;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1-126
    • /
    • 2007
  • 밀폐순환 유수식 산소소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해수 및 담수에서 사육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개체수에 따른 산소소비 경향을 조사하였다. 해수 및 담수순화된 평균체중 36.4 g의 감성돔을 각각 1마리와 3마리 그룹으로 나누어 수온(15, 20, $25^{\circ}C$), 광주기(12L:12D)를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모든 실험조건에서 감성돔은 명기동안에 산소소비량이 많고, 암기동안에는 적은 뚜렷한 리듬을 보였으며, 수온상승과 비례하여 산소소비량이 증가하였다. 감성돔의 호흡수는 담수돔 보다 해수돔이 많았으며, 수온상승과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수온 15, 20, $25^{\circ}C$에서 개체수가 1마리일 때 해수돔의 산소소비량은 각각 140.0, 174.8, 282.3 mg $O^2{\cdot}kg^{-1}{\cdot}h^{-1}$, 담수돔은 177.5, 307.8, 413.1 mg $O^2{\cdot}kg^{-1}{\cdot}h^{-1}$로 해수돔에 비해 담수돔의 산소소비량이 많았다. 그러나 개체수가 3마리일 때는 해수돔 각각 200.5, 274.7, 339.1 mg $O^2{\cdot}kg^{-1}{\cdot}h^{-1}$, 담수돔 177.5, 307.8, 413.1 mg $O^2{\cdot}kg^{-1}{\cdot}h^{-1}$로 담수돔 보다 해수돔의 산소소비량이 많았다.

염분 변화에 따른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Prolactin Receptor(PRLR) mRNA 발현 및 생리적 반응 (Expression of Prolactin Receptor mRNA and Blood Physiological Responses to Salinity Changes in the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안광욱;민병화;박인석;허윤성;최용기;조필규;장영진;최철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3-6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담수적응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아가미로부터 전장의 PRLR cDNA를 분리하였다. 감성돔 PRLR은 1,611개의 염기로 구성되어져 있었으며, 536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었다. 염분 변화에 따른 감성돔의 삼투압 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RT-PCR을 이용하여 삼투압 조절기관인 아가미, 신장 및 장에서 PRLR mRNA의 발현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아가미와 장에서 PRLR mRNA의 발현은 10 psu 해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완전한 담수 환경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장에서는 PRLR mRNA의 발현량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담수에 적응시 혈장 삼투질 농도 및 $Na^+,\;Cl^-$ 이온 농도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PRLR이 감성돔의 담수적응시 삼투압 조절 기관에서 호르몬의 조절과 관련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가능성과 저염분 환경에서 감성돔의 고삼투압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성돔 Mylio macrocehalus (Basilewsky)의 난 및 부화자어의 특성에 대하여 (ON THE CHARACTERISTICS OF EGGS AND LARVA OF MYLIO MACROCEPHALUS (BASILEWSKY))

  • 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33-250
    • /
    • 1970
  • 감성들의 난과 부화자어의 특성 및 활력에 대카여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성돔의 완숙난은 한개의 유구를 가진 투명하고 구형인 분리부성난이며, 난경은 $0.81\~0.96mm$의 범위이며 유구경은 $0.20\~0.23mm$이다. 2) 감성돔의 수정난은 애정후 3시간 50분만에 부화하고, 부화자어의 크기는 전장이 1.57mm이며, 특히 부화직후의 난황상에는 한점의 색소세포도 존재하지 않는다. 3) 감성돔의 친어별 완숙난의 크기는 대소 2형으로 구분되는데, 소형난의 경우 난경은 최소 0.811mm, 최대 0.873mm이고, 대형난에 있어서는 최소 0.874mm 최대 0.963mm이다. 4) 감성돔의 부화율은 대형난이 $78.63\~95.19\%$, 소형난이 $68.84\~74.80\%$이며, 대형난의 경우가 성적이 좋았다. 따라서 전체 수정난의 평균 부화율은 $79.80\%$였다. 5) 감성돔의 부화에 필요한 부화적온은 $20\~26^{\circ}C$의 범위이며, 고수온에 있어서의 부화가능한계온도는 $26.71\~28.56^{\circ}C$ 전후이다. 6) 감성돔의 부화자어의 전장은 난경과는 병행관계를 이루지 않고, 대형자어는 $1.976\~2.225mm$의 범위이며, 소형자어는 $1.526\~1.90mm$의 범위에 있다. 7) 감성돔의 부화자어의 난황경은 $0.878\~0.979mm$의 범위이다. 8) 감성돔의 부화자어의 초기생잔율은 무투이상태에서 5일간을 기준으로 볼 때 최소 $13.71\%$, 최대 $79\%$로 평균초기생잔율 $48.3\%$였다. 9) 이상과 같은 감성동의 부화자어의 생물학적 특성 및 활력으로 볼 때 인공종자의 대량생산의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사료되지만 기초이료를 위주로 한 사육실험의 결과등이 보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담수순화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의 정액특성 및 정자운동성 (Properties of Semen and Sperm Motility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i Acclimated in Freshwater)

  • 정민환;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2호
    • /
    • pp.151-158
    • /
    • 2011
  • 장기간 담수순화 사육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BFW) 정액의 화학적 특성과 염분 및 이온조성에 따른정자활성을 해수사육 감성돔(BSW) 정액과 비교하였다. BFW 정장의 화학적 특성은 대부분의 요인에서 BSW 정장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삼투질농도는 각각 $307.0{\pm}4.6$, $337.3{\pm}10.1$ mOsm/kg으로 차이를 보였다. 염분에 따른 BFW 및BSW의 정자운동성는 0 psu에서는 운동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10 psu에서 낮은 운동성과 짧은 정자 운동지속시간을 보였다. 그러나 20, 32 psu에서는 높은 운동성과 긴 정자 운동지속시간 보였다. BFW와 BSW 정자의 SAI는 이온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삼투질농도에 의존하여 변화하였으며, 인공해수와 비슷한 농도에서 높았다. 결론적으로 장기간 담수에서 사육한 감성돔의 정자의 운동개시요인은 환경수의 삼투질농도가 좌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료내 다시마(Laminaria japonica) 첨가에 따른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의 성장, 체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Plasma Chemistry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조성환;민병희;이진영;이상윤;김하나;안신홍;나경석;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59-564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source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plasma chemistry of juvenile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Juvenile fish (N=810; average mass=8.9 g) were distributed among twenty-seven 200 L flow-through tanks (30 fish per tank). Nin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control (Con) without additives; sea tangle powder at 0.1%, 0.5%, 1%, 2%, 3% and 5%, (P-0.1, P-0.5, P-1, P-3 and P-5 diets, respectively); and fresh sea tangle (F-1); and 1% sea tangle extract (E-1). Each powdered additive was substituted for an eqaul amount of wheat flour, and the extract was substituted for an equal amount of water in the respective experiemtnal diets. Each diet was fed to triplicate groups of fish.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not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Feed consumption by fish fed the P-1 diet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P-3 and P-5 diets.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whole-body ash content (excluding the liver), liver moisture, and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s of fish were not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None of the fish plasma criteria were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with the exception of plasma glucose. In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sources of sea tangl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growth, feed efficiency, body composition or plasma chemistry of juvenile black po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