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n Beetle Fauna between Burned and Unburned Forest

산불지와 비산불지의 딱정벌레상 비교

  • Kwon, Tae-Sung (Division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Jong-Kyun (Department of Applied Biology, Sangju National University)
  • 권태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 박종균 (상주대학교 생물응용학과)
  • Received : 2005.02.18
  • Accepted : 2005.07.06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The burned pine forest may change into the grassland with bushes. However, it is likely that forest insects immigrated from the adjacent forest may be temporally abundant in the burned fore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immigration of insects for a year since forest fire. Beetle fauna in burned forest was compared with that in unburned forest in Goseong in Gwangwon province where the big fire was occurred and burned 3,762 ha of forest in 1996. The 381 individuals of 60 beetle species was collected from the burned forest, whereas the 370 individuals of 63 beetle species from the unburned for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of beetle fauna between burned forest and unburned forest. Most of abundant beetle species were collected from burned forest as well as unburned forest. Seasonal occurrence of the insects in burned forest were similar to those in unburned forest. These indicate active immigration of insects in burned forest in early season after fire. The beetles dwelling on vegetation were more actively immigrated into burned forest compared with those foraging in ground.

산불로 식생이 전소한 소나무림은 덤불이 우거진 초지로의 식생변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산불 당년에는 인접한 소나무림에 서식하는 곤충들이 이입할 가능성이 높아 초지와 덤불로 구성된 산불피해 임지에 산림성 곤충이 일시적으로 득세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산불 후 1년 동안 피해지에 산림곤충들이 이입하는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1996년 대형산불이 발생한 강원도의 고성지역에서 피해지와 인접한 소나무 숲에서 딱정벌레류의 발생상황을 비교 조사하였다. 산불지는 60종 381개체, 비산불지는 63종 370개체가 채집되어 차이가 없었다. 피해지에서 출현된 딱정벌레 중 개체수가 비교적 많았던 종들은 대부분 인접 산림에서도 채집되었고, 계절별 채집양상이 산불지와 비산불지가 비슷하여 산불초기에 활발한 곤충의 이입을 나타내었다. 서식처별로는 지표보다는 식생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류의 이입이 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성. 1997. 고성산불지역의 소나무고사목에 서식하는 곤충류. 임업정보 75 : 54-56
  2. 권태성, 박영석, 권영한, 송미영, 신상철, 박지두 2004. 항공방제가 소나무림 절족동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2(6): 608-617
  3. 김용상, 홍성길. 1996. 늦봄 또는 초여름에 영동지방에 나타는 '유사 푄' 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2(4) : 593-600
  4. 김 원. 1978. 산불에 의한 소나무 수림의 이차식생에 관하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10: 113-122
  5. 김홍선, 이영인, 이해풍. 1990. 쥐불놀이(논둑태우기)가 해충 및 천적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지 29 (3) : 209-215
  6. 정연숙, 김준호. 1987. 산화가 소나무림의 토양과 유출수의 화학적 성질 및 식물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10(3): 129-138
  7. 박봉규, 김봉희 1981 치악산의 식생과 토양에 미친 산 볼의 영향. 식회지 24: 31-45
  8. 오정수외 159인. 2000. 산불피해지의 건전한 자연생태계 복원 및 항구적인 산림복구계획 수립을 위한 동해안 산불지역 정밀조사보고서 I. 동해안산불피해지 공동조사단. 533pp
  9. 이범영, 정영진. 1997. 한국수목해충. 성안당. 459pp
  10. 이명보외 15인. 2004. 주요 산불피해지약 임목 및 임지 회복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4-07호. 368pp 삼우토탈. 서울
  11. 이진규외 19인. 1997. 제2차년도 고성산불지역 생태조사 결과보고서. 임업연구원, 서울 155pp
  12. 임주훈. 2000. 동해안 산불과 기상.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2) : 62-67
  13. 임주훈, 신수철, 조재형, 정진현, 윤호중, 정용호, 권태성, 이한수, 이상현, 이명보, 오정수. 2003. 산불피해후 생태계 변화 대형산불방지 및 생태계보전 심포지움논문집 100-137. 임업연구원. 자연재해방재기술개발사업단
  14. 최민휴외 60인. 1996. 고성 산불지역 생태조사 결과 보고서. 임업연구원 두솔. 서울. 169pp
  15. Agosti D., J.D. Majer, L.E. Alonso and T.R. Schultz. 2000. Ants, Standard Methods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Biodiversity.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280pp
  16. Borror, D.J., O.M. de Long and C.A. Triplehorn. 1981.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insects (fifth edition). CBS College Publishing. 827pp
  17. Chandler, C., P. Cheney, P. Thomas, L. Trabaud and O. Williams. 1983. Fire in forestry vol. I, Forest fire behavior and effects. 203-253
  18. Hayashi, M., K. Morimoto and S. Kimoto. 1994.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V. Hoikusha Pub. Co. Osaka. 438p. (in Japanese)
  19. Holliday, N.J. 1991. Species responses of carabi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during post-fire regeneration of boreal forest. The Canadian Entomology 123 : 1369-1389 https://doi.org/10.4039/Ent1231369-6
  20. StatSoft. 2001. STATISTICA System reference
  21. Zar, J.H., 1999. Biostatistical Analysis (fourth edition)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