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on-related enzymes activit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8초

평간개울지혈탕(平肝開鬱止血湯)의 항염증, 항산화 및 항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yeonggangaeuljihyeol-tang(PGJT) Extract on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aging)

  • 이경원;송영채;김희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9-41
    • /
    • 202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icacy of Pyeonggangaeuljihyeol-tang(PGJT) extract. Methods : In order to confirm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GJT extract, the inhibitory effect on NO PGE2 production were evaluated and the expression level of iNOS, COX-2 and IL-6 mRNA were measured through qRT-PCR,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fo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DPPH and ABTS, anti-aging activity was evaulated for collagenase, elastase, tyrosinase and L-DOPA 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Results : PGJT extract shows anti-inflammatory effect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NO and PGE2 by reducing the expression level of iNOS, COX-2 and IL-6 mRNA, antioxidant effect by increasing DPPH and ABTS scavenging abillity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anti-aging effect was confirmed by inhibiting collagenase, elastase, tyrosinase production and L-DOPA oxidation. Conclusion : This suggests that PGJT showed an overall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an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activity of antioxidant and anti-aging related enzymes.

쌍화탕 추출물이 항산화효소 및 항노화관련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sanghwa-tang Extract on Antioxidant and Anti-aging Enzyme Activities)

  • 박지영;황재규;윤종국;한길환;도은주;김성옥;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67-74
    • /
    • 2012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Ssanghwa-tang (Shu$\bar{a}$nghu$\bar{a}$-g$\bar{e}$ng) on oxidation/reduction reaction-related and aging-related enzymes $in$ $vitro$. Methods : We performed MTT assay, collagenase inhibition assay, elastase inhibition assay, tyrosinase inhibition assa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SOD-like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XO) inhibition assay. Results : The 50% ethanol (EtOH) extract of Ssanghwa-tang (SHT) showed 55% inhibition of collagenase activity, and 42%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at 1 mg/ml concentration. Also it's treatment showed 18%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to relate whitening effect, at the same dose of 50% ethanol extract of SHT.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XO inhibit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These scavenging, XO-inhibiting and SOD-like activities were measured in 80%, 75%, and 28% inhibitions, respectively, at a 1 mg/ml treated dos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The inhibitory effects of 50% EtOH extract on aging and oxidation-related enzyme activi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water extract and 95% EtOH extract. Conclusions :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SHT has potential and applicable benefits for development of cosmetics to have anti-aging (anti-wrinkle and whitening) and anti-oxidation functions.

Endlicheria anomala (Nees) Mez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미백 활성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Endlicheria Anomala Extract)

  • 진경숙;이지영;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33-4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Endlicheria anomala (Nees) Mez 메탄올 추출물(EAME)의 항산화, 항염증 및 미백 생리활성을 in vitro assay 및 cell culture model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EAME의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DPPH, $H_2O_2$로 유도한 ROS, LPS로 유도한 NO 등 다양한 산화적 스트레스원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였다.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들로 천연물에 의한 항산화능 활성에 의해 주로 발현이 유도되는 세효소인 HO-1, TrxR1, NQO1 및 그 전사 인자인 Nrf2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시료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세 효소 및 Nrf2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 또한 EAME는 in vitro DOPA oxidation을 강하게 저해하여 tyrosinase inhibitor로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였고 이에 B16F10 melanocyte를 이용하여 미백 효능을 분석한 결과 유의적인 melanin 생성억제능 및 tyrosinase 효소 활성 억제능을 보였으며 이는 tyrosinase, TRP-1, TRP-2 등 melanin 생성의 핵심 작용 효소들의 단백질 발현 저해를 통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AME가 높은 항산화능과 항염증 활성, 그리고 미백 활성을 보유함을 처음으로 밝혔으며 향후 기능성 식품 및 피부 미용 소재로서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근육세포주에서 당 흡수 및 대사 조절에 대한 황기탕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a Hwanggi-tang Ethanol Extract on Glucose Uptake and Metabolism in Murine Myotubes)

  • 장철용;신선호;신용진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99-611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wanggi-tang on glucose digestion, uptake, and metabolism in murine C2C12 myotubes. Methods: Hwanggi-tang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Dong-ui-bo-gam (≪東醫寶鑑≫) prescription by 70% ethanol extraction. The effect on glucose digestion was examined by determining the inhibitory effect of Hwanggi-tang on α-glucosidase activity. We also compared and verified the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glucose uptake in C2C12 myotubes treated with Hwanggi-tang or insulin. Glucose metabolism was assessed by the expression levels of associated enzymes. Results: Hwanggi-tang caused a dose-dependent inhibition of α-glucosidase activity, induced glucose uptake by activation of the PI3K/Akt/mTOR pathway in the insulin signaling pathway, and promoted glucose oxidation and β-oxidation. Conclusions: Hwanggi-tang exerts an anti-diabetic effect on murine myotubes by inhibiting glucose digestion and inducing glucose uptake and consumption.

발효 이고들빼기(Youngia denticulata Houtt Kitamura) 에탄올 추출물이 알코올 투여로 손상시킨 흰쥐의 간독성 해소 효과 (Hepatotoxicity Reducing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Youngia denticulata Houtt Kitamura in Ethanol-treated Rats)

  • 김미정;이현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89-399
    • /
    • 2016
  •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이고들빼기의 에탄올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독성을 유발한 SD계 흰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대조군(NC), 에탄올대조군(EC), 에탄올급여 및 비발효 이고들빼기 추출물 0.5% 첨가식이 급여군(ENY), 에탄올급여 및 발효 이고들빼기 추출물 0.5% 첨가식이 급여군(EFY)의 4개군(6마리/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으며, 혈청과 간 조직의 주요 지표 성분과 항산화 및 산화관련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EC군이 NC군에 비하여 혈중 GOT 및 GPT 활성은 각각 87.90% 및 57.02%가 높았다. 간 조직의 중성지질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각각 77.51% 및 18.56%, LPO 함량은 193.86%가 높았다. 반면에 GSH 함량은 29.52% 낮았다. 또, 항산화계 효소인 SOD 및 GST 활성은 각각 42.78% 및 0.94% 낮게 나타났으며, XO(O type)효소활성은 70.83% 높았다. 이로써 알코올 급여군은 전형적인 간 손상과 함께 항산화계에도 손상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ENY 및 EFY군은 EC군과 비교하여 GOT 및 GPT 활성은 각각 24.73~41.99% 및 22.91~30.11%가 낮았고, 중성지질 함량은 16.65~33.33%,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22.44~23.11%, LPO 함량은 63.34~66.13%가 감소한 반면, GSH 함량은 24.61~35.60% 증가하였다. 또, GST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OD 활성은 각각 214.94% 및 261.19% 높았다. 또, XO(O type) 효소활성은 40.34~51.20% 감소하였다. EFY군은 ENY군에 비하여 GOT 및 GPT활성은 각각 22.93%, 9.34% 낮았고, 혈중 중성지질과 총콜레스테롤 및 LPO 함량은 각각 20.01%, 0.86% 및 7.59%가 낮았다. 그리고 SOD 및 GST활성은 각각 21.52% 및 0.6%가 높았고, XO(O type) 효소의 활성은 18.19% 낮았다. 이상의 결과, 발효 이고들빼기 추출물이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 흰쥐에 대하여 간 조직 TG와 총콜레스테롤 및 LPO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GOT, GPT 및 XO의 활성감소와 동시에 SOD활성을 높임으로써 간의 해독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발효 이고들빼기의 성분들을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개발과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16F1세포에서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합성에 대한 유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효능 (Effect of Ulmus macrocapa Ethanolic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 B16F1 Cells)

  • 권은정;박혜정;김문무;이경록;홍일;이도경;오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946-951
    • /
    • 2014
  • 멜라닌은 superoxide, hydroxyl radical, singlet oxygen, hydrogen peroxide와 같은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질, 단백질, DNA 산화를 야기시키는 활성산소는 주근깨와 기미의 원인으로 알려진 melanin 과잉생산을 유도한다. 한약재중에서 본 연구에 사용된 유백피는 주요 성분으로 flavonoids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16F1에서의 유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UMEE는 $3.12{\mu}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항산화 실험에서 UMEE는 높은 환원력과 DPPH 소거효과를 보여주었다. 더욱이 UMEE는 지질과산화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UMEE는 in vitro에서 tyrosinase활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UMEE는 melanogenesis에서 중요한 효소인 tyrosinase 및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UMEE가 항산화 활성뿐 만 아니라 tyrosinase 및 TRP-2의 발현억제를 통한 미백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에 미백효과를 줄 수 있는 기능적인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가진 spermidine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Spermidine with Antioxidant Activity on Oxidative Stres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 박인환;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93-699
    • /
    • 2011
  • Spermidine은 spermine의 전구체로 역할을 하는 putrescine로부터 합성되는 polycation의 한 형태이다. 최근에 spermidine는 수명연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하나의 polyamine으로 알려져 있다. Hydroxyl radical, superoxide 및 hydrogen peroxide와 같은 활성산소(ROS)는 노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병원성 과정에서 관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DPPH radical, $H_2O_2$ 및 hydroxyl radical에 대한 spermidine의 소거활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DNA oxidation에 대한 보호 효과가 in-vitro에서 평가되었다. Spermidine은 500 ${\mu}M$ 이상에서 DPPH radical와 $H_2O_2$에 대한 소거 효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활성산소종 중에서 spermidine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효과가 탁월하였다. 뿐만 아니라, spermidine는 500 ${\mu}M$에서 DNA oxidation에 대해서도 뚜렷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서 superoxide dismutase와 같은 항산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이 대조군과 비교시 spermidine 존재 하에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permidine은 암, 노화 및 염증을 포함하는 활성산소와 관련 있는 질병들을 예방하기 위한 항산화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근피 추출물이 B6C3F1 마우스 신장에서 반응성 산소종의 발생과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 of Ulmus davidiana Root on the Activity of Enzymes Related to the Removal of Reactive Oxygens in B6C3F1 Mouse Kidney)

  • 홍종연;송혁환;이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77-583
    • /
    • 2006
  • 유근피 추출물을 20주간 장기 복용한 B6C3F1 마우스의 신장에서 노화 및 생체 독성의 중요한 지표로 알려진 반응성 산소종 발생 및 제거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 현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1군(대조군), 2군(암유발군-DEN을 주사하여 암유발), 3군(유근피 복용군), 4군(유근피 암치료군-DEN을 주사한 후 유근피복용), 5군(유근피 암예방군-유근피를 먹이면서 DEN 주사)등 5개군으로 나누었다. 암을 유발시킨 군에 유근피 추출물을 투여시 4군 및 5군에서 암유발군에 비해 유의적(p<0.01)으로 감소된 xanthine oxidase 효소활성을 확인하였다. Cu,Zn-SOD의 활성도는 정상군과 처리군에서 큰 차이는 없으나 Mn-SOD의 활성도는 정상군보다 암유발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암유발군(2군)과 유근피 암치료군(4군)은 대조군 보다 catalase 효소이 낮았으며, 유근피 암예방군(5군)에서는 암유발군(2군)보다 catalase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유발군(2군)에서는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암물질 처리와 동시에 유근피 추출물을 처리한 유근피 암예방군(5군)에서는 기타 실험군에 비해 효소활성이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p<0.01) 나타났다. 대조군(1군)에 비해 암유발군(2군)에서 지질의 과산화도는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근피 복용군(3군)에서도 유의적으로 증가(p<0.05)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암발생 후 유근피 추출물 식이군인 유근피 암치료군(4군)과 암발생과 동시에 유근피 추출물을 식이한 유근피 암예방군(5군)의 경우 암유발군(2군)보다 지질의 산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Efficacy of nobiletin in improving hypercholesterolemia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high-cholesterol diet-fed mice

  • Kim, Young-Je;Yoon, Dae Seong;Jung, Un Ju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4호
    • /
    • pp.431-443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Nobiletin (NOB), a citrus flavonoid, is reported to have beneficial effects on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health. However, there is limited research investigating the effect of long-term supplementation with low-dose NOB on high-cholesterol diet (HCD)-induced hypercholesterolemia and non-obes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NOB on hypercholesterolemia and NAFLD in HCD-fed mice. SUBJECTS/METHODS: C57BL/6J mice were fed a normal diet (ND) or HCD (35 kcal% fat, 1.25% cholesterol, 0.5% cholic acid) with or without NOB (0.02%) for 20 weeks. RESULTS: HCD feeding markedly reduced the final body weight compared to ND feeding, with no apparent energy intake differences. NOB supplementation suppressed HCD-induced weight loss without altering energy intake. Moreover, NOB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otal cholesterol (TC) levels and the low-density lipoprotein (LDL)/very-LDL-cholesterol to TC ratio, and increased the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TC ratio in plasma, compared to those for HCD feeding alone. The plasma levels of inflammatory and atherosclerosis markers (C-reactive protein, oxidized LDL, interleukin [IL]-1β, IL-6,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were significantly lower, whereas those of anti-atherogenic adiponectin and paraoxonase were higher in the NOB-supplemented group than in the HCD control group. Furthermore, NOB significantly decreased liver weight, hepatic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and lipid droplet accumulation by inhibiting messenger RNA expression of hepatic genes and activity levels of cholesterol synthesis-, esterification-, and fatty acid synthesis-associated enzymes, concomitantly enhancing fatty acid oxidation-related gene expression and enzyme activities. Dietary NOB supplementation may protect against hypercholesterolemia and NAFLD via regulation of hepatic lipid metabolism in HCD-fed mice; these effects are associated with the amelioration of inflammation and reductions in the levels of atherosclerosis-associated cardiovascular marker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NOB may serve as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HCD-induced hypercholesterolemia and NAF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