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elkova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3초

느티잎의 생리활성 및 느티잎 첨가량에 따른 느티떡의 품질특성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Zelkova leave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Zelkova leaf rice cake according to leaf levels)

  • 손정인;김나영;한명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94호
    • /
    • pp.468-476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Zelkova leaf extract and the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Zelkova leaf rice cake. The ethyl acetate layer of Zelkova leaf extract showed the most effective DPPH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ies. The residual layer of Zelkova leaf extract exhibited potent cytotoxicity against the HeLa cell lin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lor and taste of Zelkova leaf rice c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Zelkova leaf rice cakes with 20%(5.18), 25%(4.94) and 30%(4.88) added Zelkova leaves showe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0%(4.06) added Zelkova leaves. In the textural analysis, the hardness of the Zelkova leaf rice cake increased slowly with increasing leaf content during 3 day storage. The cohesiveness of 25% and 30% Zelkova leaf rice cakes showed no variation with storage time but that of 0% Zelkova leaf rice cake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The 'L' value of Zelkova leaf rice cake decreased with increasing leaf content while the 'a' value of 0% Zelkova leaf rice cake was lower than that of 20%, 25% and 30% Zelkova leaf rice cakes.

A Comparison Study on the Survival Characteristics of Big Old Sophora japonica and Zelkova serrata Called 'Goe'

  • Rho, Jae-Hyun;Han, Sang Yup;Kim, Sang Beom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5-123
    • /
    • 2020
  • With the aim of accumulating data that can be used to infer the basis for the acculturation of trees called 'Go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urvival status of the pagoda and zelkova trees known as 'Goe' tre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pagoda trees (Sophora japonica) and zelkova tree (Zelkova serrata) designated as a protected tree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Zelkova serrata designated as a protected tree grows the most, with 2,147 trees (29.4%) in Cheonnam, followed by Chungnam (16.5%) and Gyeongbuk (14.4%). However, Sophora japonica showed a different result from zelkova Serrata as the total number of 210 Sophora japonica (55.7%) in Gyeongbuk and Daegu is much larger than that of zelkova Serrata. As a result, in the Yeongnam region, where the Confucianism of Yeongnam was actively practiced, the existence of Sophora japonica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Zelkova Serrata, which is not a coincidence,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it only based on their flora and planting distribution. Results of comparing protected trees of Sophora japonica and Zelkova Serrata showed that the average age of Zelkova Serrata wass 289 years, while that of Sophora japonica was 302 years, and that the average height of Zelkova Serrata wass 18 m, which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16 m of Sophora japonica. The average diameter at breast height of Zelkova Serrata was 398 cm and that of Sophora japonica was 314 cm, which indicates that Zelkova Serrata is relatively big.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Zelkova Serrata has a larger growth potential than Sophora japonica, and the possibility of growth as a big tree is also high, but it seems that the explanation that "they are relatively long-lived" is not clearly determined.

암모늄염으로 처리된 느티나무의 난연성 시험 (Flame Retardancy of Zelkova Sarrata Treated with Ammonium Salts)

  • 정영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9-406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flame retardancy of zelkova sarrata-based materials by the treatment of ammonium salts. Zelkova sarrata plate was soaked by the treatment with three 20 wt% ammonium salt solutions consisting ammonium chloride (AMSL), monoammonium phosphate (MAPP), and diammonium phosphate (DAPP), respectively, at the room temperature. After the drying specimen treated with chemicals, combustion properties were examined by the cone calorimeter (ISO 5660-1). When the ammonium salts were used as the retardant for zelkova sarrata, the flame retardancy improved due to the treated ammonium salts in the virgin zelkova sarrata. However the specimen shows increasing CO over virgin zelkova sarrata and It is supposed that toxicities depend on extents. Also, the specimen with ammonium salts showed the higher total smoke release (TSR) than that of virgin plate. Of specimens treated with ammonium salts the ammonium chloride handled the test side was considered a improved inhibitory effect of combustion.

리기다 소나무, 밤나무, 느티나무의 연소성질 비교 (Comparison of Combustion Properties of the Pinus rigida, Castanea sativa, and Zelkova serrata)

  • 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73-78
    • /
    • 2009
  • 본 연구는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하여 한국 리기다 소나무, 밤나무, 느티나무의 연소성질을 조사하였다. 이들 종에 대한 열방출율과 연기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숯생성으로 인한 연소성 억제 증대에 대하여, 느티나무는 리기다 소나무, 밤나무에 비하여 좋은 성질을 보였다. 밤나무는 리기다 소나무, 느티나무에 비하여 높은 CO수율과 높은 $CO/CO_2$ 수율을 나타내었다.

The First Case of Successful Bark Implantation of a 250-year-old Zelkova Tree Heavily Damaged by Artificial Girdling

  • Ryu, Seong Ho;Kim, Gyoung Hee;Koh, Young Jin
    • 식물병연구
    • /
    • 제24권3호
    • /
    • pp.237-241
    • /
    • 2018
  • A circular bark with a 30 cm width was artificially removed from the trunk of a 250-year-old zelkova tree (Zelkova serrata) heavily damaged by artificial girdling in Sunchang, Jeonbuk Province in March of 2005. The debarked area was cleaned approximately 10 days after artificial girdling and bark margins with 2 cm width above and below the girdled portion were cut off to promote wound callus formation. Nine pieces of fresh bark (width 8 cm, length 35 cm, thickness 0.5 cm) were then prepared from branches of neighbor zelkova trees broken by heavy snowfalls and pasted onto the girdled portion of the tree, after which a Vaseline dressing was applied to water-proof the area and rubber bars were used to hold the implants to the trunk. Two pieces of the implanted fresh barks were successfully grafted onto the girdled area and the damaged tree has been vigorously growing over 13 year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successful bark implantation to cure a 250-year-old zelkova tree heavily damaged by artificial girdling. This bark implantation technique will be utilized for the conversation and management of heavily damaged big and old trees in the future.

자연 건조된 굴참나무와 느티나무 목재의 연소성(II) (Combustion Properties of the Quercus variabilis and Zelkova serrata Dried at Room Temperature (II))

  • 정영진;진의
    • 공업화학
    • /
    • 제21권4호
    • /
    • pp.469-474
    • /
    • 2010
  • 목재는 연소성이 높은 본질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 건조된 굴참나무와 느티나무의 연소성질을 시험하였다. 열방출율과 CO/$CO_2$ 발생과 연기차폐와 같은 연기지수를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0kW/m^2$의 외부 열유속하에서 굴참나무의 총 방출열량, THR ($140.2MJ/m^2$)은 느티나무의 THR ($85.7MJ/m^2$) 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굴참나무의 총 연기발생량, $TSP3.50m^2$는 느티나무의 $TSP0.65m^2$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시험목의 체적밀도에 의존함을 보여준다. CO/$CO_2$ 발생비는 굴참나무와 느티나무가 각각 0.053, 0.043을 나타내었다. 또한 느티나무가 굴참나무에 비해 숯생성으로 인한 증대된 연소 억제성을 보여주었다.

포항 칠인정원림(七印亭園林)의 조영특성과 '괴목(槐木)' 식재(植栽)의 문화변용(文化變容)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Acculturation of Planting of 'Guǐ(槐)' in Chirinjeong Wonlim of Pohang)

  • 노재현;한상엽;김정문;정푸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31
    • /
    • 2017
  • 포항 칠인정원림의 건립취지, 조형의도 그리고 변천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조 누정 조영의 시대적 감각과 조영의장을 조명하고, 원림내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식재의 문화변용 현상을 살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주의 괴목(槐木) 식재로 인해 쌍괴정(雙槐亭)이라는 또 다른 이름을 얻은 칠인정(七印亭)은 고려말 관료 출신의 장표(張彪)가 태종9년(1409) 초곡리 사일마을에 건립한 은거형 정자이며, 칠인정원림은 쌍계구곡(雙溪九曲)의 제3곡인 초곡(草谷)의 핵심이기도 하다. 칠인정원림은 사일마을 비보숲 초입의 진입부(進入部)와 칠인정 및 느티나무와 회화나무로 이루어진 정자부(亭子部) 그리고 방지방도(方池方島)의 지당과 배롱나무로 이루어진 지당부(池塘部)로 구분된다. 칠인정 기문 내용이나 아들과 사위 7인의 인수(印綬)를 쌍괴수(雙槐樹)에 내건 것에서 기인된 당호(堂號)로 볼 때, 초건 시 식재한 괴목과 그 이후 보식(補植)한 수종 또한 삼공(三公)의 지위와 학자수(學者樹)를 상징하는 회화나무(홰)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뿐만 아니라 영조21년(1745) 보식한 수종이 현재 칠인정에 존치하는 느티나무(괴)라고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칠인정 담장 밖의 회화나무가 당시 식재한 그 수목임을 배제할 수 없다. 요컨대 느티나무와 함께 칠인정원림에 심겨진 3주의 회화나무는 인동장씨 후손들이 회화나무(홰)와 느티나무(괴)의 차이점을 인식하였음을 알리는 최소한의 징표가 아닐 수 없다. 회화나무가 국내에 들어오면서 한편으로 회화나무로, 다른 한편으로 느티나무로 인식되었고 점차 구입용이성, 성장속도, 장수목으로의 성장가능성에서 회화나무와 비교우위에 있는 느티나무를 회화나무 대용(代用)으로 혼용한 자발적 문화변용 현상을 칠인정원림의 괴목 식재사례를 통해 목도(目睹)하게 된다.

느티나무에서 단리한 카달렌 화합물에 관한 연구 I -7-hydroxy-3-methoxycadalene 단리 및 목부 내 분포 - (Study on Cadalene Compounds Purified from Zelkova serrata Wood I - Purification of 7-hydroxy-3-methoxycadalene and Its Distribution in Xylem -)

  • 최준원;문성희;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130-1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느티나무의 에탄올 추출액에서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15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나프탈렌 구조의 세스퀴테르펜인 카달렌 화화물을 단리하였다. 단리한 카달렌 화합물은 HPLC, EI-MS와 $^1H$, $^{13}C-NMR$로 화학 구조를 규명하였다. 느티나무에서 단리한 카달렌 화합물의 분자량은 244 (m/z)으로 측정되었으며, 나프탈렌 구조의 1번 위치에 메틸기($CH_3$), 4번 위치에 isopropyl기가 부착되어 있으며, 7번 위치에 수산기(OH)와 3번 위치에 메톡실기($OCH_3$)가 치환된 7-hydroxy-3-methoxycadalene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수율은 기건상태 느티나무 중량의 약 0.03% 정도로 나타났다. 카달렌은 느티나무의 잎과 수피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목부 부위를 연륜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7-hydroxy-3-methoxycadalene은 변재부위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고 심재부에서만 발견되었다.

느티나무 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산화적 DNA 손상 억제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of leaf from Zelkova serrata with ethyl acetate fractions and hot water extracts)

  • 장태원;박재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3호
    • /
    • pp.255-260
    • /
    • 2016
  • 활성산소종은 DNA의 손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활성산소를 제어하고 조절하기 위해 천연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느티나무(Zelkova serrate)는 느릅나무과의 식물로 한국 마을 입구에 흔히 심어져 친숙한 식물이다. 하지만 느티나무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DNA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느티나무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DNA 손상에 대한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열수 추출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Fe^{2+}$ 킬레이팅 활성 그리고 reducing power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페놀류 화합물 함량은 각각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56.63 mg/g 그리고 열수 추출물은 51.61 mg/g으로 분석됐다. ${\phi}X$-174 RF I plasmid DNA를 이용한 산화적 DNA 손상억제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열수 추출물 모두 상당한 방어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느티나무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열수 추출물은 뛰어난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DNA 손상 억제 효과를 통한 천연 자원으로서의 잠재성을 보였다.

영광 불갑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Species Analysis of Wooden Elements Used in the Bulgapsa Temple of YeongGwang)

  • 박원규;남태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11-21
    • /
    • 2005
  • 영광 불갑사의 대웅전에 쓰인 목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보, 평방, 창방, 도리, 사래, 추녀, 서까래 등 총 88점을 조사하였다. 수종은 경송류(소나무류), 전나무속, 참나무(상수리나무류), 느티나무 등 4수종이 식별되었다. 기둥과 사래는 느티나무의 비율이 높았으나, 다른 부재는 경송류가 대부분이었다. 기둥과 사래의 느티나무의 비율이 높은 것은 조선후기 이전에는 소나무보다 재질이 우수한 느티나무가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