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nMgS:Mn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31초

알콜섭취가 성장기닭의 장기중 무기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Intake on the Concentration of Minerals in Broiler Chicks)

  • 오형근;고진복;김재영;고영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7-84
    • /
    • 1988
  • 알콜섭취에 의한 닭의 장기중 무기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숫병아리를 사용하여 대조군, 음수에 1, 2 및 3% 알콜첨가군 등 4군으로 나누어 7주간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을 해당식이로 7주간 사육후 각 장기중 무기질농도를 측정한 결과 체중은 1% 알콜군이 가장 증가되었으며, 간중량은 3% 알콜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대퇴골중 Zn 및 Fe 농도는 1% 알콜군이, Mn 농도는 2 및 3% 알콜군이 증가되었으나 그의 무기질농도는 각 실험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대퇴골의 중량, 길이 및 회분함량은 알콜섭취에 따라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대퇴근육중 Mg 농도는 각 농도별 알콜섭취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으나 Na농도는 오히려 감소되었다. 총 간중 Ca, P, Na 및 Fe의 농도는 알콜섭취에 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Mg, K, Mn 및 Zn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알콜섭취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혈청중 Ca, Mg, 및 Na 농도는 3% 알콜섭취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그의 무기질 농도는 각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국내에서 시판 중인 몇몇 채소류의 중금속에 관한 조사 연구 (Studies on the Heavy Metal Content in Some Vegetables Sales on Market in Korea)

  • 유춘철;김덕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4-264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Hg, Cd, Pb, As, Zn, Cu, Cr, Mn' in some vegetables which were produced in Korea. The levels of heavy metals were determined using a mercury analyzer, an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and an AAS(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fter wet digestion. The values of heavy metals "mean(mini.~maxi.)" ppm(mg/kg) in some vegetables(raw of perilla leaf, chard, small water dropwort, water dropwort, kale, bud of aralia, pumpkin(round type) and pumpkin(long type) were as follows : Hg : 0.0021(0.0006~0.0054)mg/kg, Cd : 0.0035(ND*~0.0377)mg/kg, Pb : 0.0191(0.0023~0.0928)mg/kg, As : 0.0757(ND~0.5294)mg/kg, Zn : 2.6299(0.4478~6.8567)mg/kg, Cu : 1.0261(0.2046~8.9417)mg/kg, Cr : 0.1535 (0.0240~0.4982)mg/kg, Mn : 3.2476(0.3283~9.8280)mg/kg. This results showed that Mn was generally simillar to previous reports and Cd, Hg, Pb were lower than other reseaches, but As was little higher or Zn, Cu, Cr were higher than the levels of those reported contents in some vegetables on domestic supermarkets in Korea, Although tolerable limit of Hg and Cd is not in a regulation of WHO/FAO, these mean levels(Pb, As, Zn, Cu) are lower than recommended levels of WHO/FAO, Pb "0.1~2.0" mg/kg, As "1.0" mg/kg, Zn "5.0" mg/kg and Cu "0.1~50"mg/kg from vegetables in 'the tolerable contents of food' by the FAO/WHO, therefor some vegetables has set to evaluate their safeties.

Luminescence of orange-emitting ZnS:Mn,Cu,Cl for EL device

  • Lee, Hak-Soo;Han, Sang-Do;Gwak, Ji-Hye;Han, Chi-Hwan;Kim, Jung-Duk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093-1095
    • /
    • 2006
  • An orange-emitting phosphor for in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s been studied. Cu and Cl were co-doped in Mn-doped ZnS for a high-performing phosphor. The effect of $Mn^{2+}-doping$ concentration as well as $Mg^{2+}-sensitizer$ addition on the luminescence characteristics has been investigated.

  • PDF

Serratia marcescens Protease의 효소학적 특성 (Enzymatic Properties of Serratia marcescens Pretense)

  • 최병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2-157
    • /
    • 2003
  • Serratia marcescen ATCC 25419 protease를 ammonium sulfate treatment, DEAE-cellulos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등의 방법으로 정제하였는데 최종 단계에서 667.5 unit/mg 이었으며 회수율은 43%이었고 448배 정제되었다. 정제한 S. marcescens protease로부터 아포효소를 만든 후 금속 재활성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S. marcescens protease는 EDTA에 의해 완전히 활성을 잃는 metalloenzyme이며 Hg, Fe, Cu 등에 의해서 효소 활성을 70% 이상 잃은 반면, Co는 효소 활성을 약 20% 정도 증가시켰다. 아포효소의 재활성화는 pH 6~8에서 Mn, Co, Zn 등이 효과적이었다. Mn, Co, Zn등을 아포효소에 가하여 만든 효소들 중에서 Zn-효소는 효소 활성도, 알칼리-불활성화, 열-안정성 면에서 원래 protease와 유사하였다.

속 이온과 CFP 상호작용: 흡수 형광 분광법에 의한 금속 이온과 CFP의 착물 형성 (Interaction of CFP with Metal ions: Complex Formation of CFP with Metal ion by Absorption and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y)

  • Siddiqi, K.S.;Mohd, Ayaz;Khan, Aftab Aslam Parwaz;Bano, Shaista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2-158
    • /
    • 2009
  • 산성 용액에서 $Ca^{2+},\;Mg^{2+},\;Mn^{2+},\;Fe^{3+},\;Co^{2+},\;Ni^{2+},\;Cu^{2+}$$Zn^{2+}$와 Cefpodoxime proxetil (CFP)의 상 호작용을 분광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1:1 착물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순수한 약품의 흡수스펙트럼은 270과 345 nm에서 두 개의 현저한 봉오리를 보였다. 여러 pH에서 스펙트럼은 두 개의 isosbestic 점(305 과 330 nm)을 나타내었다. 이는 용액상에서 약품의 쯔비터 이온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다른 농도의 금 속이온에서 CFP의 형광방출 스펙트럼은 chelating enhancement fluorescence(CHEF)효과에 의해 형광강 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착체의 화학량론은 Job’'s 와 Benesi-Hildebrand 방법에 의해 결정되었다. 착 체의 안정도는 다음 순서와 같다. $Ca^{2+}\;<\;Mg^{2+}\;<\;Co^{2+}\;<\;Ni^{2+}\;<\;Zn^{2+}\;<\;Mn^{2+}\;<\;Cu^{2+}\;<\;Fe^{3+}$.

삼보광산 하류 수계의 계절별 수질변화와 오염도 평가 (Monitoring of Seasonal Water Quality Variations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e Sambo Mine Creek, Korea)

  • 정구복;이종식;김원일;류종수;윤순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8-336
    • /
    • 2008
  • 폐금속 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로 인한 수계의 수질오염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삼보광산 광미댐 침출수 및 하류 하천수의 화학성분 및 미량금속을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보광산 주변 광미댐 침출수의 pH 값은 $5.8{\sim}6.9$ 사이로 중성에 가까운 약산성이였다. 주 광미댐 침출수의 주요 용존 화학성분 평균치는 EC 1.77 dS/m, $SO_4^{2-}$ 929, $K^+$ 14.6, $Ca^{2+}$ 263.3, $Mg^{2+}$ 46.9 mg/L 이였다. 특히 화학성분 중 EC 값과 $SO_4^{2-}$ 농도는 벼의 농업용수 피해한계 농도 (EC 1.0 dS/m, $SO_4^{2-}$ 54.0 mg/L)를 상회하였다. 광산 침출수의 Cd 평균 농도($0.016{\sim}0.021\;mg/L$)는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0.01 mg/L을 초과하였고, Cd 최고치는 수질기준의 4배정도 높았다. 또한 미량금속 중 Zn, Fe 및 Mn 농도는 FAO의 관개용수 최대 권고치(Cd 0.01, Zn 2.0, Fe 5.0, Mn 0.2 mg/L)를 초과하였고, 특히 Zn 및 Mn 평균 농도는 권고치의 $8{\sim}26$배, $45{\sim}313$배 이상 높았다. 본 조사결과에서 광산배수에 의한 수계의 수질오염은 하류 1 km 이상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산배수와 하천수의 수질항목 중 pH 값은 용존 Cd, Zn, Al 및 Mn 농도와 부의 상관을, 주 오염성분인 EC 값, $SO_4^{2-}$$Ca^{2+}$ 농도는 각각의 Cd, Zn, Al 및 Mn 농도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주요 화학성분 중에서는 pH 값이 EC 값 및 $SO_4^{2-}$ 농도와 부의 상관을 보였다.

3가철 함유 흡착제를 이용한 수용액상의 중금속 및 페놀제거연구 (Removal of Heavy Metal and Phenol from Aqueous Solution Using Fe(III) loaded Adsorbent)

  • 김석준;김원기;이승목;양재규;이남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541-54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매립장 침출수 같은 중금속과 유기물을 함께 함유하고 있는 폐수를 처리하기위하여, Fe(III)을 활성탄, 모래, 불가사리와 같은 담체에 첨착 및 코팅시킨 흡착제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Iron Impregnated Activated Carbon(Fe-AC), Iron Coated Sand(ICS), Iron Coated Starfish(ICSF)는 EPA 3050B 방법을 통하여 각 매질에 함유된 철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회분식 반응조에서의 흡착실험을 통하여 각 흡착제의 Mn(II), Zn(II) 및 Cu(II)의 제거성능을 비교하였다. Fe-AC 및 ICS의 철 함유량은 각각 1,612 mg/kg 및 1,609 mg/kg으로서 매우 유사하였으며 ICSF의 철 함유량은 1,768 mg/kg으로 ICSF의 철 코팅함량이 다른 두 가지에 비해 150 mg/kg 정도 높게 나타났다. 회분식 실험에서의 Mn(II), Zn(II), Cu(II)의 제거효율은 ICSF, Fe-AC, ICS의 순으로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각 흡착제를 단일 및 다중층으로 충전한 칼럼반응기에 의한 연속식 실험결과, 단일 흡착제에 비해 ICS, Fe-AC, ICSF의 순으로 충전한 시스템에서 높은 중금속 및 페놀제거효율을 나타내었으며, Cu(II)와 Zn(II)에 대해서는 뚜렷한 파과능을 보였으나 Mn(II) 제거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각 흡착제를 병합 충전한 다중층 칼럼반응시스템은 중금속 및 phenol제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서해 중부연안 갯벌에서의 저질 및 패류(Solen strictus Gould)중 중금속 분포특성

  • 황갑수;김강주;여성구;김진삼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2년도 춘계 국제 학술대회
    • /
    • pp.20-22
    • /
    • 2002
  • Heavy metal level and distribution in sediments and bivalves from the tidal flats along the mid-western coast, Korea,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ediments from 5 sampling sites ranged from 86.35-187.77mg/kg for Mn, 13.25-17.73mg/kg for Zn, 6.80-11.85mg/kg for Cr, 4.28-6.25mg/kg for Ni, 1.85-3.09mg/kg for Cu, 0.004-0.020mg/kg for Cd and 5.70-10.41mg/kg for Pb, respectively. Among the mussels of the limited body size(8.5-11cm), heavy metal concentration both in the flesh and in the whole soft parts were not strongly related to the body size. It was shown that, in S. strictus, Cu moves fast into the flesh after absorption, but Pb and Fe move very slowly. Overally,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he flesh tends to increase with that in the whole soft parts. The concentration factors(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 strictus/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ediment) showed that, of the examined metals, Cd is the most cumulative in the body of S. strictus, followed by Zn and Cu, while Mn, Cr, Ni and Pb are not cumulative.

  • PDF

서해 중부연안 갯벌에서의 저질 및 패류 (Solen Strictus Gould) 중 중금속 분포특성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and Bivalves(Solen Strictus Gould) from Tidal Flats along the Mid-Western Coast, Korea)

  • 황갑수;신형선;김강주;여성구;김진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34
    • /
    • 2001
  • Heavy metal level and distribution in sediment and bivalves from the tidal flats along the mid-western coast, Korea.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verage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ediments from 5 sampling sites ranged from 86.35-187.77mg/kg for Mn. 13.25-17.73mg/kg for Zn.6.80-11.85mg/kg for Cr,4.28-6.25mg/kg for Ni, 1.85-3.09mg/kg for Cu, 0.004-0.02()mg/kg for Cd and 5.70-10.41 mg/kg for Pb,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mussels, the levels of Mn and Fe concentrations in S. strictus collected from S1 antral S2 sites were particularly high. Deviation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am(Ing the individual mussels from the same site could be largely minimized by selecting mussel samples of the limited range in body size(8.5-11cm). Among the mussels of the limited body size, heavy metal concentrations both in the flesh and in the whole soft part were not strongly related to the body size. It was shown that ,in S. strictus, Cu moves fast into the flesh parts after absorption, while Pb and Fe move fast into the non-flesh parts. Overally.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he tends to increase with that in the whole soft parts. The concentration factors(heavy metal concentration in 5. strictus/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ediment) showed that, of the examined meta1s. Cd is the most cumulative in the body of S. strictus followed by Zn and Cu, while Mn, Cr. Ni and Pb are not cumulative.

  • PDF

삼보광산 수계 하천수질 및 퇴적토의 오염도 평가 (Contaminatio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and Stream Sediments Affected by Mine Drainage in the Sambo Mine Creek)

  • 정구복;권순익;홍성창;김민경;채미진;김원일;이종식;강기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2-128
    • /
    • 2012
  • 폐금속 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로 인한 하류 수계의 환경오염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삼보광산 하류 수계 내 하천수질, 퇴적토양 및 인근 논토양에 대한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보광산 주변 광미댐 침출수의 Cd 평균 농도(0.018~0.035 mg/L)는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질기준(0.01 mg/L)을 초과하였고, 미량성분 중 Zn, Fe 및 Mn 함량도 FAO의 관개용수 최대 권고치(Zn 2.0, Fe 5.0, Mn 0.2 mg/L)를 초과 하였다. 광산 하류 논토양의 Pb, Zn 평균함량은 우리나라 농경지의 토양오염 우려기준(Pb 200, Zn 300 mg/kg)을 초과 하였고, 중금속 오염지수 평균치는 상리가 1.2로 내리지역0.45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산 하류 수계 내 퇴적토의 Cd, Pb 및 Zn 함량은 우리나라 하천용지의 토양오염 우려기준(Cd 10, Pb 400, Zn 600 mg/kg)을 초과하였다. 또한 퇴적토의 중금속 오염지수(PI)는 상리지역 0.98~7.32, 내리지역 0.34~5.27로 지점별 편차가 컸으며, 하류 1km 지점 합류지점(SN-1, SN-2)까지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토의 부화계수(EFc) 평균치는 Cd>Pb>Zn>As>Cu>Cr>Ni 순으로 지점간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토의 중금속별 지화학적농축계수(Igeo)는 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Zn>Cd>Pb>Cu>As>Cr>Ni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Zn의 경우 광산 침출수 영향을 받은 퇴적토에서 경보오염에서 위험오염(Igeo 3.1~6.2) 상태로 심하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삼보광산 하류 하천수질 및 퇴적토의 오염도 평가를 종합해 볼 때 광산 침출수의 영향이 하류 수계 1 km 이상(SN-1, SN-2)까지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