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ine farmland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RUSLE와 SEDD를 이용한 고랭지 경작지로부터의 토양유실 평가 (Estimating Soil Loss in Alpine Farmland with RUSLE and SEDD)

  • 조홍래;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79-90
    • /
    • 2005
  • 본 연구는 고랭지 경작지로부터 발생하는 토양유실을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원도 내린천 유역을 대상으로 고랭지 경작지에서 발생하는 연간토양 유실량과 이 토양유실량 중 하천에 도달하는 양을 나타내는 유사량을 추정하였다. 연간토양유실량은 RUSLE 공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유사량은 SEDD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지역의 $2.6\%$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밭이 연간 유역 내에서 발생하는 총토양유실량과 유사량에 대하여 각각 $10.9\%$$33.12\%$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도 400m 이상에 해당하는 고랭지 경작지의 경우 유역 내에서 총 $1.74\%$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나, 연간 총 토양유실량과 유사량에 대해서는 면적에 비하여 월등히 큰 $7.69\%$$15\%$의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내린천 유역의 밭 경작지 특히, 고랭지 경작지에서의 토양유실과 유사량 발생이 다른 토지용도에 비하여 매우 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랭지 경자지로부터의 토양유실 방지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내린천수계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유출량조사 (A Study on Water Quality and Amount of Flowing at Nonpoint Source of Nairin Stream)

  • 허인량;박성빈;오흥석;김영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0-225
    • /
    • 2009
  • This study evaluates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 near the alpine farmland in the upper Naerin stream, which is a typical stream of the upper Bukhan River with muddy water generation, by the flow examination, it aims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flowing out from the investigated area and figure out effective methods to reduce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of water quality examination, the average BOD of the area not affected by the cultivated land among the areas of the upper Naerin River was 0.47mg/l, and total phosphorous was 0.007mg/l; thus, it maintained the cleanliness level of Ia. The average BOD of the area with the alpine farmland was 0.52mg/l, which was similar to the one of the non-cultivated land. But total phosphorous concentration was 0.023mg/l, which was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than the area belonging to level II due to the effect of fertilizer ingredients discharged from the cultivated land. About the loadings of the investigated area generated from each of the pollution sources, BOD was 878.5kg/day and total phosphorous was 79.7kg/day. Moreover, for the load density, BOD was $2.22kg/day.km^2$ and total phosphorous was shown as $0.20kg/day.km^2$. Regarding the rates generated from nonpoint sources like land among the loadings per pollution sources, BOD was 54%, total nitrogen was 91%, and total phosphorous was 73.4%. Therefore, it was shown that most of the nutrients were produced from the nonpoint sources. The level of BOD runoff loading in the Jaun River area, where nonpoint sources were mainly generated, was 37.1kg/day and total phosphorous was 1.33kg/day. The flow rates to the generated amount were estimated as 10.5% and 4.7% each.

백두대간 생태 복원을 위한 시민참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Ecological Restoration Program for BaigDooDaeGahn)

  • 김찬국;안동만;김인호;이재영;김성진;채혜성;이영;이재원;김민우;신민종;박효인;조경준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2호
    • /
    • pp.1-15
    • /
    • 2010
  • Ecological restoration aims to reverse the degradation of ecosystems that occurred as humans have affected landscap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part of a larger project to develop participatory ecological restoration procedures for disturbed areas in Baigdoodaegahn which is a major mountain rang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case of alpine farmland at Kangwon-do was selected to apply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articipatory restoration since the nutrient contents in alpine solid under vegetable cultivation degrade water quality in the watershed while farmers in the region are economically struggling due to imports of vegetables from China. The reciprocal model of restoration was applied to cope with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ecosystem needs in ecological restoration. A ser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co-tourism programs were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the participatory restoration project to rebuild social-cultural aspects of the community as well as to restore the biophysically disturbed area while meeting both ecological needs and human needs. This study suggests that participatory projects will be more successful when experts support the local residents and citizens in restoration process, when leadership are developed through social learning, and when ecological, financial and social factors of restoration are integratedly considered.

  • PDF

고령지 시용 부산물 퇴비의 이화학 및 분광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Properties of By-product Composts Applied in Gangweon Highland)

  • 박철수;주진호;이원정;정영상;양재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13-320
    • /
    • 2005
  • 이 연구는 강원도 고령지에 투입되고 있는 부산물퇴비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지에서 채취한 부산물퇴비의 화학적, 물리적, 분광학적 특성 및 부숙단계별 특성을 조사하였다. 등록된 부산물퇴비의 평균 유기물함량은 33%, C/N비는 13, NaCl은 0.8%이었고, 수분함량은 53%로 현행비료공정규격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중금속함량은 허용기준치 이하로 나타났고, Odor, $NH_3$ 가스, $CO_2$ 가스함량은 미등록 부산물퇴비에 비해 등록된 부산물퇴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미등록된 부산물퇴비의 특성 분석 결과, 유기물함량은 13종 중 3종이 25% 미만을 나타냈고, C/N비는 10 이하의 퇴비가 5종, NaCl 함량은 8종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했다. 수분함량은 8종이 50%이상이었고, 16% 이하가 2종으로 나타났다. 중금속함량은 부산물퇴비 모두 허용기준치 이하였고, Odor와 $NH_3$, $CO_2$ 함량은 등록된 퇴비에 비해 매우 높은 값을 보였다. 분광학적 특성 분석 결과 등록 부산물퇴비는 B와 P형태로 주로 분류되었고, 미등록된 부산물퇴비의 분광학적 특성 분석 결과 Rp와 P형태가 많았다. 홍천과 양평의 돈분부산물을 사용하여 부숙 단계별로 냄새와 $NH_3$ 함량을 조사한 결과 부숙기간이 경과할수록 현저히 감소하였고, 14일이 경과한 후에 부식산의 형태는 fulvic acid에서 나타난 P형태를 제외하고 모두 Rp형태로 분류되었다.

강원도 고냉지대 배추 경작자들의 농약 사용 실태 (Survey on pesticide use by chinese cabbage growers in gangwon alpine farmland)

  • 김성문;최해진;김희연;이동경;김태한;안문섭;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0-256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고냉지대 배추경작자들의 농약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데 있다. 태백시, 평창군, 정선군에 거주하는 배추경작자 185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은 배추경작지에 문제가 되는 병으로는 무사마귀병, 무름병, 노균병, 탄저병을, 해충으로는 배추좀나방, 진딧물, 파밤나방, 배추흰나비를, 잡초로는 흰여뀌, 쇠별꽃, 바랭이, 비름을 꼽았다. 경작지에 발생하는 병해충 방제를 위해 살균 살충제를 사용한다는 응답자는 51.3%이었던 반면,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제초제를 사용한다는 응답자는 20.7%이었다. 농약을 사용한다는 응답자들은 선호하는 농약을 편향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제초제의 경우 응답자의 87.2%가 paraquat와 glyphosate를 사용하고 있었기에 동일 제초제 사용으로 인한 저항성 잡초의 출현이 예상된다. 전체 응답자의 84.2%는 본인의 경험과 농약상의 추천으로 농약을 선정하고 있었는데, 이의 결과로 빈나리$^{(R)}$와 같은 미적용 농약을 사용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많은 응답자들이 동일 농약을 3년 이상 연용하고 있었으며(39.2%), 기준량 이상의 농약을 살포하고 있었다(45.6%). 이러한 잘못된 농약선정 및 사용으로 46.7%의 응답자들은 약해를 경험하였으며, 51.2%는 중독증상을 경험하였다. 이 지역 경작자들을 위한 올바른 농약의 선정 및 사용법과 효율적인 병해충 및 잡초 방제법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강원도 고랭지 Chlorpyrifos 포장저항성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저항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resistance to chlorpyrifos in diamondback moth(Plutella xylostella L.) collected from Chinese cabbage alpine farmland at Gangwon-do, Korea)

  • 조준모;김경주;김성수;박홍열;임춘근;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0-55
    • /
    • 2006
  • 본 연구는 강원도 고랭지 배추경작지에서 채집한 chlorpyrifos 포장저항성 계통의 배추좀나방에서 추출한 무독화 효소 esterases와 glutathione-S-tranferase(GST)의 활성과 단백질의 sequestration 비율 및 acetylcholinesterase(AChE) insensitivity를 측정하여 저항성 발달기작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Esterases의 경우 저항성과 감수성 배추좀나방간의 활성 차이는 없었으나, 전기영동상에서는 특정 isozyme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GST 활성은 포장저항성 계통이 감수성 계통보다 약 1.5배 높았다. 두 계통 간 단백질의 sequestration 차이는 없었으며, chlorpyrifos에 대한 AChE의 sensitivity는 포장저항성 계통의 AChE가 감수성계통보다 약 460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내에서 저항성을 유도하여 파악한 배추좀나방의 저항성 특성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강원도 고랭지 chlorpyrifos 포장저항성 배추좀나방의 저항성 발달은 AChE의 insensitivity가 주요 요인이며, 부가적으로 GST의 활성 변화도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취와 곰취의 정식 후 1년차 수량 및 생육특성에 미치는 질소 시용 효과 (Effect of Nitrogen Application Rate on Growth and Yields of Aster scaber Thunb. and Ligularia fischeri Turcz. in the First Year after Transplanting)

  • 최승출;안문섭;안수용;옥용식;손정수;주진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3-248
    • /
    • 2009
  • 환경조건이 불량한 고랭지 경사지 밭에서 정식 초기 산채 (곰취, 참취)류의 생육 및 수량과양분함량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후 토양 화학성 변화는 참취, 곰취 시험포 모두 비료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높아졌고, 토양유기물 함량은 요소 처리보다 부산물퇴비 시용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기 참취 및 곰취의 총 질소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 할수록 높아졌으나 부산물퇴비 처리구에서는 경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취 및 곰취 모두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취 생육의 경우 질소 120 kg/ha 처리구와 160 kg/ha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육을 나타났다. 참취의 수량도 질소 처리 수준이 증가할수록 수량은 증가하여 질소 120 kg/ha 처리구와 160 kg/ha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160kg/ha 처리구에서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