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gar-agar

검색결과 2,807건 처리시간 0.033초

병자곡 및 자양곡형성에 미치는 광선 및 배지의 영향 (Effects of Light and Media on Pycnidial Formation of Didymella bryoniae (Auersw.) Rehm)

  • 이두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1-215
    • /
    • 1977
  • 오이류 덩굴마름병균(Didymella bryoniae)의 포자형성에 미치는 배지, 근자외선광과 화광색형광등 12시간 교호조사와 계속암흑처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Didymella bryoniae를 감자한천과 V-8 juice 한천에 배양하였을 때 광선은 병자각 및 자양각의 형성을 촉진하였으나 계속 암흑처리구의 포자형성은 낮았다. 그러나 균주에 따라서는 무광하에서도 병자각과 자양각을 형성할 수 있었다. V-8 juice 한천에 배양했을 때 자양각의 형성은 근자외선 보다는 화광색광선에서 촉진되었다. 일반적으로 광원에 관계없이 V-8 juice 한천에 배양한 것이 감자한천에 배양한 것보다 포자의 형성이 양호하였다. 감자한천에서 배양된 C. bryoniae의 각균주는 병포자의 대부분이 무격막의 소형 병포자였음에 비하여 V-8 juice 한천에 배양한 것은 무격막의 대형 병포자 또는 1개의 격막을 가진 병포자로써 병든 종자의 배축상에 형성된 배포자와 흡사하였다. 자양각의 외관은 병자각과는 판이하였으며 유두상 각공위에 백색의 포자괴가 형성되었다.

  • PDF

해양세균 Cytophaga sp. AYK301의 분리.동정 및 한천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조건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arine Bacterium Cytophaga sp. AYK301 and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garase)

  • 이원경;김봉조;하순득;공재열
    • KSBB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572-577
    • /
    • 1999
  • 해양으로부터 한천분해능이 뛰어난 균주를 한국의 서해(전남, 여천)으로부터 분리하여 Cytophaga sp.인 것으로 동정되었으며, 이 균주를 Cytophaga sp. AYK301이라 명명하였다. 균체성장과 효소 생산성 향상을 위한 탄소원의 영향을 단당 및 복합당류를 이용하여 살펴본 결과 본 균주는 agar기질을 사용하여 배양하였을 때 효소생산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agar를 0.0~0.6%(w/v) 농도별로 첨가하여 효소생산능의 최적조건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0.2%(w/v) agar에서 최대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질소원의 영향은 유기질소원과 무기질소원으로 나누어 실험을 행하였는데 beef extract 0.3% (w/v), $NH_4NO_3$ 0.05%(w/v)에서 각각 최고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초기 pH의 영향에서 pH 7.5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NaCl 농도의 영향에서는 7%(w/v)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각종 금속이온에 대한 효소활성은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적배양조건하에서 플라스크로 배양한 결과, 231 units/L를 생한하여 기본배지를 이용하였을 때보다 약 4배 정도 효소활성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Cellular Phones

  • 김수정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7-261
    • /
    • 2008
  • Cellular phones are the most used electronic device everyday in modern life and are always in contact with our hands, Although many studies have revealed microorganisms living on our hands, there are only a few reports on the research about products or places which are in contact with our han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microorganisms living in cellular phones. Microorganisms were scraped from cellular phones of students and professors from the clinical laboratory science department in Daegu Health College, and cultured at Brain Heart Infusion agar and MacConkey agar following API kit to identify them. The average colony number was $1.5{\times}10^2$ on BHI agar and $40{\times}10$ on MacConkey agar.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Gram stain result, Gram(+) Cocci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lso in BHI agar plates, Micrococcus spp and Acinetobacter baumannii identified with high frequency. Moreover, S. aureus, which is very well known as strong food poisoning bacteria, was isolated. Klebsiella pneumonia ssp pneumonia was isolat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from the MacConkey agar or S-S agar plate. From these results show, there are as many different microorganisms from cellular phones as from our hands. This is the first report isolating strong food poisoning bacteria in cellular phones. Since infection in hospitals have been an important issue to be aware of, it is equally necessary to investigate cell phones and products which hospital workers touch with their hands.

  • PDF

Agar Gel Barrier의 농도변화에 따른 폭발완화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losion Mitigations b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gar Gel Barriers)

  • 박달재;김남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3-18
    • /
    • 2011
  • 폭발챔버에서 Agar gel barrier의 폭발완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면적 $100{\times}100mm^2$, 길이 1400 mm를 가지는 폭발챔버 그리고 폭발챔버의 개구부에 설치될 gel barrier의 고정을 위하여 $100{\times}100{\times}300mm^3$의 챔버를 제작하였다. Agar gel과 물을 혼합하여 4가지 서로 다른 농도(2, 3, 4, 5 %)를 가지는 agar gel barrier를 제조하여 실험변수로 사용하였다. 폭발과정 동안 gel displacement의 가시화를 위해 고속카메라 그리고 gel barrier 전 후단의 폭발압력 변화를 관찰하고자 압력획득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gel 농도 증가에따라 gel의 파열시간 및 최대 폭발압력 도달시간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el 농도가 증가할 때 gelbarrier 전 후단에서의 폭발압력 완화율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사과와 고추에서 분리한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색소형성형 및 유성세대형 계통의 배양적 특징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romogenic and Teleomorphic Strains of Collectotric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Apple and Red pepper)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340-347
    • /
    • 1997
  • 사과와 고추에서 분리된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색소형성형 및 유성세대형 계통균주들의 배양적 및 분생포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유성세대 형성 계통들의 균사생장은 감자한천배지와 V-8배지에서 색소형성형계통에 비하여 빨랐다. 사과와 고추에서 분리된 색소형성형계통은 감자한천배지와 V-8배지에서 회백${\sim}$회록색의 균사가 환문을 이루면서 군데 군데에 황색${\sim}$연분홍색의 포자덩어리를 생성하였고 자낭포자세대를 형성하는 것은 없었다. 고추에서 분리된 계통은 사과와 감자한천배지에 한쪽 끝이 좁은 포자를 생성하였으나 V-8배지와 물한천잎배지의 것은 방추형이고 더 작았다. 사과에서 분리된 색소형성계통은 공시된 모든 배지에서 방추형의 분생포자를 생성하였다. 사과와 고추에서 분리된 유성세대 형성 계통들은 원통형의 포자를 형성하였는데 대부분은 양끝이 둥글었으며 감자한천배지와 V-8배지에서는 소흑점이 산재한 회백${\sim}$흑록색의 환문균층을 이루면서 자낭포자세대를 형성하였다.

  • PDF

고령자용 감귤젤리의 품질 특성 연구 (Sut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ju Mandarin Orange Jelly for the Aged)

  • 이지은;최은정;오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75-481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ju mandarin orange jelly with various gelling agent such as agar, ${\kappa}-carrageenan$ and gellan gum for the aged. The concentration of agar was 0.4-0.6% and that of ${\kappa}-carrageenan$ and gellan gum was 0.2-0.4%. The color value, gelling temperature, melting temperature, break down rate,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acceptance test of Jeju mandarin orange jelly with various gelling agent were measured. Average age of the subjects for acceptance test was 78.23. Redness and yellowness of Jeju mandarin orange jelly with agar was lower than that with ${\kappa}-carrageenan$. The gelling and melting temperature of Jeju mandarin orange jelly with agar was lowest among the jellies. Break down rate of Jeju mandarin orange jelly with agar was highest among the jellies.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stability of Jeju mandarin orange jelly with agar was inferior than that with ${\kappa}-carrageenan$ and gellan gum. Hardness, adhesiveness and springiness of Jeju mandarin orange jelly with agar was lowest among the jellies and sensory acceptance of Jeju mandarin orange jelly with gellan gum was highest among them. Thus, gellan gum was appropriate gelling agent for the Jeju mandarin orange jelly with regard to the acceptability and the depression of sour taste in Jeju mandarin orange jelly could improve the acceptability for the aged.

한천 유기산 가수분해물의 생리활성 (Functional Properties of Hydrolysates Prepared from Agar Treated with Organic Acids)

  • 주동식;이창호;조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548-1553
    • /
    • 2008
  • 한천 가수분해물의 각종 생리활성을 실험한 결과, $100^{\circ}C$ 이상의 조건에서 가수분해된 시료에서 B. cereus와 B. subtilis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malate 가수분해물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획분에서는 E. coli에 대해서도 확실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고, 약하지 만 S. aureus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Citrate와 malate로 가수분해된 시료에서 $55{\sim}80%$의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활성이 낮았다. 한천 가수분해물의 비피더스균 증식 효과는 온도에 관계없 이 lactate, citrate 및 malate로 가수분해된 시료에서 B. infantis 균에 대해 증식효과가 확인되었다. 한천 가수분해물에서는 ACE 저해능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항혈액응고활성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세포증식 억제능은 0.5%의 citrate와 lactate로 $110^{\circ}C$에서 180분간 가수분해되어진 시료에서 강한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시료를 정제하여 얻어진 특정 획분(C3과 L3)에서도 강한 세포 증식 억제능이 확인되었다.

Non-O157 장출혈성대장균 검출을 위한 증균배지 및 선택배지 성능 평가 (Evaluation of enrichment broth and selective media for the detection of non-O157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 이다연;김희언;서동원;조용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23-328
    • /
    • 2016
  • 본 연구는 non-O157 EHEC의 혈청형별 증균 및 선택배지에서의 분리 조건 및 비교 시험을 하여 최적의 검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EC medium with MUG broth, BRILA broth, mTSB broth with novobiocin 3종의 증균배지 성능 및 배양 조건의 비교 결과 EC-MUG 증균배지를 $42^{\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면 EHEC의 효율적인 증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ENDO agar, Chromocult agar, TBX agar, CHROMagar$^{TM}$ STEC medium 4종의 선택배지에 가장 효과적인 배지를 확인결과 TBX agar가 검출율이 가장 높았으나 1종의 배지를 사용했을 경우 다양한 EHEC 혈청형 균를 검출 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EHEC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고자 할 경우 TBX agar와 보완이 가능한 그 외의 배지를 사용하여야 효과적인 검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각 배지가 혈청형에 따른 분리효율이 다르므로 본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가장 적합한 배지를 선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non-O157 EHEC의 적절한 기질을 사용하여 다양한 혈청형을 모두 검출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배지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Bacteroides fragilis의 E-test와 한천 평판 희석법에 의한 항균제 감수성상의 비교 (Comparison of the E-Test with Agar Dilution Susceptibility Test by Using Bacteroides fragilis)

  • 김희선;김성광;차화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35-143
    • /
    • 1993
  • Bacteroides fragilis의 임상 분리균주 45주의 cefaclor, ciprofloxacin, imipenem의 3종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검사를 기존의 한천 평판희석법과 최근 새로이 개발된 E-test (AB Biodisk, Slona, Sweden)법으로, brain heart infusion, Mueller-Hinton, Wilkins Chalgren 한천 배지 3종류를 사용하여 균의 최소발육 억제 농도 (MIC :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의 결과를 비교, 관찰하였으며 5종의 quinolone 제제 (ciprofloxacin, enoxacin, norfloxacin, ofloxacin, pefloxacin)에 대한 Bacteroides fragilis group 60주의 시험관내 감수성 검사를 한천 평판 희석법으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한천 평판 희석법에서 관찰된 MIC를 기준으로 E-test MIC의 결과를 비교하면 실험균주 90.3%가 한천 평판희석법의 MIC (within${\pm}$1 dilution)와 일치하여 E-test가 B. fragilis의 항균제 감수성 검사법에 한 종류로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며 사용된 배지에 따른 감수성상의 양상은 큰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B. gragilis의 항균제 감수성 검사용 기본 배지로 brain heart infusion배지와 Wilkins Chalgren배지는 적합하나 Mueller-Hinton배지는 부적합 한것으로 나타났다. Bacteroides fragilis group 60주에 대한 5종의 quinolone제제에 대한 감수성상은 ofloxacin을 제외한 약재에 대해 대부분 내성을 띄었으며 균종간의 감수성상의 두드러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Comparison of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gar Phantom and Gel Bolus Phantom by Radiofrequency Hyperthermia

  • Jung, Dong Kyung;Kim, Sung Kyu;Lee, Joon Ha;Youn, Sang Mo;Kim, Hyung Dong;Oh, Se An;Park, Jae Won;Yea, Ji Wo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7권4호
    • /
    • pp.224-231
    • /
    • 2016
  • The usefulness of Gel Bolus phantom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agar phantom produced to investigate the dos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radiofrequency hyperthermia device with that of the Gel Bolus phantom under conditions similar to those of an agar phantom that can continuously carry out temperature measurement. The temperatures of the agar phantom and the Gel Bolus phantom were raised to $36.5{\pm}3^{\circ}C$ and a temperature sensing was inserted at depths of 5, 10, and 15 cm from the phantom central axis.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ere analyzed while applying output powers of 100 W and 150 W, respectively, at intervals of 1 min for 60 min under conditions where the indoor temperature was in the range $24.5{\sim}27.5^{\circ}C$, humidity was 35~40%, internal cooling temperature of the electrode was $20^{\circ}C$, size of the upper electrode was 250 mm, and the size of the lower electrode was 250 mm.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of 150 W output power at the depth point of 5 cm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phantom were analyzed to be 0.9946 and 0.9926 in the agar and Gel Bolus phantoms, respectively; moreover, the temperature change equation of the agar and Gel Bolus phantoms with time can be expressed as follows in the state the phantom temperature is raised to $36^{\circ}C:Y(G)$ is equation of Gel Bolus phantoms (in 5 cm depth) applying output power of 150 W. Y(G)=0.157X+36. It can be seen that if the temperature is measured in this case, the Gel Bolus phantom value can be converted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agar phantom.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agar phantom of a human-body-equivalent material with those of the Gel Bolus phantom that can be continuously used, the usefulness of Gel Bolus phantom was exhib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