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hatching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4초

전어(Konosirus punctat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 and Juvenile of the Konoshiro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 김관석;한경호;이정현;이성훈;김춘철;고현정;정관식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2호
    • /
    • pp.127-135
    • /
    • 2007
  • 이 연구는 2004년 6월에 전북 김제시 만경면 심포 앞바다에서 채집된 전어를 전남대학교 어류학실험실로 운반하여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한 난을 대상으로 난 발생 및 자치어 발육 과정을 관찰하였다. 전어의 산란기는 $3{\sim}6$월이었고, 수정란은 구형의 분리 부성란으로 난경은 $1,14{\sim}1.34\;mm$(평균, 1.21 mm)였다. 수온이 $19.0{\sim}23.0^{\circ}C$(평균 $21.2^{\circ}C$)에서 수정 후 35시간 53분에는 눈에 렌즈가 착색되었고, 심장이 분화되어 꼬리가 난황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으며, 배체 전반부에 흑색 소포가 나타났다. 수정 후 37시간 10분 만에 첫 부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4.26{\sim}5.30\;mm$(평균 4.96 mm)로 난황을 달고 있었고, 입과 항문은 아직 열려 있지 않았으며, 항문은 전장의 80%로 꼬리지느러미의 기저에 약간 앞쪽에 위치하였으며, 근절은 $22{\sim}27$개였고, 눈에는 흑색 소포가 착색되어 있었다. 부화 후 2일째의 전기 자어는 $4.96{\sim}5.74\;mm$(평균 5.24 mm)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었고, 부화후 16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이 $9.66{\sim}10.81\;mm$(평균 9.66 mm)로 꼬리말단이 굽어지기 시작하면서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줄기가 형성되었다. 부화 후 53일째의 치어기는 전장이 $27.11{\sim}34.09\;mm$(평균 30.11 mm)로 머리 부분이 현저하게 발달하였고,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거의 일직선상에 위치하였다. 이 시기에 모든 지느러미는 정수에 달하였으며, 체형이나 반문이 성어와 닮은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어류는 같은 과 내에서도 흑색 소포의 모양과 위치가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흑색 소포의 특징과 함께 전어의 초기 발달의 특징을 명확하게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 PDF

복섬, Takifugu niphobles(Jordan et Snyder)의 산란습성(産卵習性) 및 초기생활사(初期生活史)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Jordan et Snyder) (Teleostei: Tetraodontidae))

  • 오성현;한경호;김용민;정현호;신상수;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6-243
    • /
    • 2000
  • 1998년(年) 5월(月)부터 7월(月)까지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 연안에서 복섬 어미들이 자연산란(自然産卵)하기 위해 산란장(産卵場)으로 이동하여 산란(産卵)하는 모습을 관찰하였고, 이들 중 일부는 반두로 채집하여 여수대학교 자원생물실험실로 운반한 후, 인공수정(人工受精)하여 난발생과정(卵發生過程) 및 자치어(仔稚魚)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복섬의 산란기(産卵期)는 여수 돌산 연안에서 5월(月)하순에서 7월(月)초순까지였으며, 파도가 약한 자갈밭을 산란장(産卵場)으로 대조 2~6일 전에 군집을 이루어 만조 2~3시간 전에 산란(産卵)을 하였다. 복섬의 수정란(受精卵)은 구형의 침성란(沈性卵)으로 무색투명하며, 난(卵)의 크기는 0.87~0.95 mm (평균 0.92 mm)로 여러 개의 크고 작은 유구(油球)를 가지고 있으며, 유구(油球)의 크기는 0.0014~0.0540 mm이다. 사육수온 $21.2{\sim}22.3^{\circ}C$ (펑균 $21.8^{\circ}C$)에 서 수정(受精) 후(後) 146시간만에 첫 부화(孵化)가 시작되었다. 부화(孵化) 직후(直後) 자어(仔魚)의 전장은 2.02~2.24 mm(평균 2.14 mm)로 근절(筋節)은 8~9+14~15=22~24개였으며, 전장의 약 1/3 크기의 난황(卵黃)을 가지고 있고, 입과 항문이 열려있지 않았다. 부화(孵化) 후(後) 3일째 자어(仔魚)는 전장 2.64~2.93 mm (평균2.76 mm)로 난황(卵黃)이 흡수 되여 후기자어기(後期仔魚期)로 이행 하였고, 입이 먼저 열리면서 먹는 활동이 시작된 후 항문이 열렸다. 부화(孵化) 후(後) 15일째 자어(仔魚)는 전장 4.43~4.82 mm (평균 4.59 mm)로 두부가 현저하게 발달하고 체고(體高)가 높아지면서 체형이 복어류에 가까운 구형으로 변화하기 시작하면서 배색말단(背索末端)이 굽어지기 시작하였다. 부화(孵化) 후(後) 28일째 개체는 평균 전장이 7.60 mm로 각 지느러미가 정수에 달하고 반문이 성어(成魚)와 닮기 시작하면서 치어기(稚魚期)로 이행하였다.

  • PDF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인공종묘의 대량생산 (Mass Production of Artificial Seedlings in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 김태익;고창순;허영백;진영국;이정용;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3-319
    • /
    • 2012
  • 2001년 8월 8일부터 12월 5일까지 말백합 대량 인공종묘 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채란은 평균각장 $65.8{\pm}8.4mm$의 어미 100 개체로부터 공기노출과 수온상승자극 방법으로 채란 하였으며, 수정란에서 D형유생까지 발생 소요시간은 수온 $27^{\circ}C$에서 17시간 40분, 발생률은 6.1%, D형유생은 각장 $131.4{\pm}2.6{\mu}m$였다. D형유생은 4일간 사육하여 각장 $190.2{\pm}7.5{\mu}m$의 침착기 유생으로 성장하였고, 생존율은 48.1%였다. 이후 침착기 유생 130,000 개체를 저면 모래순환여과 방법으로 침착시켜 사육하였으며, 46일째 평균각장 $3.1{\pm}0.8mm$, 87일째 $6.6{\pm}1.8mm$, 그리고 114일째에 $10.5{\pm}0.9mm$로 성장하였다. 치패의 각장 (SL) 에 대한 각고(SH) 의 상대성장식은 SH = 0.8501SL + 0.0196 ($R^2=0.9987$)로 나타났다. 초기 침착치패인 각장 3.1 mm 이하에서 대량폐사가 일어났으며, 생존율은 사육 46일째 53.8%, 87일째 43.6%, 그리고 114일째에 51,000 개체가 생존하여 생존율 39.2%를 나타냈다.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의 산란유발 및 유생사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Spawning Induction and Larvae Breeding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 김병학;문태석;박기열;조필규;김민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1-156
    • /
    • 2010
  • 본 연구는 말백합 산업화를 위하여 어미성숙 관리한 인위성숙개체군과 시기별로 어미를 수송 채란한 자연성숙개체군을 산란유발 방법 별로 산란을 유도하여, 수정율, 부화율, D형 유생 발생률을 조사하였고, 유생사육 방법별로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 등을 조사하였다. 인위성숙개체군의 간출시간별로 산란 유도한 결과 간출 4시간 및 8시간이 반응률이 23% 및 32%로 비교적 높았고, 수온 상승별로는 $28^{\circ}C$ 이상 되어야 반응이 시작되었다. 간출 및 수온상승 병행 시험구에서는 간출 4시간 및 $28^{\circ}C$에서 반응률이 45% 이상으로 나타났고, 29, 30, $31^{\circ}C$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말백합 어미는 간출시간보다는 수온상승에 반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미수송개체군의 시기별 산란유발 결과는 2009년 8월 6일이 반응률 67.6%, D형 유생 발생률이 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생사육 시험 중 수온별로는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을 고려할 때 유생사육 적정수온은 $27-31^{\circ}C$, 최적수온은 $29^{\circ}C$로 나타났고, 염분은 25에서 성장 및 생존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수용밀도별로는 5 inds./mL에서 성장 및 생존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볼락, Sebastes inermis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1. 인위적 방법에 의한 수조내에서의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의 형태- (The Early Life History of the Rockfish, Sebastes inermis -1.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e by Artificial Treatment in Aquarium-)

  • 김용억;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58-464
    • /
    • 1993
  • 1992년 7월부터 부산, 경상남도 거제 및 충무 연안에서 낚시와 자망에 의해 채집한 친어들을 육상수조로 운반하여 사육하던 중, 1992년 11월부터 친어의 체내에서 수정된 난을 인위적으로 채난하여 난의 형태, 난발생과정 및 부화자어의 성장에 다른 형태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볼락의 수정난은 구형으로 무색투명하며, 난경은 $1.20{\sim}l.35mm$(n=50)이고, 평균 $12.3^{\circ}C$에서 상실기 이후 악 55시간만에 부화한다. 2.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2.90{\sim}3.35mm$로 아직 입과 항문이 열려 있지 않고, 눈에 흑색소포가 착색되어 있으며, 근절수는 $8+12{\sim}13=20$개이다. 3. 부화 $9{\sim}10$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5.00{\sim}5.25mm$로 가슴지느러미가 막상으로 크게 분화하고, 처음으로 복강에 흑색소포가 출현한다. 4. 부화 $20{\sim}23$일째 자어는 전장이 $5.60{\sim}6.05mm$로 흑색소포가 두 정부와 꼬리중앙부분에 나무가지 모양으로 출현한다. 5. 부화 $27{\sim}30$일째 자어의 전장은 $5.75{\sim}6.15mm$로 근절수가 $25{\sim}26$개로 증가한다.

  • PDF

누에 형질전환에 적합한 실용품종 누에알의 제조 (Modification of the commercial silkworm eggs adequate for Bluemoon0silkworm transgenesis)

  • 김성완;강민욱;강석우;윤은영;최광호;김성렬;박승원;노시갑;구태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3-77
    • /
    • 2013
  • 지금까지 형질전환에 사용된 품종은 휴면각성을 위해 염산처리가 불필요한 비휴면계통인 다화성품종에서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휴면계통의 누에알을 대상으로 형질전환누에를 제작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잠농가에 장려품종으로 보급되고 있는 백옥잠(잠123 ${\times}$ 잠124)과 원종인 잠124의 월년란을 불월년란화 하기 위한 처리조건을 구명한 바 산란 후 40 ~ 60시간째에 온도는 $15{\sim}20^{\circ}C$, 조명은 암(0L:24D)처리로 100% 불월년화가 유도되었다. 또한 불월년란은 월년란에 비해 부화율, 상족율 및 화용비율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다. 불월년란으로 유도된 실용품종 누에알에 누에 형질전환용 전이벡터를 미세주입한 후 부화율을 분석한 결과, 불월년란으로 유도된 월년란의 부화율은 40 ~ 70% 로, 인공부화 처리한 월년란의 10 ~ 30%, 다화성누에 HM의 30 ~ 50% 부화율에 비해 높은 부화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불월년란 유도 기술은 현재 양잠 농가에 보급하고 있는 실용품종을 형질전환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치가자미의 난발생과 부화자어 (Eggs Development and Larvae of the Right-eye Flounder, Limanda yokohamae Gunther)

  • 김용억;명정구;박지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9-394
    • /
    • 1983
  • 1983년 2월 3일 부산어시장에서 성숙된 문치가자미를 채집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후 인공수정에 의한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에 대하여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난은 구형이며 침성점착난으로 난경은 $0.71{\sim}0.80mm$ 이고 유구는 없다. 2. 사육시 수온은 $5.5{\sim}17.0^{\circ}C$, 염분농도는 $30.8{\sim}32\%$의 범위에서 수정후 120시간만에 첫 부화가 나타났다. 3.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2.64{\sim}2.72mm$ 이며 눈은 완전히 착색되지 않았던 근절수는 $9{\sim}10+30{\sim}32=39{sim}42$. 몸에는 황갈색소포가 나타난다. 4. 부화후 3일째의 전장 3.3mm의 자어는 입이 열리며 아가미뚜껑 위에 황색소포가 나타난다. 5. 부화후 7일째의 전장 3.70mm의 자어에서는 난황은 거의 흡수되고 흔적만 남는다.

  • PDF

인위적 성숙 유도된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자연산란에 의한 난발생과 Pre-leptocephalus 자어의 발달 (Development of the Eggs and Pre-Leptocephalus Larvae by Natural Spawning of Artificially-Matur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중;강언종;배준영;박민우;김응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0-167
    • /
    • 2007
  • 극동산 뱀장어의 자연 수정란을 이용하여 $23{\pm}0.5^{\circ}C$의 여과 해수가 공급되는 실내수조에서 난발생과 pre-leptocephalus 자어발달을 관찰하였다. 친어 관리에 있어서 암컷은 연어 뇌하수체 추출물(20 mg/fish)과 수컷은 HCG (1 IU/g BW)를 매주 복강 주사하여 인위적인 성성숙 및 자연산란을 유도하였다. 수정란은 직경 1.0 mm 정도의 분리 부성란으로, 전형적인 반상분할(discoidal cleavage)을 통해 분할이 이루어졌다. 부화는 $23^{\circ}C$의 여과 해수에서 수정 후 38시간부터 개시되었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약 3.0 mm, 근절수는 평균 42개였다. 부화자어의 입과 항문은 부화 후 4.5일째에 열렸고, 난황은 부화 후 6.5 일째에 거의 흡수되었다. 자어는 14.5일 동안 생존하였고, 이때 전장 $5.87{\pm}0.25mm$, 근절은 98개였다. 그러나 수정란과 prelaptocephalus 자어발생의 형태학적 특징은 자연수정과 건식법에 의한 인공수정과 큰 차이점은 없었다.

전 암컷 2배체 및 3배체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생산 (Production of All-Female Diploid and Triploid Populations in Paralichthys olivaceus)

  • 김동수;문영봉;정창화;김봉석;이영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9-164
    • /
    • 1994
  • 넙치 암컷과 유도된 자성발생성 2배체 숫컷 넙치를 교배시켜 넙치의 전 암컷 2배체를 생산한 후, 전 암컷 수정난에 저온처리하여 전 암컷 3배체 넙치를 생산하였다. 그 결과 부상율 및 수정율에 있어서 2배체 대조군, 전 암컷 2배체, 3배체 대조군 그리고 전 암컷 ,3배체군 모두에서 차이가 없었다 (P>0.05). 그러나, 3배체 대조군 및 전 암컷 3배체군은 여타 실험군에 비해 부화율이 낮게 나타났다 (P<0.05). 생식소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전 암컷 2배체 처리군 및 전 암컷 3배체 처리군의 성비는 모두 $100\%$ 암컷이었다. 배수체 검정을 위해 세포크기 및 염색체를 분석한 결과, 세포 및 핵의크기는 3배체가 대조군에 비해 각각 1.95 및 1.96 배 증가되었고, 염색체 수 및 핵형은 2n=48 및 3n=72 acrocentric chromosome이었다. 생식소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4개월 된 3배체 암컷의 생식소는 전형적인 생식소 수준의 불임을 보여 주었다.

  • PDF

Diet of yellow bitterns (Ixobrychus sinensis)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South Korea

  • Kim, Mi-Ran;Yoo, Jeong-Chil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1호
    • /
    • pp.9-14
    • /
    • 2012
  • Yellow bitterns (Ixobrychus sinensis) are a small wetland bird common to Asia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Japan, and Chin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diet of yellow bitterns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artificial wetland of northeastern South Korea between May to August 1999-2001.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 observe the frequency of nest visiting by parents during the chick rearing period. A total of 98 boluses regurgitated by 52 chicks aged 1 day to 11 days after hatching form the sample and are shown to contain 323 food items. A bolus contained mean 3.8 items and weighs 0.2 g to 7.7 g. The most regularly occurring food items recorded are fish (63%) and insets (33%). In terms of fish, top mouth minnows (Pseudorasbora parva) and crucian carps (Carassius auratus) are frequently observed. In terms of insects, there are mosquitoes (Diptera), instars of dragonfly (Libelluidae), damselflies (Coenagrinonidae) and water bugs (Diplonychus japonicus). Yellow bitterns were also shown to feed on bull frogs (Rana catesbeiana), shrimp (Palaemonidae), and spiders (Araneae). The size of fish in a bolus ranged from 15.56 mm to 93.73 mm (mean, 37.08 mm). The amount of food can be observed to increase with the age of chicks (r = 0.279, P = 0.025, N = 64) but parents did not provide larger fish as chicks grew. Parent birds visited nests more frequently when they have a larger brood ($F_{1,21}$ = 14.529, P = 0.001). Our results suggest that fish is the most important prey during the breeding season and that age of chicks is related to amount of diet in yellow bitte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