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ive product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7초

세계 시장과 한국에서의 "가정용 의료기기" 정의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Definitions of "Home Medical Device" in Korea and in the Global Market)

  • 김영서;강현경;박상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23-230
    • /
    • 2015
  • 기술의 발전과 기대수명의 증가 및 출산율 저하로 인한 인구 고령화로 의료기기와 의료용품들이 병원으로부터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가정과 일반 사회로의 이동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가정용 의료기기"라는 용어에 대한 정의마저 불명확한 상황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가정용 의료기기"의 개념과 한국에서 사용되는 개념을 비교 연구하였다. 미국의 FDA의 가정용 의료기기에 대한 정의는 전문 의료기관과 가정에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의료기기를 포함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식약처가 가정용 의료기기에 대한 정의를 하지 않고 있으며,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의 결과로 가정용 의료기기에 대한 정의를 유추하여 왔다. 유헬스케어 시대의 도래로 파라다임이 바뀌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에서도 병원과 가정에서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 의료기기를 가정용 의료기기로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 PDF

착용형 유헬스 디바이스의 전기·기계적 안전성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in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Safety of the Wearable U-Health devices)

  • 황인호;강보규;김동근;유선국;차지훈;허찬회;박기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8
    • /
    • 2010
  • 의료기기와 IT융합기술의 접목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건강에 대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헬스 의료기기가 개발되어 일상생활과 가정에서 자연스러우며 편리한 건강변수 측정이 가능하며, 디바이스의 보급과 더불어 이를 응용한 유헬스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우선되고 있는 현재, 이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및 성능평가 기준 마련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판전의 시험검사나 시판후의 수거 검사시에 안전성 및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헬스 디바이스에 대한 전기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필수시험 및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을 연구하였다.

브랜드 이미지 상승을 위한 쇼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 여성의류 매장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how Window Display for a Improving the Brand Image - Focusing on the Career Woman's Dress Shop -)

  • 오승희;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0-115
    • /
    • 2005
  • Show window display is a technique of arranging goods for sales promotion, namely, motivating and inducing customers to purchase products. It is not simply exhibiting articles but a technical expression of values retained in exhibited articles and an integrated visual art comprehending color, lighting effect, the customers' angle of vision, differentiation from neighboring stores, harmony with properties, assistive roles of relevant goods, and entire messages provided by these elements. Show window display plays the role of a medium that expresses brand images and attracts consumers. Through the medium, the company's brand image is recognized and the recognition determines the trend of brand sales. Brand images planted to consumers seldom change, and wrong recognition affects not only the brand image but also the company imag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ggest show window display employing brand images different from traditional show window display, to examine the effects of brand images on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and to propose display design.

  • PDF

장애인의 정보 접근권 향상을 위한 보편적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versal Design for Enhanc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 이성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2-410
    • /
    • 2000
  • The current study examines principles to develop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manufactu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The study surveyed inconveniences disabled people experience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 current technology and design, and suggested abbreviated universal design guidelines. Design guidelines should reduce those inconveniences detected through the task analysis and GOMS modelling of the usage by disabled people. Design and functional features of mobile phones were examined since they quickly became essential communication tools for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alike. Design issues were examined in controls, input methods, and output methods in terms of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t is expected that both governments and manufacturers can save costs to produce and manufacture special assistive devices for disabled people by implementing universal design in their communication products. Since it is becoming the international trend,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should be enforced to all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devices by government for the higher quality of life for all groups of user.

  • PDF

족부보장구(Ankle Foot Orthosis, A.F.O.)용 복합재료의 충격에너지 거동 (Impact Energy Behavior in Composite Materials of Ankle Foot Orthosis (A.F.O.))

  • 김철웅;송삼홍;오동준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0-335
    • /
    • 2004
  • The needs of walking assistive device such as the Ankle Foot Orthosis (A.F.O.) are getting greater than before. However, most of the A.F.O. are generally imported rather than domestic manufacturing. The major reason of high import reliability is the rack of impact properties of domestic commercial products. Therefore, this research is going to focus on the evaluation of impact properties of the A.F.O. which has the high import reliability. Unfortunately, these kinds of researches are not performed sufficiently. This research is going to evaluate impact energy behavior in composite materials such as the glass/epoxy (S-glass, $[0/90]_{2S}$) and the aramid/epoxy (Kevlar-29, woven type, 8 ply) of ankle foot orthosis. The approach methods were as follows. 1) The history of impact load and impact energy due to the various velocities. 2) Relationship between the deflection and damage shape according to the impact velocities. 3) The behavior of absorbed energy and residual strength rate due to the various impact velocities.

  • PDF

Barrier Free 보행안전시설 계획 (Planning of Barrier Free Pedestrian Safety Devices)

  • 남두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17-223
    • /
    • 2013
  •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교통약자의 증가에 따라 베리어프리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령화 현상은 세계적인 추세로 변화하는 사회여건을 고려하고 발전하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교통안전시설과 이동지원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장애인, 노약자를 위한 이동성 향상을 위하여 최근 급진적으로 발전되고 있는 IT기술을 활용하여 제거 또는 감소시켜 줌으로써 Barrier Free 환경이 구축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의 적용을 위하여 보행 및 안전지원시스템의 도입 필요성 및 도입시 필요한 고려사항에 대한 검토결과를 제시한다. 해외 기술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도로 및 보행환경에서의 유비쿼터스 기술의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도입 방안을 검토하였다.

차량용 휠체어 이송을 위한 보조메커니즘의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osition of The Assisting Mechanism for Wheelchair Transfer for Car)

  • 임구;김용석;양순용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51-258
    • /
    • 2014
  • 휠체어는 지체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대표적 보조이동수단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재활보조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수동휠체어 이용자는 대부분 자립적 생활 및 직업적 재활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을 격고 있다. 이것은 휠체어를 직접적인 이동수단으로 이용하게 됨으로 원거리 이동 시 휠체어 이송문제가 항상 수반되기 때문이다. 이에 휠체어이용자가 자립생활 및 직업재활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휠체어 이송문제가 최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휠체어 이송시스템에 대한 국내외 출시제품과 특허기술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새로운 시스템의 차량용 휠체어 이송을 위한 보조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차량용 휠체어 이송메커니즘은 기존의 휠체어 이용자 이동지원을 위한 차량용 휠체어 이송시스템의 단점을 해소하고 국내 장애인복지차량 구조에 부합되도록 하기위해 제안되었다. 본 제안된 메커니즘을 적용함으로써 차량 루프에 설치되는 수납공간이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레저수납공간과 차이가 없어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호응도를 높여줄 수 있으며, 이렇게 작아진 수납공간은 주행 시 공기저항의 단점을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현 국내복지차량의 구조에 부합하게 되어 소형세단에서부터 SUV차량까지 적용범위에 대한 제한이 없어지게 됨으로써 이용자에게는 선택에 대한 폭이 넓어지게 될 것이다.

  • PDF

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 과학기술 (Welfare Science and Technology Responsive to Ageing)

  • 심상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145-189
    • /
    • 2002
  • 이 글은 인구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 과학기술의 잠재적 기여와 역할을 고찰한 시론이다. 이 글에서 복지 과학기술은 복지 중진을 위해 적용되거나 체화된 지식의 체계를 가리키되 신체기능의 저하나 손상에 대한 예방, 보조, 지원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하는 기술을 의미하고, 단순히 손상되거나 저하된 신체기능의 보상과 대체만이 아니라 사회적 기술적 환경과 지원 시스템의 확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복지 과학기술은 종래 장애인이나 노인 등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연령이나 장애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보편적 디자인제품이나 서비스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중요한 변화가 일고 있다. 이러한 복지과학기술의 개념 변화는 복지 과학기술이 일차적으로 노인복지를 증진하는 잠재력을 주목할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높이는 가능성을 직시하고 나아가서 사회경제적 활력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을 포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인구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 과학기술 또는 제론테크놀로지(GT)는 '개인적 지체'만이 아니라 '구조적 지체'에도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중요한 주장 가운데 하나이다. 이것은 노인들을 단지 사회적 보호나 개호의 대상자 집단으로 객체화하는 것이 아니라 나이가 들어서도 독립적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주체적 존재이며 정상적 시민으로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을 함축한다.

  • PDF

미국 및 유럽 의료기기 품목분류 체계 분석을 통한 국내 의료기기 품목분류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omestic Medical Device Product Classification through Analysis of Medical Device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U.S. and Europe)

  • 유강현;손지민;권경민;김유림;이희성;장원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3-7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edical devices with different management systems through comparison of domestic and overseas medical devic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s and to propose management conversion measures for the products. The definitions of medical devices were compared and the scope of medical devices defined by each country was confirmed through surveys of the Medical Device Act, Federal Food, Drug & Cosmetics Act (FD&C) in the U.S., and Medical Device Regulations (MDR) in Europe. Using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s regulations on medical device products and grades, 21 CFR part 860-892 and product code classification files in U.S., and EMDN in Europe as basic data to compare medical device products and derive medical devices with different management system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finition and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s of medical devices in Korea, the U.S. and Europe, medical device accessories, prosthetic limbs and aids among assistive de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drugs, quasi-drugs and industrial products that are not managed by medical devices in Korea are managed as medical devices in the U.S. and Europe. This study aims to improve public health by securing systematic product safety management and essential performance under medical device regulations. Management within a single medical device system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of licensing work of domestic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It is also expected to help advanc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harmony of the item classification system and enhance smooth import and export competitiveness.

Development of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for Senior-Friendly Autonomous Transportation Robot

  • Kim, Seon Chil;Kim, Sun Jung;Choi, Kyongo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07-422
    • /
    • 201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quantitative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for senior-friendly autonomous transportation robot. Background: The Republic of Korea has become the most rapidly aging society, and is anticipated to enter the post-aged society in 2026.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of a senior with limited mobility and to reduce the burden of caregivers, many high-tech assistive products with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developed nowadays. The senior-friendly autonomous transportation robot is one person robot vehicle to move a senior to the destination for hospitals, nursing homes or silver town complex. With built-in navigation system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censors, it automatically seeks the path to the destination and avoids collision to obstacles and pedestrians on the way. Due to the early stage of the product, few usability studies in this field have been done, mostly on general service robots to assist seniors, power wheelchairs and delivery robots. ISO and KS standards for the service robots are focused on safety. Method: Based on the reference usability index, the early draf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questionnaires was developed. After small group tests and interviews, the experts modified the initial draft to the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for Senior-Friendly Autonomous Transportation Robot (UEC-SFATR). Result: UEC-SFATR consisted of 4 subscales - Safety, Controllability, Efficiency and Satisfaction. All of the 4 subscales of UEC-SFATR were passed the reliability criteria by 4 groups of seniors, divided by gender and familiarity of smart-devices. Conclusion: UEC-SFATR covers wider area of user experiences of the SFATR and is a good measurement tool to help both the users and developers of the robot. Application: This study provides guide to the future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 competitiveness evaluation by quantifying user experiences for the SFA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