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uvial plain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초

소규모 임해충적평야의 수리체계 -불갑천 하류의 충적지와 해안사구를 중심으로- (Th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of Coastal Alluvial Plain: Sand Dune Area and Allurial Plain in Bulgap River Catchment in South Jeolla Province)

  • 강대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63-872
    • /
    • 2004
  • 서해안으로 유입하는 소규모의 하천은 충적지가 분포하는 구간에서는 거의 전역에 걸쳐서 조류의 작용을 강하게 받고 있다. 전라남도 영광군의 해안으로 유입하는 불갑천도 예외가 아니다. 불갑천 하류의 주요 지형은 충적지와 해안사구, 그리고 간석지이다. 이곳의 충적지는 간석지 퇴적물 위에 불갑천이 운반한 토사가 쌓여서 형성되었다. 충적지의 구성물질은 하천이 유역분지에서 운반하는 조립질의 풍화산물보다 창조류가 외해로부터 운반하는 미립물질의 비율이 해발고도가 낮을수록 증가한다. 불갑천 하류의 임해충적평야는 1920년대 후반부터 근대적인 수리시설이 도입되면서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평야의 면적은 20세기 이후 계속 확대되었다. 불갑천 하구의 간석지가 방조제 건설과 함께 간척되어 해안선이 상당히 전진하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해안사구가 농경지 사이에 갇혀버리고 말았다. 해안사구에는 대규모 사구취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논과 밭으로 개간되었다. 사구의 보존상태가 양호한 곳에서만 곰솔이 자란다. 불갑천 하류에서는 밀려오는 뻘에 의해 퇴적층이 확대되어 왔으며 해안사구는 모래공급을 받지 못한 채 파괴되고 있다. 즉, 뻘은 쌓이고 모래는 깎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해로 유입하는, 규모가 작은 하천의 하류부를 중심으로 퇴적층이 발달한 전라남도 영광군을 사례로 임해충적평야의 수리체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수리체계 의 파악이 충적지형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기 때문이다.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hanges in an Alluvial Low Land Using Multitemporal Landsat TM Data

  • M.A., Mohammed Aslam;Harada, I.;Kondoh, A.;;Y, Shen;Tj, Ferry 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712-714
    • /
    • 2003
  • The modifications taking place within the alluvial plains impart a larger extent of disturbances to hydrologic system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to detect the sensitivity of multi-temporal image data from Landsat TM (Thematic Mapper) for finding out the land-cover/land-use changes associated with alluvial low land. The eastern coast of Chiba Prefecture, Japan, forms a very important geographic unit owing to the existence of a unique alluvial landform. The alluvial plain occupied in the study area is widely known as 'Kujukuri Plain'. The TM images have been classified by means of maximum likelihood supervised classifier and the extent of changes has been estimated.

  • PDF

부여 능산리 충적평야 퇴적상과 지형발달 (Sedimentary Facies and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Alluvial Plain at Neungsan-ri, Buyeo, Korea)

  • 윤순옥;김애선;황상일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5
    • /
    • 2010
  • 부여 능산리 왕포천 유역 충적평야에서 지형면 분류, 퇴적상분석, 연대측정 등을 행하여 충적평야의 지형발달을 밝히고 식생환경과 농경활동에 대해 고찰하였다. 왕포천 충적평야는 홀로세 해면상승과 함께 대하천인 금강의 영향을 크게 받아 형성되었으며, 자연제방, 배후습지성 범람원, 곡저평야, 구릉지로 구성되어 있다. 왕포천이 금강에 합류하는 곳에 금강의 자연제방이 폭넓게 나타나고, 중, 하류부 충적평야는 금강의 배후습지가 된다. 또한 왕포천 연안이 배후지역보다 조립질 함량이 높고 토탄층이 얇았다. 왕포천 충적층의 가장 하부 모래층은 해면하강기에 청동기인의 영향을 받아 퇴적되었고, 초기철기시대의 해면상승기에 왕포천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토탄층이 형성되었다.

  • PDF

Response of Nutrient Dynamics with Topography during the Rice Cultivation in Paddy Field

  • Kim, Min Kyeong;Choi, Soon Kun;Kim, Myung Hyun;Hong, Seong Chang;Park, Na Young;Hur, Seung Oh;So, Kyu 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10-317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nutrient load balance from rice paddy fields with different topographies, alluvial plain and local valley. Continuous monitoring from May to September, 2013 was conducted for water quantification and qualification from alluvial plain in Yeoju region (32 ha) and local valley in Jincheon region (24 ha). The discharge rates of T-N from the alluvial plain were 57.2, 5.84, 22.7, and $5.20kg\;ha^{-1}$ for irrigation, precipitation, drainage, and percolation, respectively. In case of local valley, T-N loads were 34.6, 4.73, 21.1, and $4.15kg\;ha^{-1}$ for irrigation, precipitation, drainage, and percolation, respectively. In contrary, the T-P loads from the alluvial plain were 2.23, 2.22, 2.54, and $0.41kg\;ha^{-1}$ for irrigation, precipitation, drainage, and percolation, respectively. In case of local valley, T-P loads were 1.44, 1.57, 1.82, and $0.34kg\;ha^{-1}$ for irrigation, precipitation, drainage, and percolation, respectively. The nutrient contents in drainage water were influenced by the amount of waters, rainfall, and surface drainage water.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rainfal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utrient loads from July to August due to the amount of runoff in local valley paddy field, and irrigation was related with nutrient loads of drainage from July to August. This study showed that paddy rice farming in alluvial plain and local valley might be beneficial to water quality protection.

충남지역의 지하수개발에 관한 조사 (Research on the Ground Water Developement in the Region of Choong Nam Province)

  • 민병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27-1831
    • /
    • 1969
  • Resulties of research on the capacity of ground water of 994 concrete-pipe-wells and 97 infiltration-gallerys in ground-water-developement-works region executed from March to Julyin 1969, in Choong Chung Nam Do, and research on the quality of ground water for 88 wells for home-use around of River Geum Area, are as fellows: (1) Thickness of aquifer is no more than 2.85m averagely even at river-overflowed plain, alluvial plain and valley plain area that are estimated to contain ground water mostly. And so, it is guessed that ground water capacity is not much especially. (2) Soil of aquifer of the above area is sand or gravel and it is estimated to be good for ground water developement and its mean permeability coefficient is bout $2.5{\times}10^{-3}$(m/sec), and its porosity is about 33.9%. (3) The quality of ground water is good for irrigation water exception of delta plain area. Warm water plan is to need for irrigation water when water temperature is less than 19 degrees below zero. (4) Prospect of ground water developement, judging from quality and quantity, expects to lay infiltration gallery under the ground at river bed in order to utilize under-flow-water of river bed, river-overflowed plain, alluvial plain and valley plain that ground level is less than 50m. (5) Collectable water volume of under-flow-water of river bed is about 450 to $750m^3/day$ to be able to irrigate 3ha to 5ha of the cultivated land in case that infiltration gallery length is 50m and its depth is about 5m. (6) Collectable water volume at river-overflowed plain, alluvial plain and valley plain area, is estimated $150m^3/day$ to be able to irrigated 1ha of the cultivated land.

  • PDF

경남지역 논 토양 지형과 미생물 군집의 관계 (Relationship of Topography and Microbial Community from Paddy Soils in Gyeongnam Province)

  • 이영한;안병구;손연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58-1163
    • /
    • 2011
  • 경남지역 논 토양 곡간 및 선상지 10개소와 하성평탄지 10개소를 대상으로 2011년에 미생물 세포벽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여 미생물 다양성을 주성분분석으로 해석하였다. 토양 미생물체량은 곡간 및 선상지가 $1,266mg\;kg^{-1}$으로 하성평탄지 $578mg\;kg^{-1}$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탈수소효소 활성도 곡간 및 선상지가 $204{\mu}g\;TPF\;g^{-1}\;24h^{-1}$으로 하성평탄지 $93{\mu}g\;TPF\;g^{-1}\;24h^{-1}$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논 토양 평균 미생물 군집은 곡간 및 선상지가 총 세균이 32.9%, 그람음성 세균은 17.7%로서 하성평탄지의 총 세균 30.3%, 그람음성 세균 15.2%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주성분 분석 결과 토양 유기물 함량과 총 세균 군집 비율이 경남지역 논 토양의 곡간 및 선상지와 하성평탄지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었다.

울산시 태화강 하류부의 Holocene 중기 이래 해수면변동과 고지형변화 (Sea level change and paleogeomorphological change since the middle Holocene in the lowerreaches of Taehwa River, Ulsan-si, South Korea)

  • 김정윤;황상일;윤순옥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1-75
    • /
    • 2016
  •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sea level change and paleogeomorphology since the middle Holocene by diatom analysis and 14C-dating from the sedimentary facies of three trenches on alluvial plain of Taehwa River, Taehwa-dong, Ulsan-si, South Korea. The Taewha-dong area was a narrow bay located between Bangeojin and eatuary of Taehwa River was a narrow bay which has been detached from the open sea during middle Holocene. Taewa-dong area at bay area was developed into alluvial plain by the sediments had been come from the Taewa river basin. The sea level change during the middle Holocene effected on the development of Taewha-dong alluvial plain and its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ediment facies.

Landsat TM 영상(映像)을 이용한 충적평가(沖積平野) 미지형(微地形) 분류(分類) -금호강(琴湖江) 유역평야(流域平野)를 대상으로- (Classification of Micro-Landform on the Alluvial Plain Using Landsat TM Image: The Case of the Kum-ho River Basin Area)

  • 조명희;조화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97-204
    • /
    • 1996
  • 낙동강의 대지류중의 하나인 금호강 유역분지를 대상으로 하여 Landsat TM 영상의 false color composite를 육안분류하여 충적평야상의 자연제방, 후배습지, 합류선상지 등의 미지형 분류를 시도해 보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2년 11월 11일에 탐지된 Landsat TM 영상중의 band 2, 3, 4에 blue, green, red filter를 각각 씌워 조합한 false color 영상이 가장 효과적이었음이 규명되었는데, 시기(時期)적으로는 미지형 별로 녹색식물(綠色植物)의 밀도차가 가장 두드러지는 11월 중순(中旬)의 영상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즉 배후습지의 논은 벼가 막 수확된 때이므로 나지(裸地) 상태이었으나 자연제방 상에는 김장채소, 과수원의 하층(下層) 초본식물 등의 녹색식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 있으며 합류선상지 부분은 논과 밭이 혼합되어 녹색식물의 밀도가 중간 정도로 분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false color composite의 색조 차이를 이용한 미지형 분류결과에 대해 sample 지역에서 현지 지형 조사와 퇴적물 입도분석(粒度分析)을 실시하여 검증해 본 결과 충적평야 미지형 분류에 있어서 탐지시기와 band 조합의 대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면 TM 영상이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북한 지역 동해안과 서해안 평야의 지형 환경 변화 - 안주평야와 함흥평야를 중심으로 - (The Changes of Geomorphic Environment at East and West Coastal Plain in North Korea)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9-191
    • /
    • 2009
  • 본 연구는 북한 서해안과 동해안에 위치한 대표적인 해안평야인 안주평야와 함흥평야를 대상으로, 1910년대의 지형도와 2000년대의 위성영상을 토대로 북한 서해안과 동해안 평야의 지형 특성과 환경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북한에서 열두삼천리벌이라고도 불리는 안주평야는 지형학적으로 충적평야, 해성평야, 침식평야로 구분되며, 함흥평야는 주로 성천강에 의한 충적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지난 100년간 안주평야에서는 약 84.98$km^2$의 면적의 갯벌이 간척을 통해 농경지와 염전으로 변화되었으며, 중소하천의 하도는 대부분 직강화되었다. 함흥평야에서는 성천강 삼각주의 해안선이 최대 800m 정도 바다로 전진하면서 육지 면적이 약 3.40$km^2$ 증가하였고, 과거 분합(分合) 하도록 이루던 서성천강의 유로는 개간되어 사라졌으며, 광포는 인위적인 간척과 자연적인 하천 퇴적작용으로 호수 면적이 축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