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oxidase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1초

칡추출물이 알코올을 급여한 흰쥐의 뇌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uerariae thubergiana Bentham Extract on Brain Tissue in Alcohol-Treated Rats)

  • 김명주;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69-675
    • /
    • 2000
  • 칡추출물이 알코올성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 을 구명하기 위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에게 갈화와 갈근을 수준별 (I;1.2 g/kg B.W., II;2.4 g/kg B.W.) 로 5주간 급여한 후 \ulcorner 열수추출물이 알코올 대사와 유리기 생성 및 제거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ADH 활성응ㄴ 갈화 및 갈근추출물 급여시 에탄올만 투 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ALDH 활성은 갈근추출물 급여군에서 유의 적으로 증가하였는데 1수준군의 증가정도가 현저하였다. P450 함량과 AD, AH 활성은 대조 군에 비하여 칡 열수추출물 급여시 감소되는 경향이었는데 갈근 급여군의 감소효과가 현저 하게 나타났다. AO와 XO 활성은 갈화 및 갈근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 는데 특히 갈근추출물 1수준군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SOD 활성은 칡 열수추출물 급여시 증가하였으며 CAT와 GSH-Px 활성은 에탄올 투여로 증가된 활성이 갈근 열수추출믈 I 수 준 급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갈화 및 갈근 열수추출물 급여는 뇌조 직 중의 에탄올 대사효소계의 활성을 촉진시켰으며, 유리기제거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항 산화효소계를 활성화하여 에탄올 투여에 인한 뇌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 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송곳니구름버섯(Irpex zonatus) BN2에 의한 아조계, 트리페닐메탄계 및 헤테로싸이클릭계 염료의 탈색 (Decolorization of Azo, Triphenylmethane and Heterocyclic Dyes by Irpex zonatus BN2)

  • 윤경하;최양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8-15
    • /
    • 1998
  • 우리 나라 자연 환경에서 분리 동정된 송곳니구름버섯(Irpex zonatus) BN2 균주의 리그닌분해효소활성과 아조(azo)계, 트리페닐메탄(triphenylmethane)계 및 헤테로싸이클릭(heterocyclic)계에 속하는 몇몇 염료의 탈색능을 조사하였다. 송곳니구름버섯 BN2 균주는 lignin peroxidase(LiP)와 veratryl alcohol oxidase(VAO)를 생산하지 않고 laccase와 manganese dependent peroxidase(MnP)를 생산했다. MnP는 배양 3일부터 생산되었으나 효소활성은 매우 낮았다. 반면 laccase는 배양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생산되었고 활성은 대단히 높았다. 균주를 염료와 함께 10일간 배양했을 때 아조계 염료인 orange II, orange G, tropaeolin O 및 congo red의 탈색율은 각각 98.0%, 97.4%, 99.0% 및 95.3%로 나타났고 트리페닐메탄계 염료인 basic fuchsin, malachite green 및 crystal violet 들은 98.5%, 95.7% 및 99.4%로, 헤테로싸이클릭계 염료에 속하는 eosin Y, toludine blue, methyl blue 및 azur B는 각각 97.4% 98.7%, 99.9% 및 94.0%의 탈색율을 보였다. 송곳니구름버섯 BN2 균주에 의한 염료의 탈색은 주로 laccase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생각된다.

  • PDF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의 향기성분 및 기능성 (Functional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yungsando Squid sikhe)

  • 최청;이희덕;최희진;손준호;김성;손규목;차원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5-352
    • /
    • 2001
  •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의 원인 물질을 분석, 동정하였다. 식해에서 동정된 물질 중에서 ${\alpha}-zingibirene$이 19.73 mg/kg으로 전체상대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Z)-Di-2-propenyl disulfide, ${\alpha}-curcumene$, methyl alkyl disulfide, $(E-E)-{\alpha}-farnesene$, pentanol, z-citral, $3-ethyl-1,2-dithi-5-ene-{\beta}-elemene$, acetic acid 및 ${\beta}-phelland$ rene의 함량 순으로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식해의 주요성분으로 나타났다. 식해의 향기성분은 hydrocarbone류가 49종, 알데히드류가 15종, 알콜류가 33 종, 케톤류 및 에스테류 11 종을 포함하여 총 162 종을 동정하였다. 식해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200\;{\mu}m$ DPPH radical을 50%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SC_{50}$ 값이 헥산과 물층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thylacetate 층은 $310.64\;{\mu}g/mL$, butanol 층은 $1096.49\;{\mu}g/mL$으로 나타났다. 혈압상승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헥산과 물 분획물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며 ethylacetate층에서는 $IC_{50}$이 1.623 mg/mL, butanol 층에서는 1.303 m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에 대한 $IC_{50}$은 ethyl acetate 층은 3.591 mg/mL, butanol 층은 2.083 mg/mL로 나타났다.

  • PDF

Acetobacter sp.를 이용한 알로에 식초의 발효조건 및 Lipase활성 저해효과 (Optimization in the Preparation of Aloe Vinegar by Acetobacter sp. and Inhibitory Effect against Lipase Activity)

  • 류일환;이갑상;신용서;전승호;이도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05-110
    • /
    • 1999
  • Acetobacter sp. DS-118을 분리 동정하고 이 균주를 이용하여 알로에 식초의 발효 조건을 검토하였으며 알로에 식초의 lipase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개발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감식초로부터 초산생산능이 우수한 균을 분리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Acetobacter속으로 판단되어 Acetobacter sp. DS-118로 명명하였다. 알로에 식초의 발효 조건을 검토한 결과, 알코올 농도 10%, 초기 산도 $3{\sim}4%$, 최적 발효 온도는 $25^{\circ}C$였으며, 유기질소원이 무기 질소원보다 초산 생성정도가 높았다 알로에 식초의 유기산은 초산이 12%, malic acid, ${\delta}-galactronic$ acid가 소량 검출되었다. Lipase에 대한 알로에 식초의 저해효과를 살펴본 결과 산도 12%의 알로에 식초 첨가시 92% lipase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IC_{50}$값이 43%를 나타내어 새로운 개념의 비만 방지 식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흰쥐에 있어서 홍국 색소 추출물이 알코올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ascus Pigment Extract on the Alcohol Metabolism in Rats)

  • 유대식;최혜정;윤종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03-607
    • /
    • 2003
  • 홍국 추출물(MPE)이 알코올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10% ethanol에 홍국 추출물을 1%, 2.5%, 5% 함유시킨 것을 1개월간 음용시킨 뒤, 처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홍국 추출물을 첨가시킨 실험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체중 증가율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실험군 간에는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 및 홍국 추출물 함유 알코올 섭취군 모두 간 기능에 별다른 이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 조직 중 alcohol dehydrogenase(ADH) 활성은 알코올 투여군이 정상군보다 87%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홍국 추출물 1, 2.5 및 5% 함유해서 알코올을 음용시킨 Monascus군은 알코올만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각각 34, 29 및 21% 증가하였다. Aldehyde dehydrogenase(ALDH) 활성에 있어서는 1% Monascus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32%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2.5% 및 5% Monascus군 역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효소를 반응속도적인 측면에서 관찰해 볼 때, 1, 2.5 및 5% Monascus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ADH의 Km치가 각각 40, 30 및 19% 감소되었으며, Vmax치는 알코올 투여군인 대조군은 정상군(8.26 nmole/min/mg protein)보다 43% 높게 나타났으며, 홍국 추출물함유 알코올음용군과 알코올단독음용군 간에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ALDH의 Vmax치는 대조군에 비해서 1, 2.5, 5% Monascus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각각 88, 56, 22% 증가되었다. 한편 1% 및 5% 홍국 추출물 함유 알코올을 흰쥐에 투여한 다음 경시별로 채혈하여 혈액 중 알코올을 측정하여 알코올 농도 곡선하면적으로 환산한 결과, 1% Monascus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약 18% 감소되었으며 5% Monascus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약 10%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 실험 결과는 알코올에 홍국 추출물을 첨가시킴으로서 알코올대사와 더불어 알코올의 체외 배설을 촉진시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모과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haenomeles sinensis Koehne Extract on Ethanol-induced Liver Damage in Rat)

  • 이유미;이재준;신형덕;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336-1342
    • /
    • 2006
  • 모과 에탄올 추출물이 체내 항산화계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in vivo에서 모과 에탄올 추출물이 알코올 투여로 유도된 간조직 손상의 보호효과를 검토한 결과 4주간의 체중증가율과 체중에 대한 간 무게 비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ET군이 다른 실험군에 비하여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식이효율은 ET군이 ND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알코올과 모과 에탄올 추출물을 단독 혹은 병합투여한 ET-CSL군과 ET-CSH군은 ND군의 식이효율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혈청 중 ALT, AST 및 ALP 활성은 알코올 투여한 ET군이 실험군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알코올과 모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ET-CSL군과 ET-CSH군은 ET군에 비하여 저하되었다. 간조직 중 과산화지질 함량은 ET-CSL군과 ET-CSH군이 ET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D군과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간조직의 XO, SOD, catalase 및 GSH-Px활성은 알코올을 단독 투여한 ET군이 알코올과 모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ET-CSL군과 ET-CSH 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모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이 증가할수록 이들 효소의 활성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ET-CSL군과 ET-CSH군은 ND군과 이들 효소활성이 유사하였다. 간조직의 GSH 함량은 ET군이 ND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알코올 투여로 감소된 GSH 함량은 모과 에탄을 추출물 투여로 ND군에 근접하도록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 모과 에탄올 추출물은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유리기 해독계 효소인 SOD, catalase 및 GSH-Px 활성은 억제시키고, GSH 함량은 증가시켰으며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저하시켰다. 따라서 모과는 항산화제로서의 활용성과 알코올 투여로 손상된 간조직의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성으로 Rg1 함량은 잎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44.15{\mu}g/g$이었고, Re 함량은 잎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48.78{\mu}g/g$으로 가장 많았으며, Rd 함량은 잎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25.57{\mu}g/g$으로 가장 많았고, Rc 함량은 잎의 80% 메탄을 추출물에 $4.87{\mu}g/g$으로 가장 많았다. 항산화활성은 잎의 물 추출물이 83.82%이었으며,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89.74%이었으며, 잎의 80% 메탄을 추출물이 88.37%의 활성을 나타내었다.의 순이었다. 7. 액비저장조 이용주체는 전체 농가의 59.0%인 240농가가 자체적으로 이용을 하고 있었으며, 23.1%인 94농가는 액비 유통업체에 위탁하여 이용하고 있었고, 5.2%인 21농가는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종 농가가 부담하는 ha당 액비살포 비용은 미부담 62.7%, 1만원 이상 16.2%, $4{\sim}5$천원 9.8%, $6{\sim}7$천원 9.6%, $8{\sim}9$천원 1.7%로 나타났다. 8. 경종농가의 액비사용전 액비시비처방서 발급은 54.1%인 220농가만이 의뢰한 것으로 나타났고, 41.5%인 169농가는 의뢰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액비사용에 대한 사전 교육은 62.4%인 254농가가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0.2%인 123농가는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 자체가 없어서 못 받았다는 농가도 3.9%인 16농가로 나타났다. 9. 액비사용시 문제점은 전체 농가중 절반 이상인 220농가(54.1%)가 악취로 인한 문제라고 하였으며, 22.1%인 90농가는 액비를 뿌릴 수 있는 장비가 부족하다고 하였고, 사용 불편 14.5%(59농가), 과다살포 3.4%(14농가), 비용과다

Effect of Protein and Fiber Levels on Ethanol-Induced Brain Damage in Rats

  • Cho, Soo-Yeul;Lee, Mi-Kyung;Kim, Myung-J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51-35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tein and dietary fiber levels on the activities of ehanol metabilizing enzymes of the brain in acute and chronic ethanol-treated rats. Male Sprague-Dwley rats were fed on diets containing two levels of protein(7%, 20%)) with two levels of fiber(5%, 105) for 5 weeks.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40% (v/v) ethanol(5g/body weight) 90 min before decapitation in the acute ethanol-treated groups and 25% (v/v) ethanol (5g/kg body weight) once a day for 5 weeks in the chronic ethnol-treated groups. Cytosilic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mitochondrial ADH. The ADH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20% protein and %% fiber levels in the diet in two fractions , but were decreased by chronic ethanol treatment. Mitochondrial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did not change by ethanol treatment but were increased by the 20% protein level. However, cytosilic ALDH activities were decreased by chronic ethanol treatment at the 5% fiber level and did not change with protein levels. Both ALDH activities were higher in the 10% fiber groups than the 5% fiber groups. Cytochrome P-450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hronic ethanol-treated groups but xanthine oxidase (XO) activities did not change. P-450 contents and XO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he low protein and fiber groups.

  • PDF

Ascorbic acid가 에탄올 대사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corbic Acid on the Activities of Ethanol Metabolizing Enzymes)

  • 김용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7-54
    • /
    • 1984
  • Effect of ascorbic acid on various hepatic ethanol metabolizing enzymes including alcohol dehydrogenase(ADH), the microsomal . ethanol oxidizing system(MEOS), and catalase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in liver microsomal and cytosolic preparation from Sprague-Dowley rats. In present study, ADH activities were no changed significantly by ascorbic acid. The MEOS activity, dependent on NADPH and $O_2$, was affected by azide (inhibitor of catalase) or exogenous catalase. In the presence of ascorbic acid, ethanol oxidation by rat liver microsomal preparation reacted with NADPH-generating system was increased by up to 22.5%, but decreased when liver microsome was reacted with $H_2O_2$ generated by xanthine and xanthine oxidase. Increase in the activity of the MEOS in the presence of ascorbic acid was greater in liver microsomal preparation pretreated with azide. Also ascorbic acid oxidized ethanol nonenzymatically. This ethanol oxidation induced by ascorbic acid was inhibited by OH radical scavengers (thiourea, sodium benzoate), but was not much affected by superoxide dismutase.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ascorbic acidcould interact directly with the MEOS, then promote the oxidation of ethanol. And, to some extent, ${\cdot}OH$-radicals or other radicals generated during the spontaneous autooxidation of ascorbic acid may b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acetaldehyde from ethanol.

  • PDF

아연수준이 카드뮴을 투여한 흰쥐의 항산화 효소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Zinc Levels on Free Radical Generating System in Cadmium Treated Rats)

  • 조수열;김명주;이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25-730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zinc (Zn) and/or cadmium (Cd) on hepatic microsomal and cytosol enzyme activities. Male Spraque-Dawley rats (110$\pm$10g ) received zinc (0, 30 and 300 ppm/) and Cd-treated groups were administered oral intubation with Cd chloride (5.0mg/kg of body weight 0 at the same time once a week. The effect of Cd on the activity of hepatic cytochromep-450 , xanthine oxidase(X. O)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was studied in rats. Cd oral intubation resulted in a decrease in cytochrome P-450 content and SOD activity where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X.O. activity was observed was observed . Intake of excessive Zn led to an increased activity of microsomal alcohol dehydrogenase (ADH) , whereas Zn deficiency group led to a decreased group. The mechanism by which Zn induces the decreasing of Cd toxicity in rats, seems to rely on the protection of the enzyme systems P-450, ADH,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nd X.O. in the liver, possibly by forming non-toxic Cd metallothione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Zn and Cd regulation might occur via inhibitory protein component of the $H_2O$$_2$ -generator system.

  • PDF

Construction of the Full-length cDNA Library and Selection of Diapause-Associated cDNA Clones from Bombyx mori Diapausing Eggs and Diapause-Activated Eggs

  • Hwnag, Jae-Sam;Go, Hyun-Jeong;Goo, Tae-Won;Yun, Eun-Young;Choi, Kwang-Ho;Seong, Su-Il;Kim, Sung-Kuk;Lee, Sang-Mong;Kim, Iksoo;Kim, Nam-Soon;Kang, Seok-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9권1호
    • /
    • pp.145-148
    • /
    • 2004
  • As an initial step to define the molecular mechanism of diapause during embryogenesi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mRNA transcripts from diapausing eggs and diapause-activated eggs were compared by differential expression using cDNA microarray. Twenty-four individual cDNA clones were identified. Amomg them, ten genes including alcohol dehydrogenase, dead box-l,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and 18 wheeler showed increased expression in the diapause-activated eggs. The rest of fourteen genes showed increased expression in diapausing eg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