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he ne laser light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5초

전계효과에 의한 비정질 칼코게나이드 박막에서의 복굴절 특성 (The Birefringence of the chalcogenide As-Ge-Se-S thin films by the electric field effects)

  • 손철호;장선주;여철호;박정일;이영종;정홍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727-1729
    • /
    • 2000
  • We has investigated the birefringence by the assisted electric field effect on $As_{40}Ge_{10}Se_{15}S_{35}$ thin films. Photoinduced birefringence has been studied in a chalcogenide material. We induced this thin films using linearly polarized He-Ne laser light(633nm) and detected polarized semiconductor laser light(780n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ctric field, various bias voltages applied. The result is shown that the birefringence has a higher value in +2V than others. We obtained the birefringence in the electric field effects by various voltages.

  • PDF

광학적 연기밀도 측정을 위한 저가형 장치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Low-cost Device for Measuring the Optical Smoke Density)

  • 김봉준;조재호;황철홍;박설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81-8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화재실험에서 광학 연기밀도 측정을 위하여 광소멸법을 이용한 저가형 장치가 개발되었다. 저가형 장치의 상대적 측정 정확도는 He-Ne 레이저, 포토디텍터 및 다양한 광학부품을 이용한 고가의 표준장치에 의해 측정된 연기밀도의 비교를 통해 평가되었다. 저가형 장치는 레이저 모듈, 포토셀 그리고 아크릴 보드로 구성되었다. 연기농도의 조절이 용이한 연기 발생장치 실험을 통해, 저가형 장치는 표준장치에 비해 ${\pm}10%$의 범위 내에서 연기밀도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저가 장치의 신뢰성은 또한 폴리에틸렌 화염을 이용한 실험에서도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개발된 저가형 장치는 연기밀도 측정을 위한 간편한 설치 및 실시간 측정과 함께 고가의 표준장치를 대신하여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기기의 진동측정을 위한 레이저 진동계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Laser Vibrometer for the measurement of vibration of electric machinery)

  • 김성훈;김호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E
    • /
    • pp.1867-1870
    • /
    • 1997
  • A Laser Doppler Vibrometer (LDV) based on the heterodyne method was developed using He-Ne laser as a light source. The heterodyne method was employed to eliminate the ambiguity in the direction of the motion. The frequency shifted object beam (40 MHz) by a Bragg cell was focused on the surface of the moving target and the Doppler shifted reflected beam was combined at the fast photodetector to produce frequency modulated signal centered at 40 MHz. The signal from the detector was amplified, filtered and downconverted to intermediate frequency centered at 5 MHz. The voltage output that was proportional to the velocity of the moving surface was obtained using PLL. This LDV can be used to measure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electric equipments such as circuit breakers and bushings, of which resonant frequencies are changed when they are damaged.

  • PDF

우주전파관측용 음향광학 전파분광기의 제작 (Manufacture of an Acousto-Optical Spectrometer for Radio Astronomical Observations)

  • 임인성;최재현;오승엽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2
    • /
    • 1997
  • 우주전파신호 분석을 위한 음향광학 전파분광기를 제작하였다 이 시스템은 우주로부터 수신된 미약한 전파신 호를 분석하는 신호처리 장치로 레이저 공진기 광학계. 광편향소자와 CCD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은 전파 시호를 분석하는 기존의 필터뱅크, 자기상관 분광기와는 달리 레이저와 광학계를 사용하여 빔을 유도하고 전파신호를 광편향소자에 의해 초음파로 변환하여 레이저빔을 회절시키는 새로운 방식의 전파 분광기이다. 광원으로는 He-Ne 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 1 GHz에서 2 GHz까지의 대역폭을 갖는 광대역 GaP 광편향소자를 사용였다 . 또한 광신호 검출을 위해 2,048 채널의 CCD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음향광학효과에 대한 이론적 배을 설명하고 레이저 공진기를 이용한 광학계의 설계, 광학마운트의 제작, CCD Driver, 인터페이스 제작과 이를 이용한 전파 신호의 측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파선호의 측정결과 0차광이 1차광을 간섭시켜 2,048채널 중 I,000채널의 대역폭을 갖는 분팡가 성능을 갖게 되었다.

  • PDF

등방성 빔 단면과 비등방성 공간 부분 코히어런스 특성을 갖는 가우시안 셀 모델 빔의 구현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 study on the realization of partially coherent Gaussian Schell-model beams with isotropic cross section and anisotropic degree of coherence function)

  • 김휘;김태수;최경식;이병호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0-213
    • /
    • 2004
  • 등방성 빔 단면과 비등방성 공간 부분 코히어런스 특성을 갖는 가우시안 셀 모델 빔의 구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He-Ne 레이저의 가우시안 빔이 회전하는 홀로그래픽 확산판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확산광을 등방성 빔 단면과 비등방성 공간 코히어런스 특성을 갖는 가우시안 셀 모델 빔으로 만드는 광학계를 제안하였다. 광학계의 해석적 설계 방정식을 유도하였고 이를 사용한 설계 예를 제시하였다.

I/Q 변조 풀이 방식의 헤테로다인 간섭계를 이용한 미소 전기장 및 복굴절 측정 (A new, hybrid, heterodyne, fiber-optic electric field sensor scheme and its applications)

  • 윤신영;조규만;이용산
    • 한국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1-164
    • /
    • 1997
  • 편광유지 광섬유를 이용한 주파수가 안정화된, 두 개의 서로 수직으로 편광된 종모우드를 갖는 He-Ne레이저 빛을 LoTa $O_{3}$ 위상변조기로 구성된 센서부(sensor head)로 전달해 줌으로써 원격에서 전기장을 측정할 수 있는 hybrid, heterodyne 간섭식 센서를 구성하였다. In/quadrature-phase위상변조풀이 방식을 이용하여 전기광학 효과에 의해 서로 수직으로 편광된 두 모우드 사이에 유도된 위상차이를 측정함으로써 항상 높은 검지율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장 센서를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광학 물질에 유도된 복굴절도 측정을 할 수 있었다.

  • PDF

630nm LED 광원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630nm LED light source to the cell proliferntion)

  • 김태곤;천민우;박용필;김성환;송창훈;김영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9
    • /
    • pp.349-350
    • /
    • 2006
  • In this module, RED Light Emitting Diode was employed to replace for Low level He-Ne laser for medical applications Each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rradiation group and non-irradiation group for both Dog bone marrow and Rat tissue cells. MTT assay method was chosen to verify the cell increase of two groups and the effect of irradiation on cell proliferation was examined by measuring 590nm transmittance of ELISA reader. As a result, the cell increase of 37% on Dog bone marrow, 23% on Rat tissue cells was verified m irradiation group as compared to non-irradiation group. The fact that specific wavelength irradiation has an effect on cell vitality and proliferation is known through this study.

  • PDF

제트확산화염에서 이산화탄소의 첨가가 매연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rbon Dioxide as Additives on Soot Formatio in Jet Diffusion Flames)

  • 지정훈;이의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70-175
    • /
    • 2010
  • 동축류버너를 이용한 제트확산화염에서 이산화탄소의 첨가가 매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타입 열전대를 이용하여 화염대 및 황염과 청염의 경계온도를 측정하였다. 광감쇄법을 이용하여 화염이 존재하는 국소부분에서의 상대적인 매연 농도(1-I/$I_0$)를 측정하였다. 광원으로는 파장이 632.8nm인 He-Ne 레이저가 사용되었고 디텍터를 이용하여 매연입자에 의해 산란과 흡수를 겪은 후의 감쇄된 신호를 직접 측정하였다. 또한, 매연 생성에 있어서의 열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산화제의 유속을 변화시켜 유속에 의한 영항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로써, 황염과 청염 각각의 온도는 이산화탄소의 첨가에 따라 점차 낮아졌지만 황염과 청염의 경계온도는 거의 일정하였다. 산화제 측에 이산화탄소를 첨가함에 따라 상대적인 매연 농도는 낮아졌고 이는 산화제의 유속을 증가시켰을 때의 효과와 유사했다. 이것은 화염온도의 저하와 매연입자의 체류시간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첨가가 화염의 불안정성을 야기하여 순수 에틸렌/공기 화염에 비해 화염의 길이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P-AES에서 에어로졸의 광산란에 의한 신호의 보정 (Signal compensation by the light scattering of sample aerosols in ICP-AES)

  • 연평흠;박용남
    • 분석과학
    • /
    • 제25권4호
    • /
    • pp.223-229
    • /
    • 2012
  • 시료 에어로졸에 의한 광산란 신호를 이용하여 ICP 분석신호를 보정하였다. 자체 제작한 초음파 분무기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에 대하여 다이오드나 He-Ne 레이저를 사용하여 광산란신호를 얻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신호의 변동에 대하여 보정하였다. 그 결과 Be, Pb 및 Co의 경우에 short-term (1분 이하)에 대한 신호의 RSD가 기존의 평균 3.4% 에서 0.9% RSD 이하로 큰 개선이 되었으며, 10분 정도의 long-term안정도는 14.9%에서 4.2%로 개선되었다. 이 방법은 펄스형태의 시료도입뿐 아니라 연속적 분무에서도 분무기의 안정성이 부족한 경우, 정밀도의 개선에 매우 유용하다. Long-term의 안정도 개선을 위해서는 광산란셀에서의 안정도 및 검출기의 잡음개선과 분무장치와 플라즈마 사이에서의 에어로졸 응축등에 의한 잡음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디젤과 디젤 연기입자의 광학특성 및 무차원 광소멸계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ptical Characteristics for Biodiesel and Diesel Smoke Particles and Measuring their Dimensionless Light Extinction Constants)

  • 최석천;장영석;박설현;김연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37-42
    • /
    • 2016
  • 바이오디젤(Soy Methyl Ester, B100)과 디젤(Ultra Low Sulfur Diesel, ULSD)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입자의 무차원 광소멸계수를 측정하였다. 무차원 광소멸계수는 633 nm의 He-Ne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 방법으로 측정된 연기입자의 체적분율과 중력식 필터법에 의해 채집된 연기입자의 체적분율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633 nm 대역에서 측정된 평균 무차원 광소멸계수는 각각 바이오디젤의 연기입자가 11.8, 디젤 연기입자가 11.1으로 측정 불확도 범위(${\pm}10.1%$) 내에서 거의 유사하였다. 다만, 라만 spectrum 분석결과를 통해 각 연료에서 발생된 연기입자 간의 광소멸(광흡수/광산란) 특성은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