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domain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 수학에서 메타버스 수업 공간 설계 및 적용 사례 연구: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metaverse class space in elementary mathematics: Focusing on the affective domain)

  • 박만구;이윤경;정보화;정유진;김지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117-149
    • /
    • 2023
  • 본 연구는 메타버스 학습 공간에서의 수학 수업이 가능하도록 메타버스 플랫폼인 젭(ZEP)을 이용하여 가상공간을 설계하고 이를 교실 수학 수업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교과 효능감, 교과 흥미, 내재적 동기, 수업 만족도 및 수업 참여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한된 시간과 공간을 가진 교실 수업에서 서로 다른 미션을 수행함으로써 학생 수준별 맞춤형 수업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실태 조사 (The Actual Condition of Affective Aspects in the North Korean Adolescents Defectors in Learning Mathematics at Alternative Schools)

  • 권민진;이지혜;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55-470
    • /
    • 2019
  •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자 탈북청소년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수학포기에 대한 인식 및 수학 학습에서의 어려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탈북청소년의 정의적 특성은 남한 학생들보다 자신감과 가치, 학습의욕이 낮았으며, 탈북청소년의 수학 포기 비율이 남한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학을 포기하게 된 이유는 스스로에 귀인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출신 국가에 따른 정의적 영역 설문결과는 북한 출신과 제3국 출신 대비 한국에서 초등학교를 다닌 탈북청소년이 흥미도, 학습의욕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탈북청소년의 수학 학습의 어려움으로 언어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EM 기반 수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TEM based approach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 이혜숙;민주영;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37-362
    • /
    • 2013
  • 본 연구는 STEM 기반 수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이 프로그램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습 및 진로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STEM 기반 수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을 과학, 기술 공학, 실생활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STEM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자기조절력, 가치인식, 자신감)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STEM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이공계 분야로 진로를 설정하거나 탐색하도록 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교육 목표 분석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on Elementary School Biology)

  • 심규철;이현욱;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9-544
    • /
    • 1998
  • 교육 목표 영역으로 설정된 부분이 실제 각 단원, 소단원 그리고 수업 차시 목표에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제 6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등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수업 목표를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목표설정 영역은 인지적 영역, 탐구과정 영역, 수공적 기능 영역, 창의성 영역, 정의적 영역과 STS 영역 등 6개이다.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가 가장 많았으나, 창의성 영역에 해당하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단원 목표와 소단원 목표에서는 인지적 영역, 탐구과정 영역, 정의 영역, 수공적 기능 영역, STS 영역 순으로 비중이 높았으나, 차시 수업 목표에서는 인지적 영역과 탐구 과정 영역이 대부분이었다. 목표 영역 중에서 인지적 영역과 탐구과정 영역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단원, 소단원과 차시의 수업 목표의 연계성이 부족하였으며, 특히 정의적 영역에서는 대단원, 소단원, 차시 수준으로 갈수록 그 비중이 급속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목표 설정 영역의 형식적인 구분보다는 교과서의 개발시 목표 영역의 일관성 있고, 균형 있는 반영을 고려해야 하며, 또한 목표 설정 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안배가 요구된다.

  • PDF

블룸(B.S. Bloom)의 교육목표에 따른 원예그림동화책과 교육적 효과분석 (The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 of The Horticultural Picture Books Focused on B.S.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곽혜란;김선아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1호
    • /
    • pp.155-169
    • /
    • 2019
  • 본 연구는 블룸의 교육목표에 따른 원예동화책의 교육적 특성과 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Web에서 식물과 원예활동에 관한 키워드 검색을 통해 수집한 70여 권의 그림동화책 중에서 이들이 담고 있는 내용에 따라 블룸의 교육목표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정의적 영역(emtional domain), 심동적 영역(psychomotor domain)에 해당하는 동화책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내용적 특성과 원예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찾아 분석하여 교육적 효과를 기술하였다. 또한 서울지역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초조사(인구학적 변인조사), 원예그림동화책을 활용한 원예교육 방법(교육법)으로 스토리텔링전략, 그림동화책 후 활용, 효과적인 교육 기자재 등을, 원예교육 인식에 대한 조사로서 원예그림동화책 특성, 장점, 단점 및 도움이 되는 점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지 분석결과, 원예그림동화책을 활용한 원예교육을 하였을 때 교사가 인식하는 장점으로는 '원예활동에 관한 아이들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 그러나 단점으로는 '교육활동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 나왔다. 그림동화책을 이용하였을 때 학교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것은 '수업에 도입하기 쉽다'는 점으로 나타났다. 원예그림동화책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으로는 스토리텔링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이야기 몰입', 그림책을 읽은 후 효과적인 활동은 '그림 그리기', 원예그림동화책 교육에 가장 효과적인 기자재는 '실물화상기'로 나타났다.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urvey of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Non-Cognitive Domain of Mathematics Learning)

  • 이환철;김형원;이지혜;이현숙;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267-287
    • /
    • 2017
  •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수학적 성향과 같은 정의적 특성의 개선은 학교 수학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로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정의적 영역의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의적 영역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 과정은 선행연구를 통해 정의적 영역의 요인을 선정하고, 초 중 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각 요인에 해당되는 문항들을 추출하였다. 이후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해 검사 문항들의 신뢰도와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최종문항을 선정하였다. 개발된 정의적 영역 검사 문항은 흥미, 학습태도, 가치, 외적동기, 내적동기, 학습의지, 효능감 요인의, 총 24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이는 향후 초 중 고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수학교과의 정의적 영역 성취를 위한 교육 목표나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서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활동에서 리더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모둠 내 언어적 상호 작용 분석 (Analysis of Linguistic Interaction within a Group According to Leader's Leadership in Scientific Inquiry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 박명희;신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60-77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탐구활동에서 모둠 리더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과 리더가 지니고 있는 리더십 요소가 모둠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비전과 추진, 과제책임, 의사결정 세 가지 리더십 요소별로 모둠의 리더를 선정하여 과학탐구능력, 학업성취도평가의 항목으로 모둠원을 구성하여 과학탐구활동을 실시하면서 언어적 상호 작용을 분석하였다. 비전과 추진 모둠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수를 보였는데, 이는 리더 속에 내재되어있는 비전과 추진 리더십의 '비전'과 '자신감'의 요소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세 모둠 모두 과제해결과 관련하여 인지적 측면이 정의적 측면 언어적 상호작용보다 많았다. 인지적 측면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는 실험 현상과 관련하여 낮은 수준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대다수였고, 상위수준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적은 빈도수로 일어났다. 정의적 측면에서는 행동참여가 분위기조절보다 더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이는 모둠에서 분위기 조절보다는 과제 해결을 위한 모둠원의 행동 제어와 관련된 상호작용이 많았기 때문이다.

음식물 쓰레기에 관한 STS 모듈의 적용 효과 (Application Effects of STS Module Concerning Food Waste)

  • 이내환;차희영;김성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1호
    • /
    • pp.44-54
    • /
    • 2005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an effectiveness of STS module concerning food waste, 'Even if food waste is the money, would you throw it away', in the areas of affective domains related to science and attitudes towards environmental problems. For this study, one group of 142 seventh graders attending 'L' middle school in Iksan city, Jeonrabukdo received 8 class hours with this module. Their affective domains related to science and attitudes towards environmental problems were measured by pre- and post-test design in a single group. In addition, their views on STS instruction was also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in the transition period who had been taught with this module showed that the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ness in interests related to science, scientific attitudes and execution towards environmental problems(p<.05). Students taught with this module had a positive views on the STS instructional methods or contents. It was also shown that their recognition or behavior toward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changed positively.

  • PDF

Information Worlds and Interpretive Practices: Toward an Integration of Domains

  • Burnett, Gary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3권3호
    • /
    • pp.6-16
    • /
    • 2015
  • This article proposes an interwoven three-part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and analyzing the role of information in human activities, melding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of the individual, the collective domain of the social, and the domain of signification and communication practices, focusing on the ways in which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cial context and interaction, and signification and representation work together to form information behavior. The article presents an overview of each of these three domains and discusses the ways in which they are intertwined. It argues that considering the three domains in relation to each other offers a holistic framework within which to consider the ways in which information - needs, behavior, creation, and use - depends simultaneously on all three. It concludes by offering a brief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framework for information servic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ibraries.

A Meta-study of Extensive English Reading Researches

  • Kim, Jeong-Ryeol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2호
    • /
    • pp.85-106
    • /
    • 2012
  •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extensive reading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classrooms. The effects of extensive reading are shown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 in Krashen (1999) and Spada (1997), particularly researches done in classroom setting. Extensive reading is hard to implement in foreign language classrooms due to the stringent school curricula despite its benefits i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of learners. This study searched 21 papers from research database on extensive reading researches in a classroom setting and synthesized 55 cognitive effects and 11 affective effects from these papers under investigation in a manner of quantifying their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o derive generalizations. Research synthesis in this manner has secured its own status of scientific investigation by providing secondary researchers with replicable methods that produce verifiable findings. The syntheses of researches show that extensive reading is effective in both literacy skills and other language skills such as listening and writing. It also shows positive effects across different age groups, but the effect sizes are different in that elementary and adults gained more positive effects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