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eological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초

고대 세다당교의 보존처리 - 대형출토목재의 보존과 전시 - (Studies on the Restoration of Ancient Bridge Setakarahashi -Conservation and Display for Large Size Waterlogged Wood-)

  • 중천정인
    • 보존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1-56
    • /
    • 1996
  • This paper deals with the restoration of ancient wooden bridge foundation which excavated in Seta river Shiga Prefecture, Japan. Shiga Archeological Research started a marine arche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bridge foundation in 1987. The bridge foundation stricture excavated and have since then recovered about a lots of woods and another materials. The bridge foundation structure constructed log, timbers and stones. The species of those waterlogged wood were identified as two types, hardwood and softwood. Hardwood(log : Cyclobalanopsis) was used for below foundation and softwood (timber' Chamaecyparis obtusa Endl. Cupreessaceae) was used for base structure. One of those timber sample dated by dendrochronology, we asked Dr. Misutani*. The softwood gave a felling date of 567 A.D. In result, the ancient Seta bridge foundation structure had constructed between Asuka and Nara period. We healed the news that ancient bridge foundation excavated at Woljyongyo site in Kyongju, Korea 1987. The bridge foundation Setakarahashi is similar in plane and structure to Woljyongyo structures. The Woljyongyo site report had be of value for reference. We had planning to restore those woods. Hardwood log was got serious damage. The water content varies from 400 to $600\%$. The other timbers water content varies about $200\%$. In the Shiga Center for Archaeological Operations and the Azuchi Castle Archaeological Museum, we set up the PEG impregnation tank. Those wooden objects treated by PEG method. PEG with a molecular weight of 4000. The treatment results may be considered satisfactory. The ancient wooden Seta bridge was reconstructed in Biwako Museum which established in Oct. 1996. We must take care of indoor exhibition environments. (*Nara National Cultu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 PDF

유적지 투어 지원을 위한 증강 현실기반 프레임워크 (Augmented Reality Framework for Archeological Site Tours)

  • 김은석;우운택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5-43
    • /
    • 2015
  • 사용자 경험 증대를 위해 증강 현실 기술에 대한 활용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다양한 증강 현실 어플리케이션들이 문화유산 영역 대상으로 개발되어왔다. 그간 문화유산 영역에서의 증강 현실 기술의 활용이 극적인 진보를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 증강 방법은 증대된 사용자 경험 제공에 걸림돌이 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증강현실의 특성을 반영한 증강 현실 체험 기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저작 프레임워크의 부재로 인한 일회성에 그치는 콘텐츠 개발은 지속적인 서비스에 핵심이 되는 콘텐츠 생태계 구축에 저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는 기존의 사물 중심의 증강 방식을 확장한 공간 주도의 증강현실 체험 기법인 스페이스텔링(Spacetelling) 기법과, 이에 필요한 시공간 연계 콘텐츠를 생성하고 지속적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스토리스케이프 저작 프레임워크, 그리고 이를 포함한 유적지 투어 지원을 위한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제안의 실제적인 구현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현재 진행 중인 K-Culture Time Machine 프로젝트에서의 구현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안을 통하여 지속 가능하면서도,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문화유산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부여지역 유적지 발굴을 위한 3차원 GPR 탐사 (Three dimensional GPR survey for the exploration of old remains at Buyeo area)

  • 김정호;손정술;이명종;임성근;조성준;정지민;박삼규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6최 특별 심포지움
    • /
    • pp.49-69
    • /
    • 2004
  • 문화재 발굴에 있어서 물리탐사의 중요한 역할중의 하나는 효율적이고도 체계적인 발굴을 위하여 지하 천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지표 레이다 탐사(GPR)는 지하 천부의 고분해능 영상을 제공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고고학 탐사에 있어서 중요한 물리탐사 방법 중의 하나로 인식된다. 역사유물은 지질구조와는 달리 일정한 방향성이 없이 매몰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근본적으로 2차원 탐사보다는 3차원 탐사가, 그리고 측선탐사보다는 면적탐사의 개념을 동원하여 탐사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3차원 GPR 탐사는 매우 조밀하게 측선을 설정하고 대단히 많은 자료를 획득하여야 가능하므로 넓은 지역의 조사에 항상 적용하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탐사방법을 고안함이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선 부여 가탑리 지역의 백제시대 유적지 발굴조사에 선행하여 3차원 GPR 탐사를 중심으로 한 물리탐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의 1차적인 목적은 지하 하부 구조에 대한 고분해능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계획된 유적발굴에 도움을 주고자 함에 있었다. 한편 고고학 발굴을 위한 효율적인 지하 영상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중 채널 안테나와 자동 측량 시스템을 채용한 GPR 자동연속탐사 시스템의 유적지발굴에 대한 효용성을 검증함에 그 부차적인 목적이 있었다. 자료측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미리 측선을 설정하지 않고 조사영역 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자료를 취득하는 개념을 채택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여 탐사한 결과, 2일 간에 걸친 현장 탐사 결과로써 약 $17,000 m^2$에 걸친 지역에 대한 3차원 탐사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미리 측선을 설정하지 않고 자료를 획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산처리 결과 획득한 지하 영상으로부터 경작지, 수로, 인공 구조물 또는 유물 등의 존재를 알려주는 이상대들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 사례를 통하여 3차원 GPR 탐사 또한 국부적인 이상대의 규명뿐만 아니라 광역적인 고고학 조사에도 다른 물리탐사와 마찬가지로 쉽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3차원 GPR 탐사가 향후 국내의 문화재 조사에 표준화된 탐사과정 중의 하나로써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왕궁리 유적지에서 발굴된 고대 토양의 부분 특성 연구 (Partial Characterization of the Ancient Soils excavated at Wanggung-ri)

  • 김민희;서민석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5호
    • /
    • pp.31-45
    • /
    • 2004
  • The archeological remains usually exist in some excavated ancient soils. The ancients oils are buried in underground with the environmental, biological and social facts for circumstantial evidence at past times. Consequently, it is very important thing to carry out scientific analysis of the ancient soils side by side with archeological study. In this study, we accumulated some basic data for scientific analysis of 5 kinds of ancient soils excavated at Wanggung-ri, Iksan city. So we obtained some characterizations of organic chemical source, ancient parasite egg, and some seeds in the soils. The organic sources showed the content of high organic material as 7~22%, and strong acidic condition as pH 2~6. It is indicated that Wanggung-ri soils have included so many organic materials from the degradation of biological remains. Most of all, we searched a lot of eggs of parasite Trichuris trichiura and so it is possible that this area had been a ancient toilet at that times. The more scientific analysis of the soils will be showed us about the utility of the area, ancient dietary life style, ancient environment and ancient human diseases.

  • PDF

고구려사지(高句麗寺址)를 중심(中心)으로 고찰(考察)한 5세기전후(世紀前後) 불사계획(佛寺計劃)의 변화(變化) (The Change of Site Pattern of Buddhist Architecture of Koguryo)

  • 김성우
    • 건축역사연구
    • /
    • 제5권1호
    • /
    • pp.9-17
    • /
    • 1996
  • A few archeological excavation of Buddhist temple sites of Koguryo were reported with information of site arrangement. The interpretation of such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the explanation of Korea early Buddhist architecture but also for the development of East Asian cases in general since no archeological evidences of the same period were found in other countries such as China. Th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four temple sites this paper attempt to identify their date of construction and the process of change. The study depended much on comparative studies of the change of site elements such as pagoda, image hall., corridor, and other buildings. The study could conclude that the site of SangO-Ri must be the earliest case which was followed by ChungRung-Sa, which was built in around 427AD. The site of ToSung-Ri was the case which was the work of the rate 5th century. Such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Buddhist architecture in Koguryo unveils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change was a continuous flow toward a consistent goal of change that had much to do with the contemporary religious situation.

  • PDF

공자의 "보수성"에 대한 재검토: 고고학적 발견에 대한 응답 (Reconsidering Confucius' Conservatism: A Response to Archeological Evidence)

  • 김영민
    • 철학연구
    • /
    • 제97호
    • /
    • pp.5-31
    • /
    • 2012
  • 공자는 종종 중국 정치 전통이 가진 보수성의 상징으로서 다루어졌고, 그에 따라 혹독한 비판대상이 되었다. 공자가 상징한다는 "보수성"을 어떻게 정의하든 관계없이, 공히 지적되어 온 점은 논어(論語)의 내용이 과거의 전통에 대한 존숭의 태도를 공공연하게 표명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공자의 보수성에 대한 논란을 근본적으로 재고하게끔 만드는 흥미로운 고고학적 성과가 근년에 제출되었다. 고고학자 폴켄하우젠(Lothar von Falkenhausen)은 그간 중국 내외에서 진행된 청동기 유물 고증을 치밀하게 종합하여, 공자가 주공(周公) 당시에 융성했다고 간주하고 자신이 계승하겠다고 천명한 이상적 문화의 모습이, 공자가 말한 것보다는 훨씬 근과거에 일어난 것임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불거진 모순을 계기로 하여, 공자의 "보수성"과 관련되어 논의되어온 논어의 핵심 부분을 재해석하여, 공자가 "과거" 혹은 "전통"과 맺은 관계를 보다 풍요롭게 해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해명된 내용은 공자의 정치적 비전을 새롭게 조명할 기회를 부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유전자 분석의 고고학적 고찰 (Archeological Consideration of DNA Typing)

  • 이규식;서민석;정용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5권
    • /
    • pp.120-137
    • /
    • 2002
  • It has not been a long time since we recognize that a word 'DNA' is not unfamiliar with us. Development of biology give us so much of benefits of civilization and so we call the 21th century as 'biological period'. It has not been a long time that archeology made contact with biology. With biological development, DNA typing analysis has been accomplished extensively since 1990's. We know through mitochondrial DNA base sequencing analysis that the Neanderthal man is not the origin of the human race and ancient human race set out from Africa. Biological science technology, which is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or electrophoresis etc., made these results possible. A contact between biology, especially genetics, and archeology is getting accomplished through these current. If genetics keep in contact with archeological foundation, we know not only about ancient popul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origin of human race. This field is so-called 'DNA Archeology'. This field is of help to person identification and children discrimination as like a forensic science. We make every effort for great possibilities from co-ownership of these two fields and these fields needs to convert a recognition, especially.

남한에 분포하는 유적의 분포 특성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ites Found in South Korea)

  • 이진영;홍세선;양동윤;김주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27
    • /
    • 2011
  • 전국의 문화유적분포지도가 172권의 책자로 발간되었으며, 고고학 조사 및 국토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웹을 통해 유적정보가 공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유적분포지도에 나타난 유적정보의 분포를 통계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통해 유적의 분포특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리정보로 구축된 문화유적분포지도의 유적(문화재)정보 87,859개소의 정보를 토대로 유적의 분포현황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한에 분포하는 유적의 분포특성은 주로 역사적 도시를 중심으로 유적이 분포하고, 시대와 유형에 따라 공간적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며, 하천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결과는 고고학적 연구에서 시대와 유형의 구분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다 세분된 시대와 유형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며, 향후 유적정보를 이용한 문화재의 공간적 분석과 해석에 대한 연구가 고고학 연구에도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전고고학(古典考古學) 재론(再論) (A review of Classical Archaeology)

  • 이민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4호
    • /
    • pp.170-191
    • /
    • 2018
  • 그간 국내 고고학계에서는 서양에서 발달했던 고전고고학을 소개하는 차원에만 머물렀을 뿐 개념 정립과 학문적 성과는 미흡했던 것으로 판단한다. 서양에 비해 고고학이 늦게 태동한 한국고고학은 초기부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라는 고전을 통하여 고대사 및 관련 유물과 유적에 대한 분석을 해왔으며, 현재에도 조선시대의 고전, 그리고 "삼국지", "후한서" 등 중국의 고전과 "일본서기"를 비롯한 일본의 고전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고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고대 정치체의 형성, 국가의 교체와 국가간의 교섭과 교류 등에 대해 각론이 많으며, 풀리지 않는 쟁점이 즐비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전고고학을 환기시킬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고전의 개념은 광의의 의미에서 '과거에 만들어진 모든 기록물'을 말하며, 협의의 의미는 '전통적으로 옛 책의 분류법을 따른 과거의 기록물'을 말한다. 고전에 담겨진 내용을 분석하여 고고자료를 해석하고 과거문화를 연구하는 분야가 고전고고학이다. 본고에서는 고전의 범주를 넓게 설정하고, 그 중 "공자가어"를 통해 고전고고학에서 고전이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전고고학에서 고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기관 및 단체에서 관리하고 있는 고전 DB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적용한다면 유의미한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