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enthic environment

Search Result 461, Processing Time 0.194 seconds

논 생태계 내 유기농법 재배 지역과 관행농법 재배 지역의 저서무척추동물군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enthic Invertebrat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Field)

  • 한민수;남형규;강기경;김미란;나영은;김혜림;김명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23
    • /
    • 2013
  • 최근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소비자들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생산성 증대에서 환경 보전에 기여하는 농업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유기농법과 관행농법과 같은 재배 방식의 차이는 생물 서식지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실제 유기농업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두 농법에 따른 생물다양성 차이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기농법 지역과 관행농법 지역의 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기간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였고 11개 지역을 조사 대상지로 하였다. 영농방법에 따라 개체수, 종수, 종구성 특성을 비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은 유기농법 지역에서 훨씬 많은 개체수와 종수가 기록되었으며, 종수와 개체수의 범위도 관행농법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산림 지역으로 둘러싸인 지역에서 유기농법으로 재배할 경우 다른 경관적 요소로 둘러싸인 지역보다 저서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종다양성을 유지 또는 회복하기 위해서 농약과 같은 화학물질의 사용을 제한해야 하며, 특히, 산간 지역의 논생태계에서 유기농법으로 벼를 재배할 경우 저서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영흥도 조간대 갯벌 저서미세조류의 생태적 중요성; 안정동위원소 분석 활용 (Ecological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in the Intertidal Mud Flat of Yeongheung Island; Application of Stable Isotope Analysis (SIA))

  • 강수진;최보형;한용진;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49권2호
    • /
    • pp.80-88
    • /
    • 2016
  • 영흥도 인근 갯벌의 저서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고, BMA가 저서동물에 대한 먹이원으로써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저서동물 (이매패류, 갑각류, 복족류, 어류)과 먹이원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먹이원의 후보인 POM, BMA, 잘피 (Z. marina)와 해조류의 탄소 안정동위원소비는 -26.5‰에서 -8.4‰로 넓은 범위를 보였으며, 저서동물의 탄소 안정동위원소비는 -17.8‰에서 -12.1‰로 먹이원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범위 내에 존재하였다. 해조류 중 녹조류와 SOM을 제외한 먹이원의 질소 안정동위원소비 ($5.7{\pm}1.0$‰)는 저서동물($11.8{\pm}1.9$‰)에 비하여 가벼운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하여 저서동물은 세 그룹으로 나누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각 그룹 내 저서동물의 먹이원 및 생태적 지위가 유사함을 의미한다. 또한 각 그룹에 대한 BMA의 먹이 기여도가 매우 큰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서 영흥도 조간대 갯벌 생태계에 있어 BMA가 가장 기초적인 생물자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영 인근 가두리 양식장 지역의 저서동물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Fauna under Marine Fish Culture Cages near Tong-yong, Southern Coast of Korea)

  • 박흥식;최진우;이형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00
  • 본 조사는 1995년 8월부터 1996년 2월까지 계절별로 3차례에 걸쳐 통영주변 가두리 밑의 환경 및 저서동물 군집조사를 통해 가두리 운영에 따른 저서생물 군집구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지역의 가두리 밑은 주변 해역과 유사한 퇴적상과 용존산소량을 나타낸 반면 높은 유기물 함량을 나타냈다. 종 수의 경우 가두리 밑이 대조구에 비해 적었지만 서식밀도에서는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가두리 밑의 경우 Capitella capitata 와 Nebalia bipes등이, 대조구의 경우 Lumbrineris longifolia와 Amphioplus sp.가 우점 종을 나타냈다. 특히 가두리 밑에서는 Asterina pectinifera와 Asterias amurensis 등 표서성 초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양도에서 가두리 밑은 계절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 대조구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군집구조에서 가두리 밑과 대조구는 상이한 구조를 나타냈다. 본 조사결과 가두리 양식은 유기물 증가와 시설물에 의한 유해 패각 가입 등 생물학적 영향에 의해 가두리 밑 저서환경과 저서동물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lonization and community changes in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Cheonggye Stream, a restored downtown stream in Seoul, Korea

  • Shin, Il-Kwon;Yi, Hoon-Bok;Bae, Yeon-J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2호
    • /
    • pp.175-191
    • /
    • 2011
  • Colonization patterns and community changes in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Cheonggye Stream, a functionally restored stream in downtown Seoul, Korea, were studied from November 2005 to November 2007.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quantitatively sampled 15 times from five sites in the stream section. Taxa richness (59 species in total) increased gradually over the first year, whereas the density revealed seasonal differences with significantly lower values in the winter season and after flood events.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fauna may have drifted from the upstream reaches during floods and from the Han River, arrived aerially, or hitchhiked on artificially planted aquatic plants. Oligochaeta, Chironommidae, Psychodidae, and Hydropsychidae were identified as major community structure contributors in the stream. Swimmers and clingers colonized relatively earlier in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whereas burrowers dominated particularly in the lower reaches. Collector-gatherers colonized at a relatively early period throughout the stream reaches, and collector-filterers, such as the net-spinning caddisfly (Cheumatopyche brevilineata), predominated in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after a 1-year time period. Cluster analyses and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 demonstrated that the Cheonggye Stream shares more similarities with the Jungnang Stream than with the Gapyeong Stream.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demonstrated that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depth, current velocity, dissolved oxygen, and pH) as well as nutrients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ous), water temperature, and conductivity could affect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study streams.

진위천의 수질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dices in the Jinwi Stream)

  • 최아름;박선진;김진영;송미영;공동수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상류부터 하류까지 오염도가 상이한 진위천에서 나타나는 생물군집지수와 수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수질의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하루살이류는 감소하였으며, 날도래류는 강부수성 수역에서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반면 환형동물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파리류는 강부수성 수역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상관분석의 결과, 종풍부도지수(RI)와 ESB는 $BOD_5$와 부유물질 (SS)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우점도지수 (DI), 다양도지수(H'), EPT, KSI는 $BOD_5$에만 유의성을 보였고 균등도지수 (J)는 두 항목 모두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EPT의 경우 수질과 더불어 물리적 요인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탁계급치의 평균치로 산정되는 KSI의 경우 유기물 오염에 대한 지표로서 적용성이 높으나 부유물질의 영향은 나타내지 못하는 반면 ESB 지수는 유기물과 무기물 오염은 물론 군집의 다양성과 풍부도도 함께 대변할 수 있는 지표로 판단된다.

연안 해저 피복 분류를 위한 항공 초분광영상의 수심보정 (Water Column Correction of Airborne Hyperspectral Image for Benthic Cover Type Classification of Coastal Area)

  • 신정일;조형갑;김성학;최임호;정규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31-38
    • /
    • 2015
  • 연안 해저 피복 조사에 있어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위성영상과 항공영상과 같은 광학 원격탐사자료는 수심의 영향으로 동일한 해저 피복조건에 대해 다른 반사도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CASI-1500 항공 초분광영상에 대한 수심보정을 통해 연안 해저 피복에 대한 조사 범위 및 정확도 향상이 가능한지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강원도 강릉시 연안으로 갯녹음 현상으로 인해 해저 환경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는 지역이다. 해저면이 모래인 지점을 대상으로 초분광영상에서 추출한 수체 반사율(water reflectance, $R_W$)과 수심 간의 회귀모델을 통해 밴드별 수심보정 계수를 추정하고, 이를 영상 전체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수심보정 전 영상에서 수심 6-7m에 한정하여 판독이 가능하였지만 수심보정 후 수심 15m까지 판독이 가능해지고, 수심에 따른 반사율의 변이가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수심보정을 통해 해저 재질 분류 정확도가 13%p 증가하였다.

어장환경평가의 평가지수 및 등급 산정 방법 소개 (Procedure of the Ecological Index and Rating Calculation Methods for Fishery Environmental Assessment)

  • 박소현;김선영;김연정;홍석진;정래홍;윤상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35-842
    • /
    • 2022
  • 양식장 환경관리를 위하여 여러 나라에서 양식장 환경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어장환경평가가 그중 하나이다. 2013년에 개정된 국내 어장관리법에는 어류가두리양식장 면허를 연장할 때 어장환경평가를 받도록 명시되어 있다. 어장환경평가는 과학적 분석을 통한 평가를 바탕으로 양식장 환경 개선 조치를 실행하여, 지속 가능한 어업생산 조성, 어장 생산력 증가, 어업인의 소득 증가를 목적으로 한다. 어장환경평가의 평가지표는 저서다모류 군집을 기초로 한 생물지수인 저서동물지수(BHI)와 총유기탄소량(TOC)이며, 두 항목을 점수화하여 단일등급으로 산출하여 평가에 사용한다. 본 연구는 어장환경평가지표인 BHI와 TOC의 선정 과정과 산출된 평가 등급의 생태학적 의미를 설명한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 특성에 따른 미소서식처 유형화 (Classification of Microhabitats based on Habitat Orientation Group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 김정우;김아름;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28-735
    • /
    • 2017
  • Many restoration projects are underway to revive disturbed streams.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stream restoration, a variety of microhabitats should be created to promote biological diversity. Research on biological classification of microhabitats is essential for biological diversity. However, research on classification using only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has been carried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quantify the microhabitat of the stream by using macroinvertebrates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eight wadeable streams and four non-wadeable streams were surveyed to identify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se various microhabitats. Among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current velocity, water depth, substrate), the particle size of the substrat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emergence of the Habitat Orientaion Groups. Among the HOGs, clinger and burrower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and showed the opposite tendency. The distribution of clinger and burrower accord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two tendencies based on the current velocity (0.3 m/s) and water depth (0.4 m). In addi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substrate showed three trends (${\leq}-5.0$, -5.0 < mean diameter ${\leq}-2.0$, > -2.0). Based on the abundance tendency of these two HOGs, the micro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nine types, from a eupotamic microhabitat to a lentic microhabitat. Classification of the microhabitats using HOGs can be employed for creating microhabitats to promote biological diversity in future stream restoration plans.

평택시 산업지역 및 농업지역 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수환경평가 (Water Environment Evaluation by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Industrial and Agricultural Areas in Pyeongtaek City)

  • 박오집;배양섭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7-138
    • /
    • 2024
  • 하천 생태계는 농업 및 산업 활동 등 수많은 인간 활동에 영향을 받으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중요한 생물학적 지표로 이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 산업지역의 2개 하천과 농업지역의 2개 하천에 대하여 하천 주변 토지 이용 현황에 따른 하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화학적 수질평가를 위해 수온, 용존산소(DO),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하였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하여 군집분석, BMI 및 ESB를 산정하여 수환경평가를 실시하였다. 수환경평가를 통해 두 지역 하천의 환경 상태를 비교한 결과, 산업지역에 비해 농업지역 하천의 환경 상태가 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인위적인 활동의 차이에 따라 하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정도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