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ites Found in South Korea

남한에 분포하는 유적의 분포 특성

  • Lee, Jin-Young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KIGAM)) ;
  • Hong, Sei-Sun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KIGAM)) ;
  • Yang, Dong-Yoon (Policy & Network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KIGAM)) ;
  • Kim, Ju-Yong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KIGAM))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정책연구부) ;
  •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Received : 2011.02.22
  • Accepted : 2011.05.1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Cultural remains distribution maps have been published in 172 volumes of books,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remains in South Korea is also disclosed via the Internet to those who are interested in conducting archeological examinations or to those who are planning the national land use for various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tistically review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s appearing in cultural sites map, and to determin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se remains or sites. The location of sites was statis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point density func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87,859 sites found in cultural site ma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ites found in South Korea are mainly distributed around historical cities and the distribut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proximity to rivers. Given that the period of time and type is very important to archeological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etailed period of time and type may be necessary for further analysis. This study has highlighted that the research into the spati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ultural heritage sites can contribute to the field of archeological studies.

전국의 문화유적분포지도가 172권의 책자로 발간되었으며, 고고학 조사 및 국토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웹을 통해 유적정보가 공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유적분포지도에 나타난 유적정보의 분포를 통계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통해 유적의 분포특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리정보로 구축된 문화유적분포지도의 유적(문화재)정보 87,859개소의 정보를 토대로 유적의 분포현황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한에 분포하는 유적의 분포특성은 주로 역사적 도시를 중심으로 유적이 분포하고, 시대와 유형에 따라 공간적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며, 하천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결과는 고고학적 연구에서 시대와 유형의 구분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다 세분된 시대와 유형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며, 향후 유적정보를 이용한 문화재의 공간적 분석과 해석에 대한 연구가 고고학 연구에도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신, 이민부, 신근하. 2003. GIS를 이용한 거창 가조 분지의 선사유적 입지 지형요소별 유형화. 한국지형학회지 10(2): 267-281.
  2. 김창환, 배선학. 2006. 문화유적의 공간적 입지 유형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5): 583-594.
  3. 문화재청. 2004. 문화재분포지도 데이터베이스 입력 표준지침. 41쪽.
  4. 문화재청. 2010. 문화재GIS 활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세미나. 문화재청. 163쪽.
  5. 배선학. 2007. 사찰과 사지의 입지환경 분석 - 춘천, 원주, 삼척, 속초, 양양을 사례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139-151.
  6. 오충원. 2009. 국토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시공간GIS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3(2);285-292.
  7. 이정철. 2008. 우리나라 구석기유적 출토 흑요석의 원산지 연구 동향. 충북사학 21:5-21.
  8. 이진영, 박준범, 양동윤, 김주용, 홍세선, 정계옥. 2005. GIS 중첩분석을 이용한 요지유적분포 예측의 시범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4):165-175.
  9. 이진영, 양동윤, 김주용, 정계옥. 2006. 유적의 자연입지환경 분석을 위한 분석알고리즘 예비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133-138쪽.
  10. 장문현. 2008. 문화재GIS 구축을 위한 문화유적분포지도 제작 연구 - 지자체 문화유적정보를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16(3):303-315.
  11. 장문현, 이정록. 2006. Web GIS 기반의 역사 문화정보시스템 구축 연구. 한국GIS학회지 17(3):329-339.
  12. 정계옥, 이진영, 양동윤. 2006. GIS를 통해 본 영산강유역 고분의 분석 시론. 숭실사학 19:295-324.
  13.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9. GIS를 이용한 문화재 보존관리와 활용. 사회평론 107-158쪽.
  14. Crema, E.R., A. Bevana and M.W. Lakea. 2010. A probabilistic framework for assessing spatio-temporal point patterns in the archaeological record.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7(5):1118-1130. https://doi.org/10.1016/j.jas.2009.12.012
  15. Duke, C. and J. Steele. 2010. Geology and lithic procurement in Upper Palaeolithic Europe: A weights-of-evidence based GIS model of lithic resource potential.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7(4):813-824. https://doi.org/10.1016/j.jas.2009.11.011
  16. Field, J.S., M.D. Petragliaa and M.M. Lahra. 2007. The southern dispersal hypothesis and the South Asian archaeolocal record: Examination of dispersal routes through GIS analysis. Journal of Anthropological Archaeology 26(1):88-108. https://doi.org/10.1016/j.jaa.2006.06.001
  17. Fletcher, R. 2008. Some spatial analyses of Chalcolithic settlement in Southern Israel.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5(7):2048-2058. https://doi.org/10.1016/j.jas.2008.01.009
  18. Katsianis, M., S. Tsipidis, K. Kotsakis and A. Kousoulakou. 2008. A 3D digital workflow for archaeological intra-site research using GI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5(3):655-667. https://doi.org/10.1016/j.jas.2007.06.002

Cited by

  1. GIS를 이용한 울산지역 선사유적 입지분석 및 분포예측 vol.15, pp.3,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3.023
  2. 철도폐선부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평가기준 개발 vol.4, pp.2, 2017, https://doi.org/10.17820/eri.2017.4.2.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