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normality

검색결과 1,412건 처리시간 0.033초

강도에 따른 산림 걷기 운동 시 회복방법이 심박수, 혈중젖산농도, 혈중글루코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covery method after forest walking exercise by intensity on heart rate, blood lactic acid and blood glucose)

  • 김기홍;민준원;유정빈;김조은;손재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01-409
    • /
    • 2021
  • 이 연구는 천안시 태조산의 산림 경사 트레킹 시 80bpm 및 130+30bpm의 속도로 걷기 운동 후 정적회복 및 동적회복방법이 회복 중 심박수, 혈중젖산농도, 혈중글루코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산림환경의 경사 트레킹 후 효율적인 회복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걷기 운동을 하는데 이상이 없는 20-30대 남자 9명을 대상으로 80bpm 속도와 130+30bpm 속도로 트레킹 후 정적회복방법과 동적회복방법에 따라 얻은 결과를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경우 contrast의 repeated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80bpm 조건에서의 심박수는 방법(p=.008)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혈중젖산농도는 회복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401),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 혈중글루코스는 회복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93), 정적회복방법의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2). 130bpm+30bpm 조건에서의 심박수는 방법(p=.002)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혈중젖산농도는 방법(p=.001)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혈중글루코스농도는 방법(p=.721)과 시기(p=090)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폐 미세플라스틱(PET)의 물벼룩 만성독성 연구 (Effect of Chronic Toxicity by Waste Microplastics (PET) on Daphnia magna)

  • 한보미;박건우;유승우;김창해;정진호;나주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4호
    • /
    • pp.281-289
    • /
    • 2021
  • 상업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컵은 환경으로 유입되어 파편화되어 미세플라스틱 (MP)이 될 수 있다. 또한 MP는 수생 생물에게 섭식 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부작용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회용 컵에서 유래된 MP 조각이 물벼룩에게 미치는 급성 및 만성 독성을 평가했다. MP 조각은 33.18 ±7.76 ㎛ 크기의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MP 조각으로 확인되었으며, 3종류의 첨가제 (1- Propanone. 1-phenyl-3-[2-(phenylmethoxy)phenyl]-, p-Xylene and ethylbenzene)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48시간 급성 독성은 최고 농도의 PET MP (200 mg L-1)에 노출된 물벼룩에서 20%의 유영저해 및 사망을 발견하였다. 21일 만성 독성은 5 mg L-1의 PET MP 조각에 노출된 D. magna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줄어든 생존율 (31%)과 번식 (52%)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PET MP는 태어난 개체의 발달 이상을 (3.5%) 대조군 (0.3%)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p < 0.05)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MP 조각의 섭취에 의한 장 막힘과 더 긴 체류 시간 때문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회용 컵 (PET 폴리머)이 작은 크기의 MP 조각으로 단편화되면 수생 생물에 심각한 생태학적 위험을 제기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MP 독성 및 첨가제에 대한 근본적인 독성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CRISPR/Cas9-mediated knockout of Rag-2 causes systemic lymphopenia with hypoplastic lymphoid organs in FVB mice

  • Kim, Joo-Il;Park, Jin-Sung;Kim, Hanna;Ryu, Soo-Kyung;Kwak, Jina;Kwon, Euna;Yun, Jun-Won;Nam, Ki-Taek;Lee, Han-Woong;Kang, Byeong-Cheol
    • Laboraroty Animal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166-175
    • /
    • 2018
  • Recombination activating gene-2 (RAG-2)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lymphocytes by mediating recombination of T cell receptors and immunoglobulins, and loss of RAG-2 causes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SCID) in humans. Rag-2 knockout mice created using homologous recombination in ES cells have served as a valuable immunodeficient platform, but concerns have persisted on the specificity of Rag-2-related phenotypes in these animals due to th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the genome engineering method used. To precisely investigate the function of Rag-2, we recently established a new Rag-2 knockout FVB mouse line ($Rag-2^{-/-}$) manifesting lymphopenia by employing a CRISPR/Cas9 system at Center for Mouse Models of Human Disease. In this study, we further characterized their phenotypes focusing on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lymphoid organs. $Rag-2^{-/-}$ mice showed no abnormality in development compared to their WT littermates for 26 weeks. At necropsy, gross examination revealed significantly smaller spleens and thymuses in $Rag-2^{-/-}$ mice, while histopathological investigation revealed hypoplastic white pulps with intact red pulps in the spleen, severe atrophy of the thymic cortex and disappearance of follicles in lymph nodes. However, no perceivable change was observed in the bone marrow. Moreover, our analyses showed a specific reduction of lymphocytes with a complete loss of mature T cells and B cells in the lymphoid organs, while natural killer cells and splenic megakaryocytes were increased in $Rag-2^{-/-}$ mic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ur $Rag-2^{-/-}$ mice show systemic lymphopenia with the relevant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e lymphoid organs, suggesting them as an improved Rag-2-related immunodeficient model.

시설물 유형에 따른 화재 발생의 공간 계량 분석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 of Fire Occurrence According to Type of Facilities)

  • 서민송;유환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29-141
    • /
    • 2019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는 도시에는 많은 인구와 시설물들이 증가하고 집중이 심화함에 따라 재해와 재난에 취약함을 나타낸다. 특히, 화재는 우리나라의 도시 내에서 교통사고와 더불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재해 중 하나로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 발생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진주시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화재데이터를 취득하였다. 먼저 공간 자기 상관성 분석을 시행하여 진주시 화재 발생의 공간 분포 패턴을 파악한 후, 상관관계 및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인문 사회 요인과 물리적 요인 간의 공간적 종속성 및 비정상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화재 발생 위치와 각 요인별 위치를 고려하여 공간 가중치를 활용한 OLS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진주시 화재 발생의 LISA분석 결과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용도지역은 중심상업지역, 공업지역, 주거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 사회적 변수 및 물리적 변수를 통합하여 다중회귀분석의 최종 모형으로 도출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공간가중치를 적용하여 OLS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이 화재 발생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단독주택, 판매시설, 제1종 근린생활시설, 가구수의 순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도시 지역의 시설물별 화재 발생 요인을 분석하고 화재 안전대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태평가와 내하성능평가를 통한 소규모 노후교량의 유지관리 적정성 분석 (Analysis of Appropriateness for Maintenance of Aged Small Bridges based on Condition and Load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 이후석;노화성;선종완;박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9-66
    • /
    • 2019
  • 현재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하면 소규모 교량은 육안점검 위주의 정기점검만 실시하고 있다. 특히 공용년수 30년 이상의 교량은 노후화에 따라 개축여부에 관한 의사결정이 필요하지만 외관상태만으로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안전적인 유지관리의 측면에서 미흡한 부분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교량 점검시 사각지대에 있는 일반국도의 공용년수 30년 이상의 소규모 노후교량 12개소에 대해서 육안점검을 통한 상태평가와 차량재하실험을 통한 내하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정기적인 내하성능평가를 수행하지 못하는 소규모 교량들에 대해서 육안점검을 통해 결정된 상태등급과 교량의 내하성능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개축 여부 의사결정과 관련된 유지관리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대상 교량 중 2개소가 상태평가 결과 안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하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육안점검만으로 소규모 노후교량에 대해 안전성을 판단하고 개축에 관한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것은 유지관리에 미흡한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는 나타낸다. 따라서 소규모 노후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상시 계측 및 내하성능평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교량관리시스템의 이용을 통해 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NASNet을 이용한 이미지 시맨틱 분할 성능 개선 (Improved Performance of Image Semantic Segmentation using NASNet)

  • 김형석;류기윤;김래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274-282
    • /
    • 2019
  • 최근 빅데이터 과학은 사회현상 모델링을 통한 예측은 물론 강화학습과 결합하여 산업분야 자동제어까지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가운데 이미지 영상 데이터 활용연구는 화학, 제조, 농업, 바이오산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신경망 기술을 활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시맨틱 분할 성능을 개선하고자, U-Net의 계산효율성을 개선한 DeepU-Net 신경망에 AutoML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구현한 NASNet을 결합하였다. BRATS2015 MRI 데이터을 활용해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학습을 수행한 결과 DeepU-Net은 U-Net 신경망 구조보다 계산속도 향상 뿐 아니라 예측 정확도도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미지 시맨틱 분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드롭아웃 층을 빼고, DeepU-Net에 강화학습을 통해 구한 커널과 필터 수를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로 선정했을 때 DeepU-Net보다 학습정확도는 0.5%, 검증정확도는 0.3% 시맨틱 분할 성능을 개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논문에서 시도한 자동화된 신경망을 활용해 MRI 뇌 영상진단은 물론,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이상진단, 비파괴 검사 진단, 화학물질 누출감시, CCTV를 통한 산불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미그달린 저감화 매실청의 독성동태학적 및 경구독성 연구 (Toxicokinetics and oral toxicity of Maesil-cheongs with reduced amygdalin levels)

  • 김현진;고미란;유진;황지수;최현우;김현석;최수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29-63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및 UVC 처리에 의해 매실청에 존재하는 아미그달린 저감화 공정을 개발하여 아미그달린 저감화 매실청에 대한 독성을 독성동태학적 및 14일 반복 경구투여에 의해 평가하였다. 독성동태학적 연구 결과, 플라즈마 및 UVC 처리에 의한 아미그달린 저감화 매실청 투여에 의해 아미그달린의 경구 흡수량이 약 3.7, 3.4배 감소하여 저감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미그달린 저감화 매실청의 14일 반복 경구독성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몸무게 변화, 식이 및 물 섭취량, 절대장기 및 상대 장기 무게, 혈액학적 및 혈청학적 분석, 조직 병리학적 분석에서 유의미한 독성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 플라즈마 및 UVC 처리에 의한 아미그달린 저감화 매실청의 독성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공정은 매실청뿐만 아니라 아미그달린 함유 다양한 제품의 저감화 공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alivary Flow According to Elderly's Whole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Application of Oral exercise and Salivary Gland Massage

  • Oh, Ji-Young;Noh, Eun-Mi;Park, Hye-Young;Lee, Min-Kyung;Kim, Hye-J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8-226
    • /
    • 2019
  • In old age, measures to cope with the natural phenomenon of aging and various diseases of the elderly due to the deterioration of physical function are also a challenge for this society. While interest in systematic health is increasing, it is true that awareness and interest in oral-related diseases is relatively lacking.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ata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by improving the oral dryness caused by systemic health. By research method, improve oral dryness caused by whole-body health with the elderly over 65 and promote their oral health, inducing the increase of the salivary flow rate through oral health care education, oral exercise, and salivary gland massage. First, on the DMSQ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recognition of the whole body and oral health statu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Second, on changes in the salivary flow rate and saliva pH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recognition of oral and whole-body health status, and whole-body health, paired samples t-test was conducted. Studies have shown that salivary gland flow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oral exercise and salivary gland massage, the salivary flow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variables of the recognition of the oral health status, the salivary flow rate increased after oral exercise and salivary gland massage, and in the whole-body health, regardless of hypertension, diabetes, cardiovascular disorders, and osteoporosis, the salivary flow rate increased after oral exercise and salivary gland massage, and the salivary flow rate increased after oral exercise and salivary gland massage i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have thyroid abnormality, anemia, abnormalities of breathing, hypotension, gastrointestinal disturbance, or kidney diseases. A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is study, many felt oral dryness when they had a problem with the whole-body health, and many felt oral dryness when they had a problem with oral health cognition. After applying oral exercise and salivary gland massage as intervention methods in the oral health care for the elderly, the salivary flow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it is judged that the methods were very effective for controlling oral dryness. Furthermore, it is judg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whole-body health, and oral dryness would be identified, which would be helpful for the promotion of whole-body health and oral health. It is judged that continuous research would be needed so that measur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oral care program and system for the elderly would be prepared in the future.

수입식품 빅데이터를 이용한 부적합식품 탐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 (Study on Anomaly Detection Method of Improper Foods using Import Food Big data)

  • 조상구;최경현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33
    • /
    • 2018
  • FTA체결의 증가, 식품교역 증가 및 소비자의 다양한 식품 선호도 등으로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의 수입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정밀검사는 전체 수입식품건수 대비 20%정도를 차지하고 계속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정부의 수입안전관리에 필요한 예산과 인력은 그 한계점에 다다르고 있다. 수입식품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수입식품의 수입허용여부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선제 대응하는 것은 수입안전관리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식품분야에서는 이미 엄청난 양의 정형 데이터가 과거로부터 쌓여 왔으며 이에 대한 충분한 분석을 통한 활용은 아직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전체 수입건수와 중량 중에서 차지하는 가공식품의 비중은 평균 75%에 달하고 있어 식품분야에서도 빅데이터의 분석, 분석기법의 적용 등으로 다량의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과학적이고 자동화된 부적합탐지시스템의 연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기계학습분야의 다양한 부적합 예측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예측 모형의 정확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새로운 파생변수의 생성을 통한 데이터 전처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분야의 일반적인 기저 분류기를 적용하여 예측 모형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여러 기저분류기 중 Gaussian Naïve Bayes예측 모형이 수입식품의 부적합을 탐지하여 예측하는 가장 좋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향후 Gaussian Naïve Bayes 예측 모형을 이용한 부적합 탐지 모형을 적용하여 수입식품의 정밀검사 비중을 낮추고 부적합률을 제고시킴으로써 수입안전관리 국가사무의 효율성과 수입통관의 신속성에 지대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지역사회 일반 및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기능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 (Functional Health Status and Medical Service Utilization Pattern of General and Vulnerable Older People in Community)

  • 오두남;정효선;황정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04-414
    • /
    • 2021
  • 최근 고령 사회에서는 지역사회중심의료로의 전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일반 노인과 취약계층 노인 각각에 대해 기능중심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 및 요구 인식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6년 11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 일개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노인의 건강기능 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를 파악하였다. 취약계층 노인은 일반 노인보다 인지기능, 영양, 통증, 낙상 등에서 기능적 건강상태 저하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기능, 영양과 같은 기능적 건강문제를 경험한 일반 노인은 취약계층보다 유의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취약계층 노인은 통증 건강문제 영역에 있어서는 일반 노인보다 의료서비스 이용의 필요성을 더 유의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공공 서비스 확대의 방향과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 일반 노인과 취약계층 노인 간에는 차별화된 정책이 설정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취약계층의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해서는 경제적 장벽으로 인해 필요한 의료이용의 장애가 초래되지 않도록 공공의료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