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d soil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8초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시설 고추의 왕겨 혼합 소토양 재배기술 (Green Pepper Cultivation in Mixture Bed of Soil and Rice Hull for Alleviation of Salinity Problems in Plastic Film House)

  • 김진원;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40-344
    • /
    • 2005
  • 수년간 고추를 연작한 비닐하우스에서는 연작 또는 염류집적에 따른 수량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고추의 수량감소를 줄이면서 설치한 비닐하우스의 사용연한을 연장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기존 토양에 왕겨를 혼합한 소토양관비재배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는 관행재배 시험구에 비하여 토양 EC가 $4dS\;m^{-1}$ 이하로 낮아졌으며 두 재배방법 사이에 지상부 생육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뿌리의 발달은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 현저히 좋았다. 특히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는 잔뿌리의 발달이 많았으며 관행재배 시험구에서는 뿌리 양이 적을 뿐만 아니라 굵은 뿌리가 많이 발생되었다. 풋고추 수량은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 43% 정도 증가되었는데, 이는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의 양호한 뿌리 발달이 양분흡수에 기여하였고 결과적으로 수량 증대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초기 단계의 연구결과이며, 소토양관비재배방법이 연작 토양 시설물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을 뿐이다. 소토양관비재배방법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GIS와 RS를 이용한 금강유역 토양침식과 하상변화 연구 (Soil Erosion and river-bed change of the Keum river basin using by GIS and RS)

  • 이진영;김주용;양동윤;남욱현;김진관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0
    • /
    • 2006
  • 자연환경과 인위적 환경변화에 의한 홍수재해는 하상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원격탐사(RS)를 이용하여 유역에서의 토양침식과 하상변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범용토양유실공식 (USLE)을 이용하여 토양침식율을 계산하였다. 공주에서 이포까지 하상지형을 측량하였고, 3차원의 하상변화도를 작성하였다. 1982년에서 2000년까지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금강유역의 하상변동을 추적하였다. 연구결과, 강경일대의 토양침식율은 $1.8\;kg/m^2/$년이며, 하상증가율은 $+5\;cm/m^2/$년으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금강하류의 하상변화는 일정한 비율로 토양침식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하상변동은 주로 금강의 지류와 본류의 접합부 하류일대에서 발생하였다. 금강하류에서 하상변동은 하성 세골재 채취가 하나의 원인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골재채취로 인하여 1991년도에서 1995년도 사이 금강하상 위에 노출된 하상면적의 감소를 초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금강유역 하상을 따라 교량건설, 경작지 조성을 위한 사주개간, 제방과 같은 수중 구조물들 설치는 퇴적물 집적과 퇴적하상의 노출면적 증가를 초래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PD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edling Growth Patterns of Neem (Azadirachta indica A. Juss) under Different Soil Conditions

  • Ghimeray, Amal Kumar;Wu, Jin-Cheng;Sharma, Pankaja;Park, Chol-Ho;Cho, Dong-H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28-534
    • /
    • 2009
  • The study of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Neem under different soil and environment conditions was undertaken. The seed germination started 8 days after sowing in commercial bed soil, whereas, delayed germination was observed in sandy-loam (15 days) and sandy (19 days) soil. The highest germination (73.33%) was observed in commercial bed soil in green house, whereas, the lowest germination was observed in sandy soil (16.67%) and sandy-loam soil (8.33%). The seeds in the open field (sandy soil) also showed poor (10%) germination. The mean number of germination seed/day (GD) and seed germination vigor rate (GV) both were highest in the commercial bed soil with 0.733% and 16.67% respectively in the green house, whereas sandy and sandy-loam soil in green house and open field (sandy soil) all showed much lower GD and GV values. The seedling characteristics of nursery revealed that the seedling grown in the growth chamber in commercial bed soi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he parameters comparing to others grown in green house and open field. The growth was nearly 7 fold in the chamber compared to that of the green house nursery observed in three months old seedlings. Likewise, HPLC analysis revealed that the green house grown seedling contain higher quantity of pigments compare to the chamber grown seedlings. Among the soils used the commercial soil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sandy and sandy-loam soil in the ratio of 2:1:1 respectively with the temperature of $27{\pm}2^{\circ}C$ showed better for Neem nursery preparation.

Bioremediation of Diesel-Contaminated Soil by Bacterial Cells Transported by Electrokinetics

  • LEE, HYO-SANG;KISAY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6호
    • /
    • pp.1038-1045
    • /
    • 2001
  • The electrokinetic technology was applied in bioremediation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a Pseudomonas strain capable of degrading diesel to contaminated soil bed, and their biodegradation of diesel was carried out after a desired cell distribution was obtained. Electrokinetic injection of the strain was made possible because the cells acted as negatively charged particles at neutral pH, and thus the cells were transported with a precise directionality through the soil mostly by the mechanism of electrophoresis and in part by electroosmosis. A severe pH change in the soil bed was formed due to the penetration of electrolysis products, which was harmful to the cell viability and cell transport. To achieve a desirable cell transport and distribution, the control of pH in soil bed by a recirculating buffer solution in electrode chambers was essential during the appliation of an electric field. The judicious selections of electrolyte concentration and conductivity were also important for achieving an efficient electrokinetic cell transport since a higher electrolyte concentration favored the maintenance of pH stability in soil bed, but lowered electrophoretic mobility on the other hand. With electrolyte solution of pH 7 phosphate buffer, a 0.05 M concentration showed a better cell transport buffer, a 0.05 M concentration showed a better cell transport than 0.02 M and 0.08 M. The cell under pH 8 were obtained, compared to the cells under pH 7 or pH 9 in a given time period Up to $60\%$ of diesel was degraded in 8 days by the Pseudomonas cell, which were distributed electrokinetically under the conditions of pH 8 ($1,800{\mu}S/cm$, a mixture of phosphate and ammonia buffers) and 40 mA in a soil bed of 15 cm length.

  • PDF

심해저 무한궤도식 채광차량의 동적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ynamic Analysis of a Tracked Vehicle for Mining on Deep-Sea Bed)

  • 한형석;홍섭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78-188
    • /
    • 2003
  • A study on the dynamic analysis of a tracked vehicle for mining on deep-sea bed with very soft soil is presented. An equation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rack and soft soil is employed to develop a track/soil interaction module called TVAS. The vehicle is modeled as a multi-body dynamic system using a multi-body dynamic analysis program. The developed module is incorporated into the multi-body dynamic analysis program with a user subroutine. The dynamic behavior and design of the mining vehicle on deep-sea bed is investigated.

철도노반 보수용 지오텍스타일 백의 재료특성분석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Geotextile bag for Rehabilitation of Railroad Bed)

  • 신은철;이명호;최진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3-288
    • /
    • 2002
  • The heavy downpour caused by unusual weather has destroyed a railroad bed. It caused a large amount of soil loss due to soil erosion. Hence, there is necessary to rehabilitate the destructed railroad bed as quickly as possible. Application of geotextile bag can standardize the rehabilitation process. Geotextile bag method can be more stable, faster, and more economical. In this study, the stress to geotextile bag was estimated to select the appropriate geotextile material.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geotextile were also determined.

  • PDF

파종방법에 따른 수크령, 갈대, 억새의 발아 및 초기생장 특성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Pennisetum alopecuroides,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According to the Seeding Methods)

  • 조용현;이가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3-172
    • /
    • 2014
  •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 seeding measure for river bank slope revegetation, germination experiment and early growth observation were conducted using 3 native species growing naturally around river banks such as Pennisetum alopecuroides,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The applied seeding methods were 3 such as scattering seeds, tillage after scattering seeds, and covering up seed with soil after scattering seeds. According to seeding methods, germination experiment and early growth observation were carried out on nursery bed soil in greenhouse. As results of this study, all the 3 native plant species' germination ratio and growth in length on nursery bed soil were highest on the seeding method of covering up seed with soil. Also it was verifi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at the germination ratio and growth in length on the seeding method of covering up seed with soil is distinguished from those on other two seeding methods. According to this results, the best possible seeding measure to be developed should be mechanical seed spraying with soil.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의 년차변화(年次變化)가 인삼수량(人蔘收量) 및 결주율(缺株率)에 미치는 영향(影響) (Yield and Missing Plant Rate of Panax ginseng Affected by the Annual Change in Physico-chemial Properties of Ginseng Cultivated Soil)

  • 이일호;육창수;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24
    • /
    • 1989
  • 인삼재배(人蔘栽培) 예정지(豫定地)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과 관리후(管理後)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 및 이식후(移植後) 본포(本圃)의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 변화(變化)가 인삼수량(人參收量) 및 결주율(缺株率)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변화량(變化量)과 변화율(變化率) 모형(模型)을 써서 산지조사의 수행자료(遂行資料)로 해석(解析)하였다. 1. 예정지(豫定地)에서 6년차(年次)까지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의 연차간(年次間) 변화(變化)는 수분(水分)을 제외(除外)한 입단율(入團率), 공극률(孔隙率) 용적밀도(容積密度)가 유의성(有意性) 있는 변화(變化)가 있었고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은 Mg을 녹외(綠外)한 전성분(全成分)이 유의성(有意性)있게 변화(變化)하였다. 2. 6연근(年根) 인삼수량(人蔘收量)과 연차간(年次間)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은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상관(正相關)이었고 결주율(缺株率)과는 유의부상관(有意負相關)이었다.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의 연차간변화(年次間變化) 중에서 4년차(年次) 함류농도외(艦類濃度外)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3. 6연근수량(年根收量)은 본포기(本圃期) 입단율(粒團率)의 변화량(變化量)과 정상관(正相關)이었고 예정지(豫定地)의 변화량(變化量) 및 변화율(變化率)과 수분변화량(水分變化量)과는 부상관(負相關)이었으며 결주율(缺株率)은 예정지공극률(豫定地孔隙率)의 변화양(變化量)과 부상관(負相關)이었고 예정지(豫定地) 입단변화율(粒團變化率) 및 본포기(本圃期) 수분변화율(水分變化率)과는 정상관(正相關)이었다. 4. 6연근수량(年根收量)과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 상호간(相互間)의 다중상관(多重相關)을 보면 예정지(豫定地)의 공극률(孔隙率)이 크게 기여하며 입단율(粒團率)만을 볼 때는 본포기(本圃期) 변화량(變化量)의 기여도가 컸다.

  • PDF

N하수처리장 정화조.분뇨케익의 재활용을 위한 지렁이 사육 조건검토 (Investigation on management conditions for vermicomposting of night soil in Field at N Sewage Water plant)

  • 김경환;이철범;최훈근;배재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2호
    • /
    • pp.102-11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지렁이처리기술의 실증실험을 통하여 규모의 확대가능성을 파악하고 아울러 유기성오니 처리에 대한 대책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제 현장에 사육상을 설치하여 지렁이의 이식방법에 따른 지렁이의 거동 및 정화조.분뇨오니의 처리효율에 대하여 비닐하우스상과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노지사육상에서의 지렁이의 지렁이사육상의 6개월간 먹이 섭취율은 0.27~0.33톤/$m^2$ 로 나타나고, 분변토 발생량은 사육상 6개월간 단위 면적당 평균 0.15톤/$m^2$이었으며 급이된 분뇨케잊의 약 45.5% (44.1~46.7%)로 나타나 절반 정도가 분변토로 배출되어, 비닐하우스 사육상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노지 사육상에서의 지렁이 서식밀도는 최대밀도가 $7kg/m^2$을 기록한 적도 있으나 평균적으로 약 $6.5kg/m^2$을 나타내었고 계절별로는 봄과 가을에 밀도가 높으나 여름에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노지사육상에서의 지렁이의 연령분포도는 성체가 많고 유체가 적게 나타나는 역피라미드 형으로 나타났다. 지렁이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당해사업소(하우스시설 1200평, 노지 7000평)에는 매립처리비용 및 운반비로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효과와 생산된 분변토를 판매한 수익으로 월간 960만원의 수입이 창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매립처리방법에 비하여 환경친화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