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etles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different diets and temperatures on larval growth of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Kolbe) (Coleoptera: Scarabaeidae)

  • Kim, Hong Geun;Park, Kwan-Ho;Lee, Seokhyun;Kwak, Kyu-Won;Choi, J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1권2호
    • /
    • pp.75-78
    • /
    • 2015
  • The white-spotted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Scarabaeidae),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insect in Korea. Traditionally, it has been regarded as a medicine for preventing liver-related diseases and suppressing liver cancer. Recently, this beetle was enlisted as a temporal food ingredient by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refore, this beetle is focused as a one of the important insects that are commercially reared and sold in Korea. As the economic importance of this beetle is growing, the suitable rearing conditions are needed for more detailed investiga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ree temperature conditions and two food additives, rice chaff and soybean cake, for its effects on the body weight change of third instar larvae of P. brevitarsis. Temperature is a major environmental factor that has tremendous effects on rearing insects. In additions, rice chaff and soybean cake are byproducts of other agri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it is easy to get, and the price is comparatively low. However, they still have meaningful amount of nutrients. With four different kinds of feed and three temperature conditions on the third instar larvae of beetles, the body weight change was tracked for 14 wk. We concluded that 27.5℃ is the optimal temperature to rear the third instar larvae among three temperatures (25, 27.5, and 30℃). Among four different feeds, conventional fermented oak saw dust with rice chaff and soybean cake was the best feed for larval weight gain during 14 wk. However, feed with soybean cake at 30 ℃ was the best condition for rearing P. brevitarsis larvae when temperatures and feeds were compared at the same time.

어류서식처 평가 및 목표종 도입을 통한 하천복원방향 - 부안댐 상류 거석천과 청림습지를 대상으로 - (Stream Restoration Guidelines by Evaluation of Fish Habitat and Introducing of the Keystone Species - Geo-seok Stream and Cheonglim Wetland in Upper Stream of Buan-Dam -)

  • 박선아;이명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4-36
    • /
    • 2008
  • The essence of a natur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is providing habitats for various creatures in terms of the stream's environmental func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problems of natur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by studying streams in terms of habitats for creatures and reviewing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cases on existing natur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As a solution for the above, this research suggests a preservation method for biotope of upper stream areas focusing on the fish biotope area consider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value of the respective stream so that the stream can be preserved as habitats for creature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Cheonglimli Baekcheon region which is an upper stream area of Buan-Dam located in the public park in Byunsanbando, Buangoon, Jeonlabookdo. We suggest the preservation method based on the habitat environment and keystone species of fish. The habitat environment evaluation was carried out mainly being divided into three groups namely, habita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reservoir's features and fish way and the diversity of fish. By improving the problematic elements discovered through such evaluation, it tries to improve the biotope of the stream and continuously preserve the stream. In addition, in order to restore the stream as habitats for various creatures, this research suggests to select keystone species which are suitable for the stream environment and restore the habitats based on the keystone species rather than restoring habitats for all species. Fish not only plays the role of a consumer of Epilithic algae and water beetles but also plays an important ecological role as a food for birds or small mammalia. If such ecologically important biotope for fish is preserved,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stream will be maintained more stably.

알락하늘소 유충의 외부기생 알락하늘소살이고치벌(Spathius ibarakius Belokobylskij et Maeto)의 발견 (Discovery of Spathius ibarakius Belokobylskij et Maeto (Hymenoptera: Braconidae) as a Larval Ectoparasitoid of Citrus Longhorned Beetle in Korea)

  • 김무성;이혜린;구덕서;;;;김일권;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85-291
    • /
    • 2016
  • Spathius exarator의 종 그룹에 속하는 S. ibarakius Belokobylskij et Maeto가 한반도에서 알락하늘소(Anoplophora chinensis)의 1령과 2령 유충에 외부기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란유인목을 이용하여 유리알락하늘소와 알락하늘소의 기생봉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 고치벌이 발견되었다. 이 고치벌의 진단형질과 수컷의 특징, 삽화 및 한반도에 분포하는 종들의 기주목록을 함께 제공하였다.

제습기의 에너지 효율증가를 위한 자연모사기술의 제안 (Improving Efficiency of Dehumidifiers via Nature-Inspired Technology)

  • 윤성진;송경준;박병길;김완두;강상현;이선용;임현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1권2호
    • /
    • pp.211-219
    • /
    • 2013
  • 기후가 무덥고 습해지면서 제습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제습기의 에너지 소비가 크고, 전기제품의 사용 증가로 인하여 전력이 부족하기에 제습기의 사용이 보편화되지 못 하고 있다. 제습기술은 오랜 시간 동안 최적화된 기술로써 기존기술을 바탕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높은 에너지 효율, 즉 소비전력이 낮으면서 제습성능이 높은 제습기의 개발 요구가 계속되고 있고, 그 해답은 자연모사기술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용품인 제습기의 소비전력을 분석하고 자연에서 무동력으로 공기 중의 수분을 포집하는 딱정벌레 등껍질이나 식물들로부터 영감을 얻어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를 살펴보고자 한다.

산불지와 비산불지의 딱정벌레상 비교 (Comparative Study on Beetle Fauna between Burned and Unburned Forest)

  • 권태성;박종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4호통권161호
    • /
    • pp.226-235
    • /
    • 2005
  • 산불로 식생이 전소한 소나무림은 덤불이 우거진 초지로의 식생변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산불 당년에는 인접한 소나무림에 서식하는 곤충들이 이입할 가능성이 높아 초지와 덤불로 구성된 산불피해 임지에 산림성 곤충이 일시적으로 득세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산불 후 1년 동안 피해지에 산림곤충들이 이입하는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1996년 대형산불이 발생한 강원도의 고성지역에서 피해지와 인접한 소나무 숲에서 딱정벌레류의 발생상황을 비교 조사하였다. 산불지는 60종 381개체, 비산불지는 63종 370개체가 채집되어 차이가 없었다. 피해지에서 출현된 딱정벌레 중 개체수가 비교적 많았던 종들은 대부분 인접 산림에서도 채집되었고, 계절별 채집양상이 산불지와 비산불지가 비슷하여 산불초기에 활발한 곤충의 이입을 나타내었다. 서식처별로는 지표보다는 식생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류의 이입이 활발하였다.

유도체화 반응에 의한 현미 중 thiosultap의 분석 (Analysis of Thiosultap in Hulled Rice by Derivatization)

  • 최정희;도정아;윤혜정;박용춘;김재훈;최동미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20
    • /
    • 2010
  • Thiosultap은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nereistoxin계 살충제로 국내에는 등록되지 않아 중국산 농산물 수입시 잔류 농약 안전관리를 위한 시험법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미 중 thiosultap을 염기조건에서 nereistoxin으로 유도체화하여 GC-FPD로 분석하는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산염기 분배를 이용한 정제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확립된 시험법에 의한 정량한계와 직선성을 측정한 결과 각각 0.05 mg $kg^{-1}$과 0.995$(r^2)$이었다. 무처리 현미에 thiosultap 0.5와 2.5 mg $kg^{-1}$을 처리하여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는 $96.1{\pm}7.9\sim100.8{\pm}6.1%$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몇가지 낙엽에서의 궐련벌레, Lasioderma serricorne F.(Coleoptera : Anobiidae),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igarette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F., on several leaf litters)

  • 오명희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57
    • /
    • 2000
  • The feeding preference of cigarette beetles, Lasioderma serricorne F., was tested using various leaf litters. The number of the trapped L. serricome was 45.25$\pm$10.44 at flue-cured leaf tobacco, Nicotiana tabacum L., 23.50$\pm$6.0 at chinese juniper, Juniperus chinensis L., 1l.75$\pm$4.99 at oak, Qqercus acutissiuma C., and 1l.50$\pm$2.52 at rice-straw, (Oryza. sativa L.). The response of oviposition was 93.20$\pm$26.22 at flue-cured leaf tobacco, 53.60$\pm$11.82 at chinese juniper, 48.20$\pm$20.90 at oriental arborvitae, Thuja orientalis L., 31.80$\pm$18.10 at cherry-tree,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M., and 29.40$\pm$13.7 at rice-straw. However, the oviposition was respectively low at gingko, Ginkgo biloba L.,(5.40$\pm$2.97), turf grass, Zoysia japonica S., (5.20$\pm$13.7), and oak (3.00$\pm$l.41). The augmentation was maximum at chinese juniper (27.33$\pm$19.44 of emerged adults) followed by Magnolia obovata (8.50$\pm$9.33). Fifty percent of the tested species leaf litters including cherry-tree did not show any augmentation. The adult activities after hibernation were primarily found in May and June at Kwangju and Suwon, and in April at Chungju. The field activity of L. serricome at Suwon was mostly lower than that at other places, except in August at Chungju. The first appearance of L. serricome was observed earlier at Chungju and Kwangju than at Suwon, and the frequency of insect appearance was high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L. serricome could hibernate by feeding on many kinds of plant leaf litters and it's population could be maintained in the open field in Korea.

  • PDF

감귤해충의 종합방제에 관한 연구 I. 귤응애의 생태와 천적에 관하여 (Studies on the Integrated Control of Citrus Pests I. Bionomics of Citrus Red Mite and Natural Enemies)

  • 김홍선;문덕영;;장영덕;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3
    • /
    • 1978
  • 감귤해충 종합방제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제주도 서귀포에서 1973-1976년까지 4년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귤응애는 7철 중순에서 8철 중순 사이에 11회의 큰 peak를 나타냈다. 2. 한편 관행살포구에서는 7,8월뿐 아니라 9-11월에도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3. 귤응애의 천적으로 Oligota yasumatsui K., Anysits baccarum L., Hemerobiid sp. Semidalis albate E., Orius sp., Agistemus terminalis Q., 무당벌레류 3종 포식응애 1종등 10종이 발견되었다. 4. 귤응애의 년도별 발생경향을 보며 무살포구에서는 매년 감소하는 경향이고 관행살포구에서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살균제로서 석회볼드액과 동수화제 처리구는 귤응애밀도가 높았으나 항생제인 Streptomycin은 낮은밀도였다.

  • PDF

산불지 복원방법과 산불강도가 딱정벌레군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Recovery Method and Fire Intensity on Coleopteran Communities in Burned Forests)

  • 권태성;박영규;이철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67-278
    • /
    • 2011
  • 본 연구는 강원도 고성, 강릉, 삼척의 3개의 산불지에서 딱정벌레군집에 대한 산불강도와 복원방법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4개의 조사지는 산불강도와 복원방법에 의해서 야기된 교란강도(Disturbance Degree, DD)에 따라 각 조사지역에서 선정되었다. 조사지의 교란강도는 미피해지 (DD = 0), 지표화피해지 (DD = 1), 수관화피해지 (DD = 2), 수관화피해 후 인공복원 (DD = 3)로 구분하였다. 함정트랩법으로 채집된 딱정벌레류는 부식자, 식식자와 포식자의 3개 기능군으로 분류되었다. 딱정벌레류의 종수와 풍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비산불지(DD = 0)보다 산불지(DD = 1-3)에서 다소 높았다. 딱정벌레군집은 산불의 강도나 복원방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인공복원과 자연복원 두 방법을 사용한 산불지의 복원은 산불지역에서 딱정벌레군집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풍뎅이붙이과 (딱정벌레목) 한국미기록종 3종에 대한 보고 (Three Species of Histerid Beetles (Coleoptera: Histeridae) New to Korea)

  • 이희아;한태만;이영보;박해철;박일권;신상철;류동표;박상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13-316
    • /
    • 2012
  • 한국의 풍뎅이붙이과(Histeridae)는 6아과 22속 53종이 현재까지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 결과, Niponius osorioceps Lewis, 1885 두뿔풍뎅이붙이(신칭), Plegaderus (Plegaderus) marseuli Reitter, 1877 두가슴풍뎅이붙이(신칭), Trypeticus fagi (Lewis, 1884) 가슴각진풍뎅이붙이(신칭)의 3아과 (2미기록아과) 3미기록속의 3종을 한국미기록종으로 발견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간략한 기재와 중요한 형질 및 전자현미경사진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