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ga

검색결과 484건 처리시간 0.034초

연안어장 준설퇴적물을 이용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제거 (Removal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using the Dredged Sediment from a Coastal Fishery)

  • 선영철;김명진;송영채;고성정;황응주;조규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3-6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연안어장 준설퇴적물을 이용하여 적조생물인 Cochlodinium polykrikoides을 제거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최적의 적조제거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준설퇴적물의 투입량 및 입자크기, 열처리, 첨가제 종류 및 함량, 적조 분포 깊이 등의 인자를 조절하였다. 준설퇴적물의 적정 투입량은 6~10 g/L 정도였으며, 이를 살포했을 때 제거율은 60분 후 73~93%이었다. 실제 바다에 투입시 단위면적당(1 $m^2$) 건조한 준설퇴적물 기준으로 6~10 $kg/m^3$를 살포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설퇴적물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적조제거율이 증가했다. 입자크기가 <100 ${\mu}m$일 때 제거율이 93%로 100 ${\mu}m$ ${\mu}m$ 입자의 경우(51%)보다 훨씬 높았다. 준설퇴적물의 90% 이상이 100 ${\mu}m$ 이하의 크기를 차지하므로 준설퇴적물을 별다른 처리없이 살포했을 때 상당한 효과를 거두리라고 본다. 준설퇴적물에 첨가제(CaO)를 넣어서 적조제거에 높은 효율(99%)을 얻었다. 첨가제의 적정량은 5~10%이지만 pH 상승을 고려해서 가능한 소량 투입하는 것이 적합하다. 적조 분포 깊이가 깊을수록 제거효율은 증가했다. 깊이가 5 cm 일 때 제거효율이 83%이었고 50 cm 깊이에서는 93%이었다. 바다에서 적조가 발생하는 깊이는 3 m 이내이고, Cochlodinium polykrikoides 대부분이 1 m 이내의 깊이에 존재한다. 이 실험결과를 통해 실제 바다에 준설퇴적물을 적용하면 더 높은 적조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연안어장 준설퇴적물(<100 ${\mu}m$) 10 g/L을 투입하여 적조를 최대 93%까지 제거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는 황토를 이용한 결과(90~97%)와 비슷했다. 본 연구결과는 연안어장 준설퇴적물 살포법이 기존의 황토살포법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처리효율이 뛰어남을 보여주었다.

담수조류 그물말로부터 당 용액의 효율적 제조를 위한 가수분해 방법 (Hydrolysis Methods for the Efficient Manufacture of Sugar Solutions from the Freshwater Alga Water-net (Hydrodictyon reticulatum))

  • 김지현;김슬기;고은혜;김진철;김진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76-183
    • /
    • 2013
  • 담수조류인 그물말 (Hydrodictyon reticulatum, HR)의 실용적 당화조건 확립을 위해 산 가수분해 방법으로서 one-step acid hydrolysis과 two-step acid hydrolysis, 그리고 산가수분해 후 효소가수분해를 병행하는 combined hydrolysis를 검토하였다. One-step acid hydrolysis의 경우, $120^{\circ}C$에서 HR 4% 고형분을 2% 황산 용액에 넣어 1시간 동안 반응시킬 경우가 적정하였다. Two-step acid hydrolysis의 적정조건은 1차 가수분해시 HR 건조중: 72% 황산을 1 g : 1.5mL로 하여 $60^{\circ}C$에서 1시간 반응시킨 다음, 증류수 23.5 mL를 첨가하고 $120^{\circ}C$에서 1시간 가수분해시키는 것이었다. Combined hydrolysis의 경우, 2% 염산에 25%의 HR 고형분을 넣고 $120^{\circ}C$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citrate buffer로 4% 고형분 함량이 되도록 희석하고 E1+E2 효소를 각각 1+0.2 mL g $DM^{-1}$ 수준으로 첨가하여 $50^{\circ}C$에서 1~2일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Glucose 생성량, 발효억제물질(HMF, furfural) 생성량, 강산 사용제한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할 때, combined hydolysis가 보다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Protective effect of ethyl acetate extract of Ishige okamurae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rats

  • Kang, Sohi;Yang, Wonjun;Oh, Hanseul;Bae, Yeonji;Ahn, Meejung;Kang, Min Chul;Ko, Ryeo Kyeong;Kim, Gi Ok;Lee, Jun Hwa;Hyun, Jin Won;Moon, Changjong;Shin, Taekyu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59-265
    • /
    • 2011
  • Several compounds and extracts isolated from a brown alga, Ishige (I.) okamurae, exhibi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of I. okamurae (EFIO) could ameliorate carbon tetrachloride ($CCl_{4}$)-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intraperitoneally (i.p.) administered with EFIO at 10 or 50 mg/kg per day for 2 consecutive days before $CCl_{4}$ injection (3.3 mL/kg, i.p.). Twenty four hours later, the rats were anesthesized with diethyl ether and dissected. Pretreatment with EFIO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reased serum level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in $CCl_{4}$-treated rats. Pretreatment with EFIO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he reduced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in the $CCl_{4}$-injured liver. Histopathological evaluations showed that hemorrhage, hepatocyte necrosi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fatty degeneration induced by $CCl_{4}$ treatment were ameliorated by the administration of EFIO. Additionally, liver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revealed the marked reduction in ED1-positive monocyte-like macrophages in EFIO-pretreated rats given $CCl_{4}$.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IO ameliorates $CCl_{4}$-induced liver injury, possibly through the inhibition of oxidative stress.

MBE 성장온도에 따른 GaAs 및 AlGaAs의 전기광학적 특성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GaAs and AlGaAs with MBE growth temperature)

  • Seung Woong Lee;Hoon Young Cho;Eun Kyu Kim;Suk-Ki Min;Jung Ho Park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20
    • /
    • 1994
  • 분자선에피택시(molecular beam epitaxy)법을 이용하여 GaAs 및 ALGaAs layer를 undoped 반절연(100) GaAs 기판위에 성장하였고, 최적의 성장온도와 성장된 시료에 대한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조사 하였다. Undoped GaAs층의 성장에 있어서는 측정결과로 부터 As/Ga의유속비가 약 20, 성장온도가 $570^{\circ}C$일때 12K에서의 Photoluminescence 반폭치(FWHM)가 1.14meV인 결정성이 좋은 시료가 얻어졌으며, p형으로서 carrier 농도가 $1.5{\times}10^{14}cm^{-3}$ 미만이고, Hall 이동도가 300K에서 $579cm^2/V-s$인 양질의 에피층이 얻어졌다. 또한 이들 시료에서는 ODLTS, DLTS측정으로 부터 2개의 hole형 깊은 주위만이 관측되었다. Undoped AlGaAs층의 성장에 있어서는 As/(Ga+Al)의 유속비가 20이고 $60^{\circ}C$의 성장온도에서 표면 morphology와 결정성이 좋은 시료를 성장할 수 있었으며, 0.17~0.85eV에서 8개의 깊은 준위가 관측되엇다. Si이 도핑된 AlGaAs 층의 경우, PL 스펙트럼으로 부터 Si의 도핑효과를 관측할 수 있었으며, Hall 측정으로부터 300K에서 $1.5{\times}10^{16}cm^{-3}$일 때 Hall 이동도가 $2547cm^2/V-s$인 시료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매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sangi(Capsosiphon fulvecens)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 권미진;남택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30-535
    • /
    • 2006
  • 본 연구는 다량의 당질과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는 매생이가 동물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SD계 흰쥐를 기초식이군과 1% 콜레스테롤 급이군, 그리고 콜레스테롤과 동시에 5% 매생이를 급이한 매생이 급이군으로 나누어 5주간 급여하여 혈액과 간 중의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고, 비만 유전자인 랩틴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혈청 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기초식이군에 비해 콜레스테롤 급이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매생이 급이군은 콜레스테롤 급이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콜레스테롤 급이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콜레스테롤과 함께 급이한 매생이 급이군에서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 중의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 또한 콜레스테롤 급이군에 비해 매생이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유발된 흰쥐에 대한 매생이 급이가 다른 해조류와 마찬가지로 기능성 식이섬유로서 작용하여 혈청 및 간 내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의 저하, HDL-콜레스테롤 농도의 상승 및 동맥경화지수의 저하 등 지질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동결건조하여 분말화시킨 매생이 자체만으로도 혈청 또는 간장에서의 지질개선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 손석민;권한올;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82-1588
    • /
    • 2011
  • 매생이를 열풍, 진공 및 동결건조법을 이용해 건조하고 이들 건조방법이 건조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건조방법과 무관하게 탄수화물(38.10~41.54%)이었으며, 다음으로 조회분(31.86~33.28%), 조단백질(17.46~23.03%), 수분(4.14~6.25%) 및 조지방(1.01~1.51%) 순으로 나타났다. 열풍건조 시료의 총당 함량이 19.5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다음으로 진공건조 시료가 19.22%, 동결건조 시료가 18.18% 순으로 나타났다. 열풍건조 시료의 비타민 C 함량은 진공건조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동결건조 시료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열풍건조 시료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다음으로 proline, aspart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세 가지 구성아미노산의 합은 건조방법에 따라 전체 아미노산의 33.34~34.8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생이 건조방법별 무기성분 총 함량은 열풍 및 진공건조 시료가 동결건조 시료보다 월등히 많은 무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다량 함유하고 있는 무기성분은 건조방법과 무관하게 Na, K, Mg, Ca, P 순으로 나타났고 그 밖에 미량 무기성분으로 Fe, Mn, Zn, Cu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Botryococcus$ $braunii$ (Trebouxiophyceae)의 분리 및 계통분류학적 분석 (Isol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Botryococcus$ $braunii$ (Trebouxiophyceae) from Korean Freshwaters)

  • 이승훈;이찬희;조범호;안치용;김한순;오희목
    • 환경생물
    • /
    • 제30권1호
    • /
    • pp.31-38
    • /
    • 2012
  • 한국 내 전국적으로 5곳의 담수에서 2010년 4월부터 2011년 6월에 걸쳐 담수시료를 채취한 후, 각 담수시료에서 $Botryococcus$ $braunii$의 출현을 확인하고 microcapillary-pipetting method를 이용하여 5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B.$ $braunii$의 18S rRNA sequencing 후, BLAST search를 통한 분석 결과는 $B.$ $braunii$와 가장 높은 상동성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어 형태적 동정결과와 일치하였다. 진화, 계통분류학적 분석결과, 분리된 5주의 $B.$ $braunii$는 단일 계통인 Trebouxiophyceae으로 분류되었다. 18S rRNA sequence의 계통 분류학적 분석에서 $B.$ $braunii$ KNU6는 다른 분리된 $B.$ $braunii$와 같은 분류군 내에서 거리의 차이가 있었고, 또한 세포크기, 점액질의 양 등의 형태적 특징도 차이를 보였다. 한국에서 분리된 5주의 $B.$ $braunii$는 모두 race A type의 분류군에 포함되며, 탄소수 $C_{23}-C_{33}$의 지방산에서 유래된 alkadienes과 alkatrienes를 생산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B.$ $braunii$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배양조건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

갈조류로부터 에스트로겐 고활성 분획의 검증 (Verification of the Fractions with Strong Estrogenic Activities from Brown Algae)

  • 이승우;장민경;김남영;장혜지;이동근;김미향;김육용;김성구;유병홍;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807-1811
    • /
    • 2010
  • 갈조류에서 에스트로겐 활성소재를 평가하기 위하여 in vitro 검출시스템을 사용하여 에스트로겐 효과를 가지는 분획을 검증하였다. 각각의 갈조류의 분획물들은 에탄올 추출로부터 물, 헥산, 부탄올 그리고 메탄올의 용매를 이용한 분획과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갈조류들의 수층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였다. 미역과 다시마의 수층 분획물들은 $500\;{\mu}g/ml$의 농도에서 $10^{-7}\;M$의 표준물질($17{\beta}$-estradiol)과 비슷한 활성을 보였으며, 곰피와 돌자반의 수층 분획물들은 $500\;{\mu}g/ml$의 농도에서 $10^{-8}\;M$의 표준물질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갈조류인 미역, 다시마, 곰피 및 돌자반의 수층 분획물에 에스트로겐 대체 작용을 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폐경기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에스트로겐 활성소재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temporary and periodic emersion on the growth of Fucus spiralis and Pelvetia canaliculata germlings

  • Kim, Bo-Yeon;Park, Seo-Kyoung;Norton, Trevor A.;Choi, Han-Gil
    • ALGAE
    • /
    • 제26권2호
    • /
    • pp.193-200
    • /
    • 2011
  • The stress tolerance ability of Pelvetia canaliculata (L.) Dcne. Et Thur. and Fucus spiralis L. to temporary and periodic emersion stress was examined in order to test the following hypotheses: The upper shore alga, P. canaliculata is more tolerant to desiccation than F. spiralis in the germling stage and the former outgrows the latter under desiccation stress; Germling stress tolerance of the two species is age-specific; Crowding of germlings protects them from desiccation, irrespective of the species involved. Germling growth of the two species was retarded with increasing exposure period and was age-specific, as they were air-exposed at an earlier stage. After 16 days, the length of Pelvetia germlings was similar between 2-day-old germlings (125-140 ${\mu}m$) and 7-day-old germlings (134-140 ${\mu}m$), which were air-exposed during the same period (0, 6, 12, 24, 48, and 72 h) at the two different ages. However, Fucus germlings were significantly larger at 7-day-old germlings (211-277 ${\mu}m$) than at 2-day-old germlings (184-278 ${\mu}m$), especially in the treatments of 48 and 72 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uscus grow faster than Pelvetia and that the growth response of germlings to temporary emersion stress is more sensitive in Fucus than that in Pelvetia. Growth of germlings of both species was reduced with increasing density under favorable growth conditions (submerged control and 6 h / 12 h exposure treatments) in the periodic air-exposed experiments using tidal tanks, but was enhanced under severe emersion stress conditions. P. canaliculata showed better growth at 6 h exposure treatment than that of the control, under continuous submergence, indicating that Pelvetia germlings require a periodic exposure period. Fucus germlings always grew faster than those of Pelvetia and did best in mixed cultures, whereas Pelvetia did least well when mixed with Fucus germlings. The adverse effects of F. spiralis on P. canaliculata were greater than those of Pelvetia cohorts. The outcome of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F. spiralis and P. canaliculata gemlings was slightly altered by exposure period but not to such an extent as to change the outcome.

In vitro antibacterial and synergistic effect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dible brown seaweed Eisenia bicyclis against acne-related bacteria

  • Lee, Jeong-Ha;Eom, Sung-Hwan;Lee, Eun-Hye;Jung, Yeoun-Joong;Kim, Hyo-Jung;Jo, Mi-Ra;Son, Kwang-Tae;Lee, Hee-Jung;Kim, Ji Hoe;Lee, Myung-Suk;Kim, Young-Mog
    • ALGAE
    • /
    • 제29권1호
    • /
    • pp.47-55
    • /
    • 2014
  • To develop effective and safe acne vulgaris therapies with a continuing demand for new solutions, we investigated unique efficacy of an antibacterial agent from marine brown alga Eisenia bicyclis in treating acne vulgaris. The methanolic extract of E. bicyclis exhibited potential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cne-related bacteria.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bacteria among solvent fractions. Six compounds (1-6), previously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E. bicyclis, were evaluat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cne-related bacteria. Among them, compound 2 (fucofuroeckol-A [FF]) exhibit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cne-related bacteria with a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ranging from 32 to $128{\mu}g\;mL^{-1}$. Furthermore, FF clearly reversed the high-level erythromycin and lincomycin resistance of Propionibacterium acnes. The MIC values of erythromycin against P. acnes were dramatically reduced from 2,048 to $1.0{\mu}g\;mL^{-1}$ in combination with MIC of FF ($64{\mu}g\;mL^{-1}$). The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ices of erythromycin and lincomycin were measured from 0.500 to 0.751 in combination with 32 or $64{\mu}g\;mL^{-1}$ of FF against all tested P. acnes strains, suggesting that FF-erythromycin and FF-lincomycin combinations exert a weak synergistic effect against P. ac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mpounds derived from E. bicyclis can be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bacterial agents and a pharmaceutical component against acnerelated bac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