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ospores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2초

세종특별자치시 주변의 금강 중류 물과 토양에서 야생 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의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the Water and Riverside Soil of Geumgang Midstream in Sejong City,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Wild Yeasts)

  • 한상민;김지윤;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1-61
    • /
    • 2019
  • 우리나라 금강의 물과 주변 토양에 분포하는 야생 효모들의 종 다양성을 확립하고자 세종특별자치시 불티교와 햇무리교를 흐르는 금강 중류의 물과 주변 토양에서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세종시 불티교 밑의 물과 주변 토양들로부터 32종, 37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중 Holtermanniella takashimae SW048 (NNIBRFG9314), Cystofilobasidium infirmominiatum SW013 (NNIBRFG9310), Mrakia cryoconite SW015(NNIBRFG9316), Pichia sporocuriosa SW085(NNIBRFG9326)와 Cryptococcus aspenensis SW008 (NNIBRFG9309) 5균주들을 국내 미기록 효모 균주들로 최종 선별하였고, 이들은 구형-난형으로 출아에 의해 영양증식을 하였다. M. cryoconite SW015 외 모두 자낭포자를 형성하였고, P. sporocuriosa SW085 와 C. aspenensis SW008 균주는 20% 포도당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도 생육하는 내당성 야생 효모들이었다. 또한, 세종시 햇무리교의 물과 주변 토양시료에서 모두 8종 26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야생 효모들 중 Occultifur kilbournensis HB060 (NNIBRFG9317), Sampaiozyma vanillica HB014 (NNIBRFG9332), Xenoramularia neerlandica HB039 (NNIBRFG9335), Candida norvegica HB315 (NNIBRFG9306), C. melibiosicaHB316 (NNIBRFG9305), C. quercuum GB014 (NNIBRFG9307)와 C. succiphila GB015 (NNIBRFG9308) 7균주 국내 미기록 효모들로 분류되었다. O. kilbournensis HB060와 X. neerlandica HB039는 자낭포자와 의균사를 형성하지 못하였고 C. norvegica HB315는 5 % NaCl를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내염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금강의 야생 효모 종 다양성 확립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미나리 균핵병 (Sclerotinia Rot on Water Cress (Oenanthe javanic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권진혁;신순선;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85-88
    • /
    • 2003
  • 2002년 12월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비닐하우스 밭미나리 재배포장에서 미나리 잎과 줄기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부위에 흰색 곰팡이와 균핵이 발생하는 이상증상이 발생했다. 균총은 무색에서 흰색을 띠면서 초코렛색으로 된다. 균핵은 병반부와 PDA 배지 모두 검은색의 구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모양이었으며, 크기는 1.0~10.7 ${\times}$1.0~7.6 mm 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으로 크기는 0.4~1.6c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으로 자낭안에 자낭포자가 8개 들어있으며, 크기는 74~236 ${\times}$4.2~24.8 $\mu\textrm{m}$ 이었다. 자낭포자는 타원형으로 단세포이며 무색이다. 크기는 8.3~$12.4{\times}3.6$~7.2 $\mu\textrm{m}$ 이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circ}C$이며, 균핵형성 최적온도는 15~$20^{\circ}C$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병을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미나리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하였다.

양송이 괴균병균(塊菌病菌)의 방제(防除) 및 생장요인(生長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Some Factors Affecting Growth of Diehlomyces microsporus and Chemical Control of Truffle Disease in Cultivation of Agaricus bisporus)

  • 김광포;차동열;정후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37
    • /
    • 1981
  • 본(本) 시험(試驗)은 괴균병균(塊菌病菌)의 영양원(營養源) 최적온도(最適溫度) 및 pH 사멸온도방제약제(死滅溫度防除藥劑)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종(各種) 배지(培地) 중(中)에서 괴균병균(塊菌病菌)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양송이 종균(種菌) 추출배지(抽出培地)에서,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은 미강(米糠) 추출배지(抽出培地0에서 가장 좋았다. 2.각종(各種) 영양원중(營養源中) 탄소원(炭素原)으로 L-asparagin이나 ammonium nitrate, 탄소원(炭素源)으로 glucose나 fructose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다. 3. 균사생장(菌絲生長)의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5{\sim}28^{\circ}C$였고 최적(最適) pH는 5.5내외(內外)였다. 4. 사멸온도(死滅溫度)는 균사(菌絲)가 $40^{\circ}C$에서 120분(分), 또는 $60^{\circ}C$에서 60분(分) 이상(以上), 자양포자(子襄胞子)가 $60^{\circ}C$에서 240분(分) 또는 $80^{\circ}C$에서 120분(分) 이상(以上) 열처리시(熱處理時) 완전(完全) 사멸(死滅)되었다. 5. 본(本) 병(病)은 종균(種菌) 재식시(栽植時)나 복토전(覆土前) 퇴비(堆肥)에 접종(接種) 했을 때 피해(避害)가 컸다. 6. basamid나 vapam약제(藥劑)를 퇴비(堆肥) 입상시(入床時) $100{\sim}150 ppm$ppm으로 처리(處理)한 후(後) 후발효(後醱酵)를 실시(實施)하므로서 괴균병(塊菌病)을 방제(防除)할 수 있었다.

  • PDF

항염증 물질 생산 능력이 우수한 야생효모의 선별 및 이들의 균학적 특성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Compound-producing Wild Yeasts and Their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 배상민;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12-223
    • /
    • 2017
  • 비병원성 야생효모들로부터 새로운 항염물질을 생산하고자 우리나라 주요 섬과 산에서 분리, 동정한 야생 효모들 중 비병원성 효모들의 무세포 추출물들을 제조하여 이들의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182 균주 중 Metschnikowia reukaufii SY20-7, Rhodotorula ingeniosa SY1-1, Yarrowia lipolytica SY51-1, 51-3,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 Rhodotorula graminis YJ36-1, Rhodotorula nothofagi YJ1-1, YJ22-2, Metschnikowia koreensis UL32-1, Sporobolomyces carnicolor UL32-3 등 10 균주들의 무세포 추출물들이 30% 이상의 NO 생성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들 중 유포자효모들에서는 Rhodotorula graminis YJ36-1가 가장 높은 57.4%의 NO 생성 저해활성을 보였고 무포자효모들에서는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가 47.0%로 가장높아 항염물질생산 우수효모로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야생효모들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Rhodotorula graminis YJ36-1 균주는 자낭포자와 위균사를 형성하였고 $25^{\circ}C$에서 잘 생육하였으며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는 자낭포자와 위균사를 형성하지 않았고 $30^{\circ}C$, 5%의 NaCl 함유 YPD 배지에서도 잘 생육하였다. 또한, 두 효모 모두 pH 4.0~8.0에서 생육하였고 YM, PD, YPD, 비타민 무함유 배지 등에서 잘 생육하였다.

충남 서천군 갈대밭 주변 토양에서 야생효모의 분리 및 미기록종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Soils of Reed Fields in Seocheon-gun County,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Yeasts)

  • 한상민;이상엽;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4-240
    • /
    • 2017
  • 충남 서천군 한산면 신성리 금강하구 갈대밭 토양의 야생효모 분포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갈대밭 토양 20점을 채취하여 야생효모들을 분리하여 총 11종 20균주의 야생효모를 동정하였다. Candida속의 효모가 10균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그 중 Candida subhashii 균이 6균주로 가장 많았다. 분리된 균주 중에서 Candida tropicalis (Y5-1,Y5-2, Y6-1), Candida subhashii (J7-1, J7-3, J8-1, Y9-1, Y9-2, Y9-3), Lachancea thermotolerans (MJS 007, MJS 019) 균주 등 12균주들이 알코올 발효능을 보였다. Bullera japonica YJ10-1, C. subhashii J7-1, Kluyveromyces yarrowii YJ11-1, Ustilago shanxiensis Y10-1등 4균주들이 국내 미기록 효모 균주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이들 국내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으로 Candida subhashii J7-1만이 자낭포자와 의균사를 형성하였다. Kluyveromyces yarrowii YJ11-1은 비타민을 함유하지 않은 배지에서도 생육하였고 Candida subhashii J7-1는 YM과 YPD 배지 및 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장하지 않았다.

Glomerella cingulata에 의한 유카리나무 탄저병 발생 (Occurrence of Anthracnose Caused by Glomerella cingulata on Eucaly trees in Korea)

  • 권진혁;정선기;지형진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211-215
    • /
    • 2007
  •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 동안 경남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 마을의 유카리나무 재배농가에서 잎과 줄기 및 가지에 이상증상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처음 잎과 줄기에 갈색 또는 암갈색의 작은 둥근 반점으로 나타나고 심하면 잎과 줄기가 말라 죽는다. 균총은 감자한천배지에서 회색이고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단세포로 원통형이며 크기는 $9{\sim}22{\times}3{\sim}6{\mu}m$였다. 부착기의 모양은 원통형 또는 난형으로 암갈색을 띠고 크기는 $6{\sim}18{\times}4{\sim}10{\mu}m$였다. 자낭각의 모양은 구형이고 검은색으로 크기는 $76{\sim}274{\mu}m$였다. 자낭은 바나나 또는 원통형이며 크기는 $42{\sim}76{\times}8{\sim}12{\mu}m$였다. 자낭포자는 방추형 또는 원통형으로 가운데 부분이 약간 굽었으며 크기는 $10{\sim}23{\times}4{\sim}6{\mu}m$였다. 분리된 병원균을 접종하였을 때 자연 감염된 병징과 유사한 병증상을 발생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병해를 Glomerella cingulata(무성세대: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의한 유카리나무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영지의 새로운 병원성진균 Xylogone sphaerospora (Xylogone sphaerospora, a New Fungal Pathogen of Cultivated Ganoderma lucidum)

  • 이종규;최경자;조광연;오세종;박정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246-254
    • /
    • 1996
  • 1980년대 중반이후로 우리나라에서 영지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매년 증가해 오고 있지만 1980년대 말기부터 강화, 철원, 신탄지 등지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새로운 병원성 진균의 출현에 의해서 영지재배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으며 영지재배의 제한적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영지재배시에 발생하는 새로운 진균성 병해의 효과적인 방제수단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병원성 진균을 분리하고 동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병원균에 의해 감염된 영지재배 원목에서 분리한 균주가 인공 접종시 전형적인 병징을 나타낼 수 있는지 병원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병원성 진균에 의해서 생성되는 병징, 균사, 분절포자, 자낭과, 자낭포자 등을 육안, 해부현미경,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이 병원균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낭과는 성숙시 검은색의 두꺼운 막으로 된 구형으로 직경은 $45{\sim}95\;{\mu}m$로 크기가 다양하였다. 자낭은 막이 얇고 형성되는 즉시 없어지기 때문에 매우 관찰하기 어려우며 자낭포자는 구형으로 무색이며 비교적 두꺼운 막으로 싸여 반들반들하게 보이고 크기는 $3.6{\sim}4.3\;{\mu}m$ 정도로 균일하였다. 분생자병은 즉시 막이 두꺼워지고 격막으로 나누어지면서 분절포자가 형성되었고 분절포자는 원통형으로 길이가 $3{\sim}6\;{\mu}m$족이 $3{\sim}4\;{\mu}m$정도였다. 따라서 이상의 형태학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이 병원균의 완전세대는 Xylogone sphaerospora Van Arx & Nilsson로, 불완전세대는 Sporendonema purpurascens (Bonordon) Mason & Hughes로 동정되었으며, 이 균은 영지의 병원균으로는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

  • PDF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에 의(依)한 가중나무 흰가루병(病) (Notes on Powdery mildew of Ailanthus altissima caused by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

  • 김기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13
    • /
    • 1965
  • Powdery mildew of Ailanthus altissima Sw. was first reported by J.S. Park in Korea, 1961. According to his report, this disease was found on the leaves of this tree species collected in Jeongup, 1957, and in Taejon, 1958. He describe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is pathogen and described also that the causal fungus may be closely related with Phyllactinia corylea. This disease which appears dusty grayish yellow molds under surface of leaves was collected again by the author in Kwangju, 1962. The present works were undertaken to make clear the species of causal fungus by means of the morphology and pathogenecity. According to the following results, the pathogen was identified as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fungus Mycelia persistent or more or less evanescent; matured conidia solitary, aseptate, short-clavate to clavate to clavate, hyaline or yellowish, granulate, $44.6-89.2{\times}9.3-24.2{\mu}$, average $64.8-17.8{\mu}$ in size; conidiophores elongate clavate or columnar, hyaline, 2-3 septate, $122.8-346.0{\times}3.7-7.4{\mu}$, average $208.8{\times}6.3{\mu}$; per-thecia usually scattered, rarely gregarious, dark brown to black, depressed globose to globose, $223.2-297.6{\mu}$, average $267.8{\mu}$ in diameter; appendages 12-19, usually 15 in number, hyaline, straight, needle-shaped, sharply pointed at the apex and bulbous at the base, aseptate, $93.0-310.0{\times}5.0-8.0{\mu}$, average $173.3{\times}6.4{\mu}$ in size; asci elongate ellipsoidal to broadly clavate, hyaline, more or less stalked, 8-13 in number, $68.5-76.6{\times}26.1-34.2{\mu}$, average $71.4{\times}29.0{\mu}$ in size; ascospores 2-4, usually 2 in number, hyaline or yellowish, aseptate, ellipsoidal or ovate, $27.7-34.2{\times}14.7-17.9{\mu}$, average $25.5{\times}13.9{\mu}$ in size. Pathogenicity of the fungi In order to make clear the species of the fungus and the pathogenic differences of Phyllactinia fungi which are collected around the contaminated area and seemed to be related to Ailanthus powdery mildew, some inocul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1. Cross inoculation to several tree species with their pathogen: Tested materials; Phyllactinia in question on Ailanthus altissima Sw. Ph. fraxini (DC.) Homma. On Alnus firma S. et Z. Ph. moricola (P. Henn.) Homma on morus alba 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reactions were all negative with the exception of the original hosts of tested fungi. 2. Inoculation to Picrasma ailanthoides Planch. : The appearance of symptom on the leaves of P. ailanthoides is not distinct, but more or less mycelial growth. Therefore, under the optimal condition in glass chamber, it may be possible to success artificially.

  • PDF

Glomerella cingulata에 의한 쇠무릎 탄저병 (Anthracnose of Achyranthes japonica Caused by Glomerella cingulata in Korea)

  • 권진혁;강수웅;김정수;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8권1호
    • /
    • pp.59-62
    • /
    • 2002
  • 2001년 8월 경상남도 산청군 쇠무릎 야생 군락지에서 잎, 줄기에 탄저병이 발생하였다. 분리된 병원균의 균총은 PDA에서 회색 또는 짙은 회색이고 배지상에서 자낭을 형성하였다. 분생포자는 모양은 단세포로 원통형이며 크기는 10.2~20.4$\times$3.6$\times$6.0$\mu$m였다. 부착기 모양은 원통형 또는 난형으로 암갈색을 띠고 크기는 6.2~10.5$\times$4.3$\times$8.6$\mu$m였다. 자낭각의 색깔은 검은색으로 구형이며 크기는 72.6~284.7$\mu$m였다. 자낭은 곤봉 또는 원통형이며 크기는 63.6~98.8$\times$8.3~12.5$\mu$m였다. 자낭포자는 방추형 또는 원통형으로 약간 굽었으며 크기는 9.6~21.8$\times$4.0~6.0$\mu$m였다.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다. 분리된 병원균은 건전한 쇠무릎에 접종한 결과 감염을 일으켰으며 병징은 똑같았다. 이병을 Glomerella cingulata에 의한 쇠무릎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교배육종에 의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도원홍초'의 품종특성 (Varietal characteristics of cross-bred Cordyceps militaris 'Dowonhongcho')

  • 이병주;이미애;김용균;이광원;최영상;이병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1-156
    • /
    • 2015
  •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는 다양한 생리적 및 약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약용버섯으로 인정받으며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교배를 위해 자낭포자를 분리한 후 균사생장, 균사밀도, 자실체 및 자낭각 형성 여부 등에 대한 검토를 하였고, 그 중에서 우수한 특성의 균주를 이용하여 교배와 선발과정을 거쳐 신품종 '도원홍초'를 육성하였다. 신품종 '도원홍초'는 SDAY배지 및 $10{\sim}25^{\circ}C$ 온도조건에서 균사 생장이 양호하였다. 신품종의 자실체는 곤봉형이고 밝은 주황색을 띠었으며 코디세핀 함량은 0.34% 였고 자좌의 평균길이는 6.1 cm였다. '예당 3호'와 비교할 때, 새로운 품종 '도원홍초'의 수량은 9% 증수되었고 자실체의 경도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균사생장 적온은 $22{\sim}25^{\circ}C$였고, 버섯 발생 적온은 $18{\sim}22^{\circ}C$였으며 접종에서부터 자실체 발생까지의 기간은 45일이 소요되었다. 신품종 '도원홍초'는 동충하초 인공재배 및 산업적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