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misia

검색결과 999건 처리시간 0.032초

쑥 수집종의 항산화력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spp. Collections)

  • 최용민;정봉환;이준수;조용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09-214
    • /
    • 2006
  • 전국의 산과 들의 생육조건이 다양한 지역에서 생육한 약쑥, 뺑쑥, 참쑥, 제비쑥, 물쑥, 황해쑥, 더위지기, 가는잎쑥 등에 대하여 수집한 쑥 100계통을 실험에 이용하여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비교 실험한 지질과산화 억제력을 살펴보았을때 모든 쑥 시료에서 BHT 200 ppm과 유사한 억제력을 나타내어 그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쑥 수집종 100계통의 AEAC, EDA, 총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등을 분석한 결과 쑥 수집종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156{\sim}1,767mg/100g$ 범위로 최대 10배의 함량변이를 보였는데,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900mg/100g 이상인 수집종은 총 20 개체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종간, 수집지역 간에 편차가 컸는데 $82.9{\sim}852.2mg/100g$ 범위로 변이의 폭이 컸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13.4{\sim}95.0%$의 범위로 다양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이 90% 이상인 수집종은 총 23개체였다. ABTS와 DPPH 라디칼을 이용한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력 측정 결과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높았던 대부분의 시료에서 높은 라디칼 제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항산화력이 우수하며 생육 특성 및 수량성이 우수한 AC-60, AC-67, AC-77을 우수 계통으로 선발하였다.

식물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한 약용식물 개똥쑥 세포주 유도 및 세포주 추출물의 wound healing effect (Effect of Artemisia annua Linne callus induced by plant cell culture technology on wound healing)

  • 오승택;정해수;조문진;송미영;모상현;서효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628-5636
    • /
    • 2014
  • 현재 많은 나라들은 자생식물을 활용한 산업소재를 개발하는 데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화장품 산업은 친환경, 자연친화적인 소재를 찾는데 집중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수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한 식물을 식물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배양하고 그 함유물을 고농도로 얻음으로 효과적인 소재로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항암, 항균, 항산화, 항염 등의 효능이 입증되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개똥쑥을 선택하여 식물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해 유도한 캘러스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약 6개월 동안 식물세포배양기술로 개똥쑥 캘러스를 유도하였고, 유도된 캘러스를 얻어 열수 및 에탄올 추출하여 약 2개월간 다양한 효능을 시험하였다. HPLC 분석을 통하여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유효성분에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효능평가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개똥쑥 캘러스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항염관련 단백질인 COX-2의 발현을 50% 이상 감소시키고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상처 치유능이 70%정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개똥쑥 캘러스 추출물이 자연친화적, 친환경적인 소재로써 항염 및 상처치료 관련 제품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산 쑥속(국화과)의 화분학적 연구 (A palynological study of the genus Artemisia L. (Asteraceae) in Korea)

  • 박명순;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4-39
    • /
    • 2012
  • 한국산 쑥속(Artemisia L.) 31분류군을 대상으로 화분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화분의 분류학적 형질을 평가하고 분류군간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산 쑥속의 화분 형태와 크기는 분류군간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화분 표면의 과립 존재와 밀집 정도, 자상돌기 기부의 연결 여부 등에서 다소 차이가 있어 속내 분류군간 식별 및 일부 근연분류군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쑥속 화분의 진화경향성은 과립상의 돌기가 거의 분포하지 않는 평활형인 표면과 자상돌기 사이의 기부가 연결된 형태로부터 1) 표면에 과립상의 돌기가 다소 분포하는 과립형과 자상돌기 사이의 기부가 연결된 형태로 분화되었으며, 2) 이로부터 표면에 과립상의 돌기가 다소 분포하는 과립형과 기부는 확장하지 않아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포하는 형태로 분화되었고, 3) 이로부터 표면에 과립상이 밀집하여 심하게 주름진 과립 밀생형이 파생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화분학적 특징은 외부형태와 지리적 분포, 체세포염색체 수 등의 형질과 더불어 근연관계인 제비쑥 그룹(제비쑥, 섬쑥, 실제비쑥, 갯제비쑥)과 더위지기 그룹(더위지기, 털산쑥, 흰산쑥)의 유연관계를 잘 반영해 주었다.

약쑥엑스제 쑥뜸방식에 의한 체간 온도 변화와 당뇨병 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s of the Trunk Temperature and the Clinical Test for the Diabetics by the Artemisia Extract Moxibustion Method)

  • 윤동업;조봉관;배종일;구자성;김종원;이현민;조훈석;신우진;서상호;박동일;홍상훈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5-183
    • /
    • 2006
  • Objectives : We implemented the Artemisia Extract Moxibustion Method and had the clinical tests for the diabetes with it. Methods : We implemented Artemisia extract made by extracting the vasodilator and antioxidant compounds from Artemisia-CH2C12 fraction and the moxibustion method constructed with DC Power supply, controller, Artemisia pad. single and multiple heating terminal with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And we performed to estimate the efficiency on the questionnaire and the clinical tests with 23 cases of the diabetics. Results : We have estimated the improvement over 60% the symptoms that were the upper and lower limbs pain, frequent urination, spontaneous perspiration, thirst, decrease of body weight, and malaise after the moxibustion treatment on 5 cases among 23 cases. And the 19 cases took the biochemical check-up after the moxibustion treatment. From the results of biochemical check-up, the average HbAlc of before treatment was 8.400%, and after treatment 7.632%. The average HbAlc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P<0.001). And the average urinary blood of before treatment was 0.73 and after treatment 0.27. The average urinary blood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P<0.001). In addition the average FBS before treatment was 182.64 mg/dl, after treatment 161.77 mg/dl. Conclusions : We could estimate that our proposed moxibustion method was a significant treatment method for the diabetes.

  • PDF

인진쑥 Methanol 추출물이 암이 유발된 마우스의 비장세포 유래 Cytok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Methanol Extract on the Amounts of Splenocytes-derived Cytokines in Tumor Cells Inoculated Mice)

  • 김홍태;구세광;김주완;진태원;구성욱;임미경;도윤정;장광호;오태호;이근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08-412
    • /
    • 2009
  • The Artemisia capillaris THUNB is a perennial herb that belongs to the family Compositae spp. and probably the most common plant among the various herbal folk remedies being used in the treatment of abdominal pain, hepatitis, chronic liver disease, jaundice and coughing in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amounts of splenocytes-derived cytokine ($TNF-{\alpha},\;IL-1{\beta}$ and IL-10). In in vivo experimental tests using 210 ICR mice with Hepa-1c1c7 or sarcoma 180 cancer line, splenocytes derived cytokin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p < 0.05) reduced in the Hepa-1c1c7 and Sarcoma 180 inoculated vehicle controls, HP and SP, compared to those of the intact vehicle control on both the $28^{th}$ day and the $42^{nd}$ day, respectively. However, these decreases of $TNF-{\alpha},\;IL-1{\beta}$ and IL-10 levels induced by tumor inoculations were significantly (p < 0.01, p < 0.05) inhibited by mACH (Artemisia capillaris methanol extracts) treatment regardless of the type of experiments and tumor cells inoculated. The results suggest that Artemisia capillaris methanol extracts have prominent anti-inflammation effects on the cancer cell lines Hepa-1c1c7 and Sarcoma 180.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temisia Argyi H.)

  • 황초롱;서원택;배원열;강민정;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7-385
    • /
    • 2014
  • 본 연구는 남해특화작목인 섬애약쑥의 활용도를 높이고 건강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음건한 섬애약쑥과 일정기간 발효시킨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하고, 물과 에탄올 추출물(30%, 50%, 70%, 100%)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및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수율은 섬애약쑥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29.74%로 가장 높았으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섬애약쑥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72.25 mg/g 및 33.34 mg/g으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섬애약쑥 70% 에탄올 추출물은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beta}$-carotene linoleic 탈색 방지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00{\mu}g/ml$ 농도에서 섬애약쑥 70% 에탄올 추출물이 50.01%로 가장 높았으나 100% 에탄올 추출물은 11.44%로 가장 낮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250{\mu}g/ml$ 농도에서 섬애약쑥 물 추출물이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섬애약쑥은 발효하지 않았을 때 항산화 활성이 더 우수하였으며, 70% 에탄올로 추출할 경우 가장 항산화 효과가 높았다. 또한, 섬애약쑥 추출물은 tyrosinase 및 xanthine oxidase 저해에도 상당한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결과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Phlojodicarpus sibiricus와 Artemisia kruhsiana Besser 추출물의 항림프종 효과 분석 (Anti-lymphoma Activities of Phlojodicarpus sibiricus and Artemisia kruhsiana Besser Extracts)

  • 김지수;김동욱;남제현;전별은;재나 오클롭코바;이스마일 줄푸가로프;김상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9-385
    • /
    • 2020
  • Phlojodicarpus sibiricus와 Artemisia kruhsiana Besser는 러시아 극한 지방에서 자생하며, 민간요법으로 널리 쓰여 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두 식물 추출액(PSE와 AKBE)은 항비만효과, 혈관신생 억제 효과 등 다양한 의학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PSE와 AKBE의 항림프종 효과와 기작을 분석하였다. PSE와 AKBE를 다양한 유전적 변이를 가진 DLBCL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하지만, 마우스의 골수나 비장으로부터 분리한 정상 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두 식물 추출액의 세포사멸 효과는 종양세포 특이적인 것으로 예상되며, 환자에 적용할 경우 부작용이 최소한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PSE와 AKBE의 세포사멸 효과는 Bcl-2, Bcl-xL, 그리고 Mcl-1 등의 anti-apoptotic Bcl-2 family member 유전자의 감소로 인한 미토콘드리아의 막 전위 붕괴에 기인함을 증명하였다. 흥미롭게도, 두 식물 추출액에 의한 세포사멸 효과는 Myc 종양유전자와는 독립적으로 일어났다. 이 결과를 종합하면, PSE와 AKBE는 항림프종 효과를 보유하고 있으며, 추후 연구를 통하여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단일 물질을 분리할 경우, 기존의 항암제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 (The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Extracts)

  • 서은종;홍은숙;최민희;김기선;이성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9-93
    • /
    • 2012
  • 본 연구는 더위지기의 항산화 및 미백제로서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에탄올과 물을 이용한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유용한 생리활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실험한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547.96, 65.93 mg/g, 물 추출물에서 610.45, 82.86 mg/g으로 확인하였으며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 모두 200 mg/g 이상의 높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을 평가하기 위해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SC_{50}$값이 17.1 ppm으로 물 추출물의 198.4 ppm 보다 약 11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미백제로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실행한 tyrosinase 활성 저해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관한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tyrosinase 활성억제농도($IC_{50}$)은 481.8 ppm, 멜라노사이트에 50 pp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가 36.8%로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제 및 미백제로서 큰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쑥 수집종의 형태적 형질과 RAPD분석에 의한 분류 (Classification of Artemisia spp. Collection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RAPD Analysis)

  • 박상규;정봉환;김홍식;조용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78-286
    • /
    • 2005
  • 쑥 수집종 80개를 대상으로 형태적 형질과 RAPD 분석을 하였고, 유전적 다양성을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품종군을 분류하였다. 주요 형태적 형질을 이용하여 쑥 수집종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군집간의 치대거리 0.82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였을 때 5개 군으로 분류하였는데, I군에 10개 (15%), II군에 30개 (37.5%), III군에 20개 (25%), IV군에 3개 (4%), V군에 4개 (5%)를 나타내었다. RAPD분석에 이용한 10-mer primer 에 대하여 98개의 밴드를 얻었고, 그 중 다형성을 보인 밴드는 68개로 69%였는데, 선발된 Primer에서 증폭된 밴드 수는 $8{\sim}11$개로 다양하였으며, 평균 9.8개였다. RAPD에 의한 군집 분석에서 유연계수 0.63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한 결과 6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I, II군이 각각 전체의 34%, 36%를 차지하여 가장 큰 군으로 분류되었고, 나머지 $III{\sim}V$군은 모두 소군으로 15%가 속하였다. 특히 I군에는 약쑥이 많았고, II군에는 뺑쑥이 많이 분포하였다.

인진쑥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피로회복 물질과 심박수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verage Including Extracts of Artemisia capillaris on Fatigue-Recovery Materials, Heart Rate and Serum Lipids in University Male Athletes)

  • 박성혜;곽준수;박성진;한종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39-846
    • /
    • 2004
  • 본 연구는 한방자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인진쑥을 음료 제조에 적용하여 음료를 개발하고 음료의 영양성 분과 그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계획하였다. 이에 따라 개발된 음료의 일반성분, 무기질,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고 인진쑥의 scopoletin 함유에 따른 혈행개선효과 및 피로회복능력을 평가하고자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음료섭 취 전과 6주간 음료를 섭취한 후에 각각 운동시작 전 안정상태 및 운동을 멈춘 직후의 심박수와 혈액성 분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심박수, 혈중 젖산농도, 혈청의 포도당, creatinine, LBH, GOT, GPT 및 혈청의 지질농도가 6주간 규칙적으로 음료를 섭취한 후의 안정시나 운동직후에 모두 유의하게 낮아진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에서 연구대상자들이 꾸준한 유산소 운동을 하고 있는 운동선수들이었으므로 단지 유산소 운동에 의한 결과는 아닐 것이며 6주간 섭취한 인진쑥의 작용이었으리라 판단된다 인진쑥에 함유된 구연산, 원활한 혈행을 돕는 scopoletin 및 6,7-dimethoxy-coumarin의 기능에 의한 결과로 사료되며 인진쑥 음료는 피로물질 감소에 의한 피로방지에 효과적이고 운동능력항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제언할 수 있겠다. 운동선수뿐 아니라 특히 평소 운동시에도 꾸준히 섭취함으로써 근본적인 체내의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므로 경기력 향상과 국민건강증진에 일익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보다 많은 대상자들, 다양한 운동부하조건, 다른 음료와의 비교 등으로 다양한 임상 분석이 이루어지면 그 기전이나 효능을 명확히 할 수 있겠으나 본 결과가 향후 인진쑥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개발과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