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agine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33초

콩과식물인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등나무(Wistaria floribunda) 및 해녀콩(Canavalia lineata)에서 canavanine과 유리아미노산의 분포 (Distribution of Canavanine and Free Amino Acids in Legumes, Robinia pseudo-acacia, Wistaria floribunda, and Canavalia lineata)

  • Yu, Gyung-Hee;Young Myung Kw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4호
    • /
    • pp.433-440
    • /
    • 1995
  • The constituents and proportions of non-protein free amino acids including canavanine were measured in roots and leaves of legumes, Robinia pseudo-acacia L., Wistaria floribunda L., and Canavalia lineata L.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uring dormant and fertilizing seasons. in all the three plant species, asparagine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occurring 30% of total free amino acids, and canavanine was the second most abundant amino acid contributing 10% of total free amino acids throughout dormant and fertilizing seasons. In dormant season, roots contained 2 to 3 folds of free amino acids including canavanine and asparagine compared to those in fertilizing season. When proportions of asparagine and canavanine to total gree amino acids in various parts of C. lineata were examined in fertilizinng season, the level of asparagine was the highest in roots while that of canavanine was in seed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assumed that canavanine appears and functions as a nitrogen-storing compound in roots and leaves throughout the whole life cycle of the investigated plants.

  • PDF

Vitamin과 핵산이 Sclerotium rolfsii의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tamins and Nucleic acids on the mycelial growth and the sclerotial production of Sclerotium rolfsii)

  • 김기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1-78
    • /
    • 1973
  • 목련흰비단병균 Sclerotium rolfsii의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에 대한 thianine, biotin, nicotinic acid, Pyrido-xine, inositol과 DNA 및 RNA의 영향을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균은 thiamine 결핍균으로서 균사생장 최적 thiamine 농도는 20r/l이고 이농도를 초과하면 오히려 균사생장이 억제되어 150r/l에서는 무첨가구와 거이 비슷한 균사생장을 하였다. 2. 공시균의 생장에 있어서 thiamine의 첨가에 따른 질소원 이용도는 $NH_4NO_3>(NH_4)_2SO_4>asparagine>KNO_3$의 순위이며 질소원별 thiamine 최적요구량은 $KNO_3$인 경우 12r/l, asparagine인 경우는 16r/l정도였다. 균핵형성량에 있어서는 $KNO_3>NH_4NO_3>asparagine>(NH_4)_2SO_4$의 순위로 질소원별 thiamine 최적량은 $KNO_3,\;NNO_3,\;NH_4NO_3$가 8r/l에서 균핵의 대부분이 형성되나 asparagine은 16r/l정도였다. 3. 배양액의 pH는 공시균이 생장을 개시하자마자 3.5정도로 급격히 떨어지나 그 이후로는 생장량이 증가함에 따라 완만하게 떨어졌다. 그러나 pH2.2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았다. 4. Nicotinic acid는 공시균의 생장 및 균핵형성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thiamine 10r/l와의 공존하에서는 다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nicotinic acid 7-10mg/l에서 가장 생장이 좋았고 그 이상에서는 생육이 억제되었다. 5. Pyridoxine, biotin 및 inositol은 배지의 질소원이 $(NH_4)_2SO_4$나 asparagine인 경우 모두 공시균의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6. 공시균의 균사생 장에 대한 각종 vitamin의 상호효과는 thiamine, biotin, Pyridoxine, inositol의 4가지 combination에 의해서도 thiamine이 첨가되지 않으면 거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thiamine+pyridoxine, thiamine + inositol, thiamine + biotin + pyrid oxine, thiamine + biotin + pyridoxine + inositol 구에 있어서는 thiamine단독첨가구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이지만 thiamine+biotin과 thianline+biftin+inositol구는 오히려 떨어졌다. 균핵형성에 있어서는 thiamine단독구에 비하여 각구 모두 약간씩 증가하였다. 7. 공시균의 균사생장에 대한 DNA와 RNA의 효과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다소 인정되는데 DNA보다는 RNA가 좀더 효과적이었다. RNA는 2-6mg/l에서 DNA는 6mg/l에서 가장 좋았다. 균핵형성에 있어서는 효과가 없 었다. 8. RN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또 thiamin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사생장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thiamine의 존재하에 RNA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균핵형성에는 효과가 없었다.

  • PDF

인삼종자형성에 대한 생리화학적 연구 IV. 고려인삼과 미국인삼 및 고려인삼과 죽절인삼 $F_1$의 화기 및 종자 형성과정에 있어서의 유리아미노산의 소장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Flower Organ and Seed in Ginseng Plant. IV. Variation of Free Amino Acids in the Flower and Seeds of the $F_1$ Plants of the Combinations Panax ginseng ${\times}$ Panax quinquefolium and Panax ginseng ${\times}$ Panax japonicus.)

  • 황종규;양희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165-172
    • /
    • 1973
  • 종간, 속간의 잡종에서는 흔히 불임현상이 일어나는데 인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고려인삼(panax ginseng: P.G.)과 미국인삼(panax quinquefolium: P. Q.) 그리고 죽절인삼(Panax japonicus: P.J) 간의 교잡육종에서 P.G.${\times}$P.J.에서만 아주 희귀하게 종자를 얻을수 있고 다른 종합에서는 전혀 잡종 제이세대를 얻을 수가 없었다고 하므로 본실험에서는 P.G.${\times}$P.Q.와 P.G.${\times}$P.J.의 교잡종의 화기 및 종자형성중의 유리아미노산의 소장을 추구함으로서 불임현상과 물질대사와의 관련성의 일단을 밝히고저 한다. 1. 두 교잡종의 시료에서 검출된 유리아미노산의 Chromatogram은 서로 유사한 pattern을 나타냈으며 그들의 양친이 나타내는 pattern과 유사하나 spot의 종류나 크기 정색도는 여러 가지 점에서 특이한 변화가 있다. P.G.${\times}$P.Q.에서 19종, P.G.${\times}$P.J.에서는 21종의 spot을 검출하였는데 전자에서 Alanine, Valine, Leucine, Phenyl alanine, Proline, Hydroxy proline, Serine, Threonine, Tyros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beta}$-Alanine, Cysteic acid, Tryptophan, Asparagine, Glutamine, ${\gamma}$-Amino butyric acid를 확인하고 후자의 경우는 상기한 것 외에 Methionine과 한 개의 미지 spot를 얻었다. 2.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eic acid와 Asparagine이 전체적으로 보아 주체를 이루고 있는 것은 P.G. P.Q. P.J에서와 같으나 Asparagine이 소포자기와 화분성숙기에 최다량으로 나타나는 것은 이들의 양친의 경우에는 보지 못했던 특이한 일이다. 3. 홍숙기에 Cysteic acid가 감소되는 것은 P.Q. P.J.의 경우와는 유사하나 P.G의 경우와는 반대되는 현상이며 P.G.${\times}$P.J.에서 Methionine이 검출된 것도 특이하다. 4. Proline은 그들의 양친의 경우와는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소포자기에서 아주 미약한 정색을 나타낼뿐이며 이 때에 Asparagine의 spot가 가장 크고 강한 정색을 나타내었는데 이제까지의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Proline의 양과 화분의 임성과는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런 관계가 인삼 종자 형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Proline이 결핍될 때 Asparagine의 축적이 있다는 많은 보고도 있다. 5. 교잡종에서의 결실불능의 원인을 Proline의 과소에 의한 것으로 보며 Proline이 약의 화분퇴화와 중요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찰된다. 6. 그밖에 여러 아미노산의 소장이 P.G. P.Q. P.J. 등의 자식계와 그들과의 잡종사이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가 생기는 것은 교잡에 의한 Gene-action system의 변혁에 따른 결과라고 추찰되는 것으로 Proline의 대사 및 생리적 영향과 더불어 보다 깊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의 제조와 포도당 민감성에 대한 연구

  • 문제영;이기영;김진철;박기남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755-758
    • /
    • 2000
  • 포도당 결합성 효소의 결합 부위에 관여하는 아미노산중 하나인 asparagine을 이용하여 리포솜 표면에 결합시켜 포도당 민감성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를 제조하였다. Asparagine이 결합된 리포솜이 그렇지 않은 리포솜이나 증류수에 비해 포도당 결합정도가 컸다. DPPC에 대한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할수록 리포솜의 안정성도 증가하였고, zeta sizer로 입도를 측정한 결과 그 분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의 제조와 안정성 측정 (Preparation and Stability Measurement of Liposome-amino Acid Conjugates)

  • 문제영;이기영;김진철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96-99
    • /
    • 2000
  • Octadetkanubc으로 수식된 아미노산을 DPPC 혹은 DSPC와 혼합하여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를 제조하였다. 리포솜의 크기는 100nm이고 구형이었다. DPPC와 글루탐산을 혼합하여 제조한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가 글루타민이나 아스파라긴을 사용했을 때보다 포도당과의 친화성이 컸다. 제조한 리포솜의 안정성 면에서도 DPPC와 glucamic acid으로 구성된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의 안정성이 높았다. 결국 포도당 친화성과 안정성을 갖춘 리포솜은 DPPC 와 글루탐산의 비가 7 : 3 으로 제조된 리포솜이었다.

  • PDF

Structure Determination of D-Asparagine by Modified Pseudospectral Hartree-Fock Gradient Method

  • Lee, Jung-G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11호
    • /
    • pp.953-957
    • /
    • 1994
  • Pseudospectral Hartree-Fock(PSHF) gradient calculations with $6-31G^{**}$ basis set have been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D-Asparagine molecule $(C_4N_2O_3H_8)$ with improved grids and with the BFGS method. The modified PSHF method, despite partial optimization of the gradient code, turned out to be still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ab initio method, GAUSSIAN 90 program by more than twice. The optimum geometry of D-Asparagine obtained by the PSHF method is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calculated by the GAUSSIAN 90 program (within 0.0036 ${\AA}$ for bond lengths, 0.8 degrees for bond angles, and 1.6 degrees for torsional angles) except for three torsional angles. Here, rather large discrepancy of these three torsional angles (5-6 degrees) is attributed to the small differences in the optimum bond lengths and angles between the PSHF and GAUSSIAN 90 calculations.

앉은부채(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뿌리의 성분 (Constituents from the Root of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 염정록;박동우
    • 생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3-148
    • /
    • 1997
  • From the root of Symplocarpus renifolius, four compounds were isolated and their structure was elucidat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They were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compound 1), asparagine (compound 2), isocorydine (compound 3) and 3-hydroxymethyl-4-phenyl phenoxy carboxylic acid glucopyranosyl ester (compound 4). These compounds were firstly isolated from roots of Symplocarpus renifolius. Compound 4 was identified as a new compound, named as symplocarposide.

  • PDF

The Effect of pH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Melanoidins Formed from Glucose and Fructose with L and D-Asparagine in the Maillard Reaction

  • Kim, Ji-Sang;Lee, Young-S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182-189
    • /
    • 2008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H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lanoidins formed as a result of the reaction between sugars, glucose (Glc) or fructose (Fru), and amino acids, L-asparagine (L-Asn) and D-asparagine (D-Asn) are examined. For this purpos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reducing power, including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FRAP)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ludes 1,1-diphenyl-2-picryl- hydrazi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and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Ethylene diamine tetraacetate (EDTA) and trolox, a water-soluble analog of tocopherol, were used as reference antioxidant compound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melanoidins at a pH of 7.0 were greater than those with a pHs of 4.0 and pH 10.0.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melanoidins formed from D-isomers are more effective antioxidants in different in vitro assays. The reducing power and chelating activity of the melanoidins formed from the Fru system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melanoidins formed from the Glc systems. However,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melanoidins formed from the Glc system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melanoidins formed from the Fru systems. In particula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FRAP of the melanoidins showed different antioxidative activities according to pH level.

균상재배 느타리버섯에서 분리한 Hypocrea속 균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y characteristics of genus Hypocrea isolated at oyster mushrooms of the shelf cultivation)

  • 이찬중;문지원;정종천;공원식;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8-73
    • /
    • 2015
  • Hypocrea속 병해는 전남 해남 및 고흥지역에 심하게 발생하여 재배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병원균은 자낭균에 속하며 초기에는 유백색이나, 후기에는 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며, 0.5~2.0 cm 크기의 자실체들이 다수가 뭉쳐 기형적인 형태를 형성하며, 자실체가 형성된 부위에서는 버섯이 발생되지 않는다. 자낭각은 자실체의 표면 바로 아랫부분에 매몰부분에 형성하고. 그 안에 다수의 자낭을 형성한다. 자낭이 어린 상태에서는 자낭포자가 8개로 보이나 성숙되면서 16개의 자낭포자가 형성된다. 수집균주의 배양온도별 균사생장 및 자실체 형성정도를 조사한 결과 균사생장은 $15^{\circ}C$에서 H-1과 H-12균주가 가장 빨랐지만, $20^{\circ}C$$25^{\circ}C$에서 H-8, H-9, H-13, H-14 등 4 균주는 매우 느린 생육을 보였다. 자실체는 $20^{\circ}C$$25^{\circ}C$에서 발생하였지만, $15^{\circ}C$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집균주 중 H-2, H-3, H-6, H-13, H-14 등 5 균주가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영양원의 C/N율에 따른 균사생장 및 자실체 형성정도는 H3균주의 경우 질소원 $NH_2SO_4$와 asparagine을 첨가한 처리한 구에서는 C/N율 30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고, H14 균주의 경우 질소원 $NH_2SO_4$와 cystin을 첨가한 처리한 구에서는 C/N율 100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자실체는 histidine과 asparagine 처리구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histidine-70과 asparagine-100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이 병은 균사생장기간에는 발병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하온후 균상표면에 버섯과 비슷한 병원균 자실체가 발생한다. 병원균 자실체는 버섯의 자실체보다 딱딱하고, 초기에는 유백색이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색으로 변색된다.

토마토 가공(加工) 공정(工程) 중(中)에 있어서의 유리(遊離) 아미노 산(酸)의 변동(變動) (The Variation of Free Amino Acid during the Tomato Processing)

  • 김성열;히로미치 카토;아키히로 오키타니;푸미타카 하야세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576-583
    • /
    • 1982
  • 토마토 가공(加工) 공정중(工程中)에 있어서의 유리 아미노산의 변화(變化)를 검토(檢討)할 목적(目的)으로 가공용(加工用)인 KAGOME 77 품종(品種)의 토마토로 조제(調製)한 fresh pulp, heated pulp, puree 및 paste 중(中)의 유리 아미노산을 측정(測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mide group 중(中) glutamine과 asparagine의 분해(分解) 속도(速度)에는 상당(相當)한 차(差)가 인정되었으며, glutamin 은 빨리 분해(分解)되어 paste 중(中)에는 전(全)혀 잔존(殘存)하지 않았으나 asparagine은 paste 중(中)에도 56% 이상(以上)이 잔존(殘存)하였다. 2. 산성(酸性) group중(中)의 glutamic acid의 감소량(減少量)은 전(全) 아미노산 중(中) 가장 컸으며 aspartic acid의 그것은 glutamine 다음인 3 번째로 컸다. Paste 중(中)에 있어서의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잔존율(殘存率)은 각각 38% 및 24%이었다. 3. 중성(中性) group의 glycine, alanine, valine, isoleucine 및 leucine 등(等)은 약간(若干)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4. 염기성(鹽基性) group중(中) lysine과 histidin의 변화(變化)는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argmme은 가열(加熱) 공정중(工程中)에 약간(若干)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5. Aromatic group인 tyrosine, phenylalanine 및 tryptophane은 가열(加熱) 공정(工程) 중(中)에는 약간(若干) 증가(增加)하였으나 농축중(濃縮中)에 있어서의 변화(變化)는 거의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6. 함유황(含硫黃) 아미노산인 methionine은 전(全) 공정(工程)을 통(通)해서 약간(若干) 감소(減少)하였으나 비단백성(非蛋白性)인 ${\gamma}$ amino butyric acid의 감소(減少)는 거의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7. Fresh pulp중(中)의 주요(主要)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gamma}$-amino butyric acid$${\geq_-}$$glutamine>aspartic acid>asparagine의 순(順)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paste 중(中)에는 glutarru acid>${\gamma}$-amino butyric acid>aspartic acid=asparagine의 순(順)으로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미량(微量)이긴 하나 방향족(芳香族) 아미노산과 염기성(鹽基性) 아미노산의 분포비(分布比)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8. HITACHI-KLA-5-Amino Acid Analy-zer로 측정(測定)하였을 때 tryptophane의 직전(直前)에 fresh pulp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unknown peak가 가공품(加工品)에 있어서만 나타났으며, 가열(加熱) 및 농축(濃縮)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큰 peak로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lysinoalanine 또는 ornithino이 아니라는 사실(事實)도 확인(確認)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