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dio content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4초

고교 생물의 오버헤드 프로젝터용 필름 제작 및 전달 매체로서의 CD-ROM과 홈페이지의 설계 (Development of Overhead Projector Films, CD-ROM, and Bio-Cosmos Home Page as Teaching Resources for High School Biology)

  • 송방호;신연욱;최미숙;박창보;안나영;강재석;김정현;서혜애;권덕기;손종경;정화숙;양홍준;박성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28-440
    • /
    • 1999
  • 고등학교 생물교육의 강의 및 학습의 효율증진을 위한 영상매체로써 오버헤드 프로젝터 필름(OHP)을 제작하였으며 이의 전달매체로써 CD-ROM및 웹용 홈페이지를 설계하였다. 본 필름은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정된 공통과학 및 생물교과서에 수록된 내용을 총 망라하는 방향에서 천연색으로 제작하였으며 도안의 선명도, 수려성, 청정성, 색상, 명암, 인지도 등에서 내용의 질적 우월성을 시도하였고 교수 학생내용 상호간의 관련성을 감안하여 학습항진효과를 극대화하는 측면에서 설계되고 제작되었다. 제6차 교육 과정에 의해 개정된 공통과학 및 생물 교과서 7 종에 수록된 내용을 총 망라하는 방향에서 교재를 분석한 후 가장 다빈도로 출현하는 내용을 우선적으로 제작하였다. CD-ROM은 로고(logo), 초기 메인(main), 학습목록, 내용, 종료 등의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초기 메인 화면은 공통과학, 생물I, 생물II, 교과서에 수록된 단원의 내용(장)목록을 제시한 후 내용세부 문항, 실제내용화면으로 하이퍼링크 시켰다. 내용화면은 교과서 내용의 요약, 그림 및 사진과 그 해설, 실험과정 및 결과의 요약, 표에 의한 내용의 정리 등 4가지 형식으로 제작된 필름 화면이 우선적으로 수록되어 있으나, 비디오 영상수취(video capture)에 의한 화면이나 인쇄 버턴, 자료의 설명 또는 해설, 용어 해설 등의 버턴과 연결시킨 경우도 있다. OHP 파일은 제작시 포토샵(Adobe Photoshop), 일러스터레이터(Adobe Illustrator), 클레리스 오피스(Claris Office)를, CD-ROM은 MM 디렉터(Macromedia Director)를 웹용 홈페이지는 html 에디터(editor)를 주된 소프트웨어로 사용하였다. OHP파일은 스케닝, 그림, 배경, 문자의 입력, 그림의 수식, PICT 또는 PSD 파일로의 저장, JPG 파일로의 변환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공통과학 14점, 생물I 80점, 생물II 142점, 총 236점이 제작되었으며 이들의 전달매체로써 CD-ROM 및 웹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이들을 이미 공개된 중학생물과 동일한 주소 즉 http://gic.kyungpook.ac.kr/biocosmos에 공개하였다.

  • PDF

자연학습원 옥외 환경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연구 -중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다양화를 중심으로- (Outdoor/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Design in the Nature Study Center - The Program Diversifi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

  • 이재영;안동만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3권1호
    • /
    • pp.141-152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ways to diversify Outdoor/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the Nature Study Center(NSC), especially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 survey (448 students, 11 middle school teachers, 19 NSC staffs),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re used the process of this study consists of two steps. The first step is to define research questions through pilot survey and the second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in the form of hypotheses through main survey. Nine hypotheses are formulated. Six are related with program elements (educational goals, student characteristics, staff resources, teaching methods, instructional resources, contents). three are related with program implementation process(preplan, implementation, post-evaluation). The hypotheses are tested and alternatives for program improvement are proposed. 1. Educational goals : Educational goals of NSC should be focused on Outdo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ach NSC should specialize on its own theme. The objectives of every sub-program should be unified toward educational goals. 2. Student characteristics: The Outdoor/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hould reflect student characteristics: sex, urban/rural origins, normal/handicapped, number of visit and so on. 3. Staff resources : Provide qualified staff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s, reeducate staffs periodically, reduce management staff and increase teaching staffs. Provide permanent and well paid position, encourage and give opportunities and the middle school teachers to participate in program. 4. teaching method: Increase outdoor classes two way communication between teaching staffs and students adopt more open ended teaching method so that students can exercise coworks in small groups. 5. Instructional resources: Diversify NSC sites(mountains, coastal areas, urban areas and so on), teaching media (audio/visual equipments, graphic design of signs). Consider design for handicapped and integrate indoor and outdoor educational facilities. Plan nature trails with separate themes, allign nature trail so that it passes through diverse environments. 6. Content : Reflect characteristic site potential specialize on day or night program, on seasonal program, and on site specific social issues(such as interpreting of environmental damages around the NSCs). 7. Preplan: Get Information and know about visiting students in advance. Discuss with middle school teachers and adjust program weeks before visits if many or all of the students had already visited a NSC. arrange a visit to other NSC. Provide an introductory class for the teachers and students before they visit a NSC. 8. Implementation: During NSC visit and classes apply various and appropriate techniques to collect in formation for later evaluation. Improve NSC provided evaluation sheet so as to reflect student characteristic. Compare with formal education and investigate on effects of NSC program. 9. Post-evaluation: Formalize a post-evaluation process and organization. During the winter vacation, develop new programs based on the post-evaluationacation, for the next year. Also, have comparative evaluation meetings of staff from various NSCs during the winter vacation while there is no visitors and classes.

  • PDF

AI 스피커의 기능별 이용 인식과 지속 이용 의도의 차이: 음악, 뉴스, 검색을 중심으로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Usage and Intention to Continuous Use of AI Speakers: Focusing on Functions of Music, News, and Search)

  • 김영주;김성태;김형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644-655
    • /
    • 2020
  • 연구는 오디오 콘텐츠 기반 AI 스피커 이용 인식과 지속 이용 의도를 이용 기능에 따른 차이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AI 스피커 이용기능별(음악 청취, 뉴스 습득, 생활 검색) 이용량을 기준으로 이용 패턴(단일 기능 중심 집단과 다중 기능 중심 집단)구분하고, 이들에 따라 AI 스피커 이용 인식과 지속 이용 의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AI 스피커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 3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한 응답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이 뉴스 습득을 위해 AI 스피커 이용이 많았고, 20대와 40대 이상 간의 뉴스 습득 정도도 차이를 보였다. 둘째, AI 스피커의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에 대한 인식은 다중 기능 중심(음악 청취-뉴스 습득-생활 검색) 이용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AI 스피커의 지속 이용 의도도 다중 기능 중심 이용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음악 청취 기능에 집중된 이용자의 지속 이용 의도가 다른 기능의 이용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AI 스피커의 이용 확산과 브랜드별 제공 서비스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예비 화학 교사의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 계획과 수행: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중심으로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that Emphasizes Argumentation and Writing: Focus on Ways to Overcome Difficulties)

  • 방애리;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5호
    • /
    • pp.342-3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 교사가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화학 교사가 각 주제 수업 개발 후, 10개 주제 전체 수업 개발 후, 각 주제 수업 수행 후, 10개 주제 전체 수업 수행 완료 후에 작성한 반성적 저널, 수업 지도안, 수업 녹음, 학생 작성 활동지 등을 분석하였다. 예비 화학 교사는 논의와 글쓰기를 강조한 탐구 수업 과정에서 자신의 과학 지식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이후의 수업 준비에서는 철저한 과학 개념 확립을 위한 노력을 하였다. 학생 수준 파악의 어려움은 현장 경력교사의 조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교과서의 서술 내용 분석 등을 통하여 극복하려 노력하였다. 또한 다양하고 방대한 과학 수업 자료를 참고하여 탐구 중심 과학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고, 각 주제의 수업 목표를 명확히 세운 후 구체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선정할 수 있었다. 수업 시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적극적인 학생 참여를 유도하는데도 어려움을 겪었고 현장 경력 교사의 조언을 토대로 격려와 통솔을 병행함으로써 향상되었다. 또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논의와 글쓰기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 제공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논의 참여와 글쓰기 수준 향상을 도모하였다.

과학 탐구와 과학 교수학습에서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Korean Teachers' Conceptions of Models and Modeling in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 강남화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43-154
    • /
    • 2017
  • 과학탐구는 교육과정에서 오랜 동안 강조되어왔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되는 기능 중 하나는 모델의 사용이며, 모델 기반 탐구 활동은 학생들이 스스로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을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교사 연수를 실시하면서 교사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앞으로의 과학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연수에 참가한 29명의 초, 중등 교사였고, 연구 자료로는 각 연수 설계 및 실행 과정 중 연구자의 기록, 연구 참여 교사들이 작성한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질문지의 응답, 연수 과정에서 수행한 과제의 결과물, 연수 중 교사 토론의 녹음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자의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존재론적 측면에서는 세 가지 관점으로 인식론적 측면에서는 두 가지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교사의 인식론적 이해는 연수 후에 크게 변화가 없었으나 존재론적 이해에 있어서는 보다 폭넓고 깊은 이해를 가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사례가 일부 있었다. 그러나 평균적으로 연수 전과 후 모두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모델을 개념 가시화의 도구로서 인식하는 관점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고, 모델의 사용이 과학탐구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의견은 반반으로 나뉘었다. 한편, 과학 수업에서 모델 사용과 모델링 적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는 연수를 통해 62%의 교사가 보다 세련된 수업 적용 계획을 세우고 이를 위해 보다 확장된 모델 및 모델링 개념을 가지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교사의 모델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천사이의 관련은 명료하게 드러나지 않았으나 학교 상황 요인이 교사의 실천의지에 대한 매개로 작용하는 것이 드러났으며, 교사가 모델과 모델링에 대해 보다 확장적인 개념을 가지면 수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더 고려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추후 연구 및 유사한 연수에 대한 내용 및 전략을 제안하였다.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오답원인 자기평가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Student Self-Evaluation of Wrong Answers in School Mathematics)

  • 황혜정;김명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255-279
    • /
    • 2014
  • 본 연구는 오답원인 자기평가와 유사 문제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과정을 반성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오답원인 자기평가를 실시하고 유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네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근원 문항 3개를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유사 문항들을 유형별로 제시하여 오답원인 자기평가를 작성하게 하고, 이와 더불어 사전 면담과 사후 면담, 그리고 두 차례의 비공식 면담을 실시하였다. 한 마디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로 하여금 오답원인 자기평가지를 이용하여 유사 문항들을 해결하고 오류 원인을 점검하는 반성 활동을 거치면서 자신의 문제점을 스스로 판단하며 문제 풀이 과정의 변화와 수학 학습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적 협상 관점의 e-Learning 콘텐츠 개발: 사례관리 담당 공무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as Social Negotiation Perspective: A Case Study of Program Development for the Public Sector Officials' Case Management)

  • 김인숙;진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519-527
    • /
    • 2011
  • e-Learning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오디오,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구성되며, 일정 기간 동안 복잡한 절차를 거쳐 개발된다. 이에 따라 e-Learning 콘텐츠 개발은 참여자 그룹의 개별작업과 함께 문제 상황에 직 간접적으로 연관된 이해관계자간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한 협력작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협상 관점에서 e-Learning 콘텐츠 개발과정을 분석하고, e-Learning 콘텐츠 개발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간의 최선의 합의를 통한 최적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례관리 담당 공무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정에 대해 참여적 관찰자의 관점에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개발된 콘텐츠의 평가를 위해서는 질적, 양적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결과를 통한 사회적 협상 관점의 e-Learning 콘텐츠 개발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 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의 명확한 중심 목적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학습대상자의 범위를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셋째, 핵심 참여자들 간의 개발과정 및 결과물에 대한 공유를 통한 심도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넷째, 합리적 개발 기간 및 예산 설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다양한 참여 그룹간의 상충되는 이해관계 속에서 최선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강력한 리더가 필요하다.

간호서비스 마케팅에 관한 연구;'촉진(Promotion)' 개념 개발 (Concept Development of Service Marketing Promotion in Nursing)

  • 강윤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76
    • /
    • 1999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ncept of service marketing promotion in nursing that is derived from the concepts of service marketing theory. This research was a descriptive study, at the factor isolation level. The principle of concept derivation suggested by Walker and Avant (1988) and the Hybrid model suggested by Schwarz-Barcott and Kim (1993) were employ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997 to April. 1998 at a larg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theoretical phase: the meaning, attributes, and definition of service marketing promotion were identified through an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Second, at the empirical phase: fieldwork was done to identify the promotional activities and events in nursing. Top nurse managers from 4 units (Director of Nursing, Head nurses of inpatient nursing unit, outpatient nursing unit. and home care nursing unit) were interviewed and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meaning and attributes of promotion in nursing. Other methods such as brochures and other audio-visual materials which were relevant to nursing promotion were used to supplement the interviews. Finally, the results of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es were intergrated to develop a concept of service marketing in nursing practice. A final definition of service marketing promotion in nursing was identified as follows. 1. Promotion as a marketing function in nursing service is concerned with communication to target markets on all information related to nursing service in order to satisfy the objectives of both a nursing service organization and the target markets. 2. The goals of nursing service promotion include: 1) increasing visibility of nursing services and delivering the information on nursing services, 2) affirming the value of nursing services, so it can contribute to formulation of reimbursement policy for nursing services. 3) advancing the general image of the nursing profession and nursing services. 4) achieving and attaining a desirable positioning for nurses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5) creating and stimulating the demand for nursing services. 3. In order to obtain these goa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nursing services, to persuade target markets. to remind them about nursing services. and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related departments. 4. The tools used to carry out the above functions of promotion in nursing are the providing nursing services, public relations and publicity. QA of nursing, advertising, and sales promotion. 5. The target markets of nursing service include the nursing customer markets. the internal markets, the influence markets. the recruitment markets. the supplier markets. and the nursing referral markets.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promotion in other service marketing areas can be applied to the promotion of nursing service marketing. The promotion of nursing service is more than just effective communication in nursing service. it is the effective use of the concepts of service marketing promotion. Promotion of nursing service will contribute to create and expand nursing services.

  • PDF

멀티미디어 기기 활용과 유비쿼터스 영어 교육환경 (Multimedia Application and Ubiquitous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 미쉘 미희 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93-399
    • /
    • 2012
  • 학생들이 다른 언어를 배우고 익히도록 동기부여를 하기 위해 기발한 독창성과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할 것이다. 멀티미디어를 이용하면 수업과 과제를 모든 학생들에게 흥미롭게 해줄 것 이다. 그들에게 관심이 있는 스마트 폰의 사용과, 노트북과 무선 인터넷의 사용으로 학생들은 그들의 언어 기술을 실제로 어디에서나 공부할 수 있을 것 이다. 예를들어 팟캐스트, 인터넷망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Podcasts 도구 방법 등을 통해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학습이 매우 용이하게 되었다. 즉 이러한 멀티미디어 tools를 이용한 외국어 듣기 연습 서비스 등 다양한 교수 학습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효율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도입된 이러한 여러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은 여러 가지 독특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영어 교육을 최대화하기 위해 멀티미디어의 특징과 그 활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디지털교과서 및 영어 수업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도구 활용, 인터넷 방송은 물론 원격화상 수업, 사이버 학습 등 1:1 영상 교육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최첨단 u-러닝 기기의 체험을 통해 미래 교육 변화를 조망하고 또한 다양한 수업기기와 변화된 수업시스템 모델을 통해 영어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업에 대한 동료교사의 협의가 과학교사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Discussion about Classroom Practices on Science Teachers' Teaching)

  • 성숙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7-123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들이 함께 서로의 수업 동영상을 관찰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동료교사의 협의가 어떤 내용으로 이루어지는지 또한 그들의 과학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 근무하는 세명의 과학교사가 1년 동안 1회의 예비모임과 5회의 본 모임을 가졌으며, 각 교사가 5차시씩의 수업을 녹화하여 총 15차시의 수업 동영상을 함께 모여 관찰하고 서로의 수업에 대해 반성적으로 협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모든 논의 내용을 녹음하였으며, 15차시의 수업 동영상과 6회의 협의는 전사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사의 반성적 논의과정에서는 교수전략과 내용측면에 대한 협의뿐 아니라 교육과정 조직과 교수목표와 관련된 부분이 폭넓게 논의되고 있었다. 동영상 자료를 통해 수업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업전략 측면의 변화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목표와 관련된 교육과정 조직 측면의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관찰과 동료교사와의 협의 과정을 통하여 교사는 수업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실현가능한 대안을 고민하게 되었으나, 이것이 실천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를 직접 적용해보는 경험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동료교사의 수업관찰과 반성적 논의를 통한 수업개선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알게 되었으며, 이러한 방법이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 필요한 방안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수업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많은 교사들에게 수업개선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