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s fashion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초

Analysis of Purchasing Moderating Effect on Perfume Purchasing Propensities & Behavioral Attitudes

  • JANG, Hee-In;LIM, Ju-A;SO, Young-Jin
    • 웰빙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1-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looked at perfume buying patterns among 328 adolesce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purchasing behaviors and attitudes of adolescents were divided into clusters and whether the purchasing behaviors and attitudes of each cluster had a moderating effect on purchasing behavior factors was analyzed. Results: Group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ttitude toward perfume purchasing behavior was divided into group 1, which purchases perfume according to one's own subjective opinion, and group 2, who purchases perfume according to external factors. Among the six purchasing behavior factors, the internal pleasure-seeking (p.<001) and fashion-seeking (p.<001)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clusters 1 and 2, and in cluster 2, economic feasibility (p.<001)) internal product.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ther than pleasure and trend-seeking, indicat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Adolescents consider economic feasibility when purchasing perfume, so it is necessary to set low prices and diversify products for marketing plans for perfume products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제품 구매시 구매후기 이용에 대한 연구 - 서울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customer review when buying fashion products at the internet shopping malls - Focusing o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 정명화;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9-145
    • /
    • 2010
  • 서울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패션제품 구매행동, 구매후기에 대한 인식, 구매후기의 이용과 작성 및 그에 따른 인식, 의복관여도에 따른 구매후기에 대한 인식 및 구매 후 불만경험과 대응행동을 살펴보았다. 서울지역의 6개 고등학교 50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7.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t-test, 일원분산분석을 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는 Duncan's Multiple Test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제품 구매이유는 저렴한 가격과 다양성 및 편리성 때문이였고 구매하지 않는 이유는 대부분 화면과 실제의 상품 차이 때문이었다. 학생들은 구매후기를 믿을만하고 유용하다고 인식하였다. 구매후가 내용의 방향과 개수에 대해서는 영향을 받았지만 최신성에 대해서는 영향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후기를 이용하는 학생이 이용하지 않는 학생보다 유용성, 신뢰도, 영향력 모두 높게 인식하였고, 구매후기를 작성하는 학생들이 작성하지 않는 학생들보다 구매후기의 유용성과 신뢰도, 구매후기의 개수에 따른 영향력을 높게 인식하였다. 의복관여도에 따라서는 고관여의 학생들이 중관여와 저관여의 학생들에 비해 구매후기를 유용하다고 인식하였다.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 후 불만을 경험한 학생들은 불평행동으로 공행동과 무행동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남자 중학생의 체형분류에 관한 연구 (Classification of junior high school boys' body types)

  • 신장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24
    • /
    • 2019
  • Adolescence is a transitional stage of physical development which occurs during the period from puberty to adulthood. Going through this period, various parts of an adolescent's body grow at different rates, leading to different body shapes and proportions when compared to adul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body sizes and shapes of junior high school boys from ages 13-15 based on body measurement items that are used as the basis for school uniform designs including jackets, shirts, and pants. For this, the study sought the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body shapes and school uniform patterns for junior high school boys using the data from the 6th Size Korea Survey (2010). Specifically,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uniform patterns that fit well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bodies into particular types. After extracting body shape componen a cluster analysis using ANOVA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conducted to determine body shape components, 5 factors were obtained as follows: Factor 1: bulk and horizontal size, Factor 2: body height and length, Factor 3: shoulder shape and length, Factor 4: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 size, Factor 5: shape of the upper body with a variance of 82.62%. To classify junior high school boys' body shape was determined using various characteristics, and a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variables obtained by the factor analysis. For this, body shapes were classified into 3 different types: Type 1 accounted for 33.4%, with a total of 463 subjects. This type was a tall, long body individual with the smallest bulk and size. Type 2 accounted for 22.7%, with a total of 315 subjects. This type was large in bulk and horizontal size, but the lowest in height and length. Type 3 accounted for 43.9%, with a total of 610 subjects. This type was close to average in terms of horizontal size, length, and height. To develop well-fitting school uniforms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on changes in body shape and their associated causes. The study results will be available as basic data for comparing branded school uniform patterns for junior high school boys and developing school uniform patterns based on body shape, using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s.

청소년의 교복행동과 외모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 연구 (A Study Related to Adolescent Students' School Uniform Behavior and Attitude toward Appearance)

  • 한미화;이은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43
    • /
    • 2009
  • 본 연구는 2007년 11월에서 12월 중에 전라북도 소재 4개교의 남녀 중 고등학생 89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교복행동(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 교복변형)을 알아보고 외모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성 등 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학교현장에 청소년기 의생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PSS 11.5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x^2$ 검증,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교복에 대한 태도는 유행성, 과시성, 관리성, 변형성 4개 요인이 선택되었다. 교복에 대한 태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변형에 대한 태도가 높았으며, 중학생이 교복에 대한 태도 중 유행성이 높았고, 관리성과 변형성에서는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교복착용실태를 살펴보면,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의 디자인, 색상, 옷감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교복변형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교복 변형 경험이 많았다. 교복변형실태에서 스커트(바지) 길이를 줄인 학생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외모를 돋보이기 위해 교복의 길이, 옆선 등 교복을 줄여서 몸에 밀착된 형태로 변형시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복변형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체형보정', '유행', '활동성', '무난함'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결과, 외모에 대한 동조 가치 욕구 3개 요인이 선택되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하여 욕구 가치 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이 고졸 이상 일수록 욕구 가치 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의 월수입이 300만원 이상인 학생들이 욕구와 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한 달 용돈을 3만원 이상 받는 학생들이 1만원에서 2만원 이하로 용돈을 받는 학생들보다 외모에 대한 욕구와 가치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 청소년의 교복변형유무에 따른 외모에 대한 태도, 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의 차이에서 교복변형을 경험한 학생일수록 외모를 변화시키고자 하며 매력적인 외모에 가치를 두고 추구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고, 교복변형을 하지 않는 학생들은 교복에 대한 태도 중 유행성, 상징성, 관리성에서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으며, 교복변형을 한 학생들은 변형성만에서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다. 교복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유행성은 외모에 대한 태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변형성은 외모에 대한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의 디자인, 색상, 옷감에 대한 만족도와 외모에 대한 태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교복행동과 외모에 대한 태도는 관련이 있었으며, 청소년기 외모에 대한 관심은 하루 일과 중 가장 많이 접하는 교복행동 즉, 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 교복변형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 PDF

여자 중.고등학생의 의복구매 의사결정 유형과 관련변인연구 (A Study on the Decision-Making Styles and the Related Variables in the Apparel Purchase of Female Adolescents)

  • 목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57-37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segment female adolescent consumers into consumer groups displaying different consumer decision-making styles 2) to determine the consumer characteristics(clothing involvement information search store patronage and demographic variables) that related to each consumer segment and 3)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Decision-making styles were measured by 32 seven-point Likert type scales adapted from Sproles & Kendall and Shim & Kot A total of 78 statements dealing with three aspect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was adapted from previou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567 2nd grade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s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ANOVA cluster analysis χ2 -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s of cluster analysis and ANOVA on seven factors of desion-making styles(1. brand-consiousness 2. novelty/fashion-consciousness 3. recreational/hedonis-tic orientation, 4. impulsive/carelessness, 5. price-consciousness/value-for-money, 6. perfectionism/high quality orientation 7. habitual/brand-royal consciousness) three consumer groups were identified and labeled as puality-oriented/non-utlitarian shoppers price-oriented shoppers and apathetic shoppers. Quality-oriented/non-utilitarian shoppers showed the highest clothing involvement scores of all aspects the highest consumer knowledge/experience most active ongoing information search and prepurchase information search. They preferred department store and franchise store for apparel shopping and considered service/reliability atmosphere variety of goods as important store attributes, Price-oriented shoppers showed prepurchase information search and planned purchase behavior actively. They preferred factory outlet store specialty stre and considered price very important as store attributes. Apathetic shoppers showed the lowest scores of all aspects of clothing involvement and most passive behavior in information search activities except showing the highest planned purchase. They preferred regional marke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