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pod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3초

관행 고추밭과 유기농 고추밭에서 절지동물의 군집 구조와 생물다양성의 비교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Arthropos between Coventional and Organic Red Pepper Fields)

  • 이수연;김승태;임재성;정종국;이준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01-615
    • /
    • 2013
  • 본 연구는 관행포장과 유기포장에서 절지동물의 군집 구조와 생물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기간 중 채집된 절지동물은 관행포장에서 6,901개체였으며 유기포장에서는 21,871개체로 총 28,718개체였으며 10목 24과 36종으로 동정되었으며 농법별 절지동물 군집을 구성하는 종수는 관행농과 유기농 모두 32종으로 같았고 관행포장에서는 파리목, 유기농에서는 벌목과 톡토기목의 종지수가 높았다. 대만총채벌레(F. intonsa)는 농법에 관계없이 발생밀도가 현저히 높았고 관행포장에서 우점종은 담배나방(H. assulta)이었고 유기포장에서는 줄무늬빗톡토기(H. mediaseta), 파리류 4(Diptera sp. 4) 및 별늑대거미(P. astrigera)였다. 절지동물 군집의 생물다양성은 지표면에서 종다양성이 관행포장에서 유기포장보다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농법간 절지동물의 군집의 유사성은 지표면 및 지상부 식물체에서 활동하는 절지동물 군집은 대체로 농법에 의해 구분되었으며 그 유사도는 각각 34.07%와 26.95%로 비교적 낮아 농법간 이질성이 있었다. 생태학적 기능군의 종지수는 지상부 식물체에서 일반군, 해충군 및 천적군 중 기생포식자군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해충군과 기생포식자군 모두 유기포장에서 높았다. 발생밀도는 지표면에서 천적군 중 포식자군이 유기포장에서 관행포장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고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종다양성은 지상부 식물체에서 일반군과 천적군 중 기생포식자군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 개별 생태학적 기능군의 농법별 상대적 발생밀도 변동에서 관행포장에서는 해충군의 점유도가 높았고 유기농에서는 분해자군의 점유도가 현저히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유기농업에서 효율적인 해충관리방안을 구축하는데 있어 유용한 절지동물 군집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호두나무 포장 내 절지동물의 다양성 (Arthropod Diversity in Walnut Orchards)

  • 정종국;이효석;이승규;고상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21-1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호두나무 재배지에 대한 절지동물의 군집 구조를 파악하고, 주요 해충과 천적의 종류 조사를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조사방법(털어잡기, 깔때기트랩 및 함정트랩)에 따른 다양성 및 군집구조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김천시, 부여군 및 화성시에서 호두나무 재배 농가 1곳씩을 선정하였고,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408종 4,372개체의 절지동물이 채집되었고, 이중 전체 조사지역에서 채집된 종은 63종이었다. 깔때기트랩에서 가장 다양하게 절지동물이 채집되었으며, 함정트랩에서 가장 많은 절지동물이 채집되었다. 또한 깔때기트랩과 털어잡기에 의해 채집된 종 구성은 서로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별로 주요 해충의 발생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복숭아명나방, 뽕나무깍지벌레, 호두나무잎벌레, 꽃매미, 미국선녀벌레 및 갈색날개매미충이 잠재적으로 중요한 해충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외에도 다수의 포식성 및 기생성 절지동물들이 확인되었고, 이들에 대한 정보들은 향후 호두나무 포장의 관리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해충관리 수준이 다른 이앙재배 논에서의 거미의 발생과 개체군 동태 (Occurrence and Population Dynamics of Spiders in Transplanting Rice Fields under Different Levels of Pest Management)

  • 박홍현;이준호;김승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287-293
    • /
    • 2005
  • 본 연구는 1996년부터 1998년까지 경기도 화성시 발안 지역의 이앙재배한 논에서 발생하는 거미의 개체군 동태 및 군집자료를 바탕으로 관행의 살충제 살포가 거미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3년간 조사에서 조사 포장들에서 거미군집은 연간 변이가 적은 안정된 발생을 보였으며, 발생밀도에서 천적군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우점군이었다. 이 지역의 벼 생육기간동안 단위면적당$(0.25m^2)$ 평균 거미밀도는 약 10마리 정도였으며, 늑대 거미과(Lycosidae), 갈거미과(Tetragnathidae), 접시거미과(Linyphiidae)가 우점하였다. 거미군집의 밀도는 본답 초기에 벼의 이앙과 함께 이입으로 인해 형성되기 시작하여 중기부터 급격한 밀도 증가를 보이며, 후기에 최고밀도를 유지하다가 수확시기에 밀도가 감소하는 패턴을 가졌다. 특히, 비래 해충의 발생이 적었던 해에는 관행적인 살충제 살포에 의한 거미군집의 교란 효과가 적게 나타났다. 우점종인 황산적거미와 턱거미는 다소 다른 개체군 동태를 가졌는데, 황산적거미는 7월 중순부터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후기에는 성체보다는 유체들의 발생비율이 높았던 반면, 턱거미는 8월 말부터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후기에 성체형태로 대부분 발견되었다.

시설재배 고추에 발생하는 4종의 주요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 (Control Efficacy of Natural Enemies on Four Arthropod Pests found in Greenhouse Hot Pepper)

  • 김정환;변영웅;최만영;지창우;허수영;박은미;강은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83-90
    • /
    • 2012
  • 반촉성재배 시설고추에 발생하는 4종의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를 660 $m^2$의 면적에서 조사하였다. 진딧물은 3포트의 진디벌-뱅커플랜트와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m^2$당 4월16일 0.8 마리와 4월 23일 2.3 마리를 방사하여 진딧물을 성공적으로 방제할 수 있었다. 총채벌레 방제를 위해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5월 11일과 6월 12일 $m^2$당 총 3.0 마리를 방사하여 작기 동안 총채벌레 밀도를 꽃 당 0.3 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5월 11일과 5월 30일 $m^2$당 총 113.7 마리를 방사하여 작기동안 담배가루 이 밀도를 트랩 당 171.0마리 이내, 차응애 밀도는 잎 당 0.8 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차먼지응애는 지중해이리응애 방사 12일 후에 완전방제 되었다. 4종 해충의 방제에 소요된 천적사용 비용은 660 $m^2$당 42만원이었다.

Survey of Flea Infestation in Dogs in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of Iran

  • Tavassoli, Mosa;Ahmadi, Amir;Imani, Abbas;Ahmadiara, Emad;Javadi, Shahram;Hadian, Mojtab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145-149
    • /
    • 2010
  • Medically important arthropods, including fleas, play an important role in causing clinical disorders and disease in man and domestic anima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easonal flea infestations for domestic dogs from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of Iran. A total of 407 fleas, belonging to 5 different species, were recovered from 83 domestic dogs from 3 regions. There was a distinctive pattern of species distribution and infestations with the highest infestation rates observed in a temperate climate and higher rainfall. Additionally, fleas were observed over all seasons, except February and March, with the highest infestation rate observed in August (24.7%) and the lowest rate in January (1.7%). They also parasitize dogs with a different spectrum of species. The cat flea, Ctenocephalides felis (67.5%), exhibited the highest prevalence among all flea species found on dogs. Thus, climatic conditions and seasonal patterns impact on flea infestation and must be considered in developing control programs.

Characterization of Akabane virus (KV0505) from cattle in Korea

  • Yang, Dong-Kun;Kim, Yeon-Hee;Kim, Byoung-han;Kweon, Chang-Hee;Yoon, Soon-Seek;Song, Jae-Young;Lee, Sang-Hu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1-66
    • /
    • 2008
  • Akabane disease is caused by an arthropod-borne viral pathogen and leads to congenital abnormaliti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infected ruminants. One isolate, KV0505, showed cytopathic effect in Vero cells. The KV0505 isolate was obtained from plasma, which was collected from a cattle raised on Jeju Island in May 2005. Jeju Island is located near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isolate was confirmed as Akabane virus (AKAV) by immunofluorescence assay using AKAV 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Suckling mice inoculated with the isolate showed signs of paralysis and died within 10 days postinoculation. Comparisons of the KV0505 N gene sequence with 39 other known AKAV strains revealed nucleotide homologies ranging from 83.6% (MP496 strain) to 99.7% (M171 strain). When compared with the K-9 strain, which was isolated from a cow in Korea in 1994, the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with the N gene was 99.7%. Thus, genes of the KV0505 isolate we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the M171 strain, which were clustered into the Ic group of AKAV.

경기도 화성해역의 수산종묘 방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cked Effect of Fisheries Seeds at Whasung Sea area of Kyung Ki Province)

  • 서만석;김지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5-144
    • /
    • 2003
  • 1. The appearance of fisheries animals and plants of investigation areas were fishes, 20 species; algae, 9 species; molluska, 6 species; arthropod, 12 species; echinoderm, 5 species by confirmed appearance species. 2. The C.P.U.E by trap(1pcs of trap) were 3.95 species and weight of 2,098g, mainly catching species are greenling and jacopever(94.16%). The C.P.U.E by long liner(long liner 1coil, 100pcs) were 11.7species and weight of 6,418g, It occupied jacopever(35.63%) greenling(20.78%), bastard halibut(20.31%). The C.P.U.E of appearance species gill net(ipcs of gill net) were 5.05species and weight of 3,050g, It occupied jacopever(39.63%) greenling(29.83%), bastard halibut(17.47%). 3.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and natural species and stocked species, in case of bastard halibut, jacopever species were occupied species(83.33~92%), weight(86.86~96%). The stocked species were occupied species of 8.00~16.67%, weight of 4.00~13.14%. Provided the stocked projets were enacted effectively in future. The density of dwelling of stocked species were increase. Also, it will be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fishermens income.

곤충조직배양과 바이러스 연구 (Arthropod Tissue Culture and Virus Research)

  • 이연대
    • 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4-151
    • /
    • 1973
  • 1976년 7월부터 1979년 11월까지 격월로 진해만 일대의 연안해수에 대한 미생물의 분포를 주사하생물의 그 분포와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는데 그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세균은 수온이 올라갈수록 그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정점 1보다는 정점 2와3에서 더 많은 수가 분포하며 균류는 표층에서는 경향성이 없이 분포하나 층에서는 저층에서는 7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고 효모는 3월에 증가하나 계절적으로 큰 변화를 보여주고 있지 않다. 미생물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는 표층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으며 저층에서는 수온과 일반세균과는 매우 큰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용존산소와 일반세균, 효모와 분도 비교적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송이에 서식(棲息)하는 절지동물상(節肢動物相) (The Arthropod Fauna Inhabited in Pine Mushroom)

  • 김호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2권1호
    • /
    • pp.1-8
    • /
    • 1986
  • 송이에 서식(棲息)하는 절지동물(節肢動物)을 채집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송이에 서식(棲息)하는 곤충(昆虫)은 총(總) 7목(目) 19과(科)였다. 또한 곤충(昆虫) 이외(以外)에 거미목(目), 응애목(目), 선충목(目), 병안목(目) 등의 동물(動物)도 함께 서식(棲息)하였다. 2. 송이를 가장 크게 가해(加害)하는 것은 Gyroþhaena niponensis, 방아벌레과(科)(Elateridae)의 일종, 초파리과(科)(Drosophilidae) 일종의 곤충(昆虫)과 만달팽이과(科)(Philomycidae) 일종의 동물(動物)이었다. 3. 우점종은 반날개과(科)의 Gyroþhaena niponensis였다. 4. 천적(天敵)으로 유력시 되는 Oxyρorus germanus, 줄침노린재(Sþhedanolestes impressioollis), 벼룩파리과(Phoridae), 딱정벌레과(科)(Carabidae)의 Pristodactyla crocata, 금좀벌과(科)(Pteromalidae)의 일종, 좀벌과(科)(Eulophidae)의 Terastichus hagenowi 등의 곤충(昆虫)과 거미목(目)(Araneina)의 Achaearanea tepidariorum, Micrommata virescens 등의 동물(動物)이 서식(棲息)하고 있었다.

  • PDF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Wood-Boring Beetles Inhabited by Pine Trees

  • Park, Yonghwan;Jang, Taewoong;Won, Daesung;Kim, Jongku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189-196
    • /
    • 2019
  • Plants are consumed by a myriad of organisms that compete for resources. Direct interactions among multiple plant-feeding organisms in a single host can range for each species from positive to negative. Wood-boring beetle faces a number of biotic and abiotic constraints that interfere with the good prospects from the tree. Biotic factors, including arthropod pests and diseases, and abiotic factors, such as drought and water-logging, are the major constraints affecting the speci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nalyzing forest health, identify the kinds of wood-boring beetles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Our second goal was to analyz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regional communities and to examine. A total of 10,461 individual wood-boring beetles belonging to 8 families and 50 species attracted to trap trees in the pine forests were recorded during the study period on study sit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llected species showed that the community structure on all study sites was similar. Seasonal occurrences of dominant wood-boring beetles (5 species) from each study site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all species, except for Siphalinus gigas in May, followed by a gradual decline, and the largest number of Siphalinus gigas appeared in June. The similarity index of species composition was relatively high, ranging from 0.75 to 0.90 for each stud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