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 marina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2초

남해 서부연안의 사구미 만에서 거머리말(Zostera marina)과 애기거머리말(Z. japonica)의 개체생태학 (The autecology of Zostera marina and Z. japonica at Sagumi Bay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옥재승;이상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563-1572
    • /
    • 2014
  • The autecology of the Zostera marina and Z. japonica was studied in populations growing in the same locality (Sagumi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Environmental factors and plant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monthly from August 2008 to September 2011. Along intertidal zone, Z. japonica (0.1-0.5 m above mean lower low water, MLLW) occurred above Z. marina (0.5-2.5 m MLLW). Tidal exposure at low tide during day was the highest in the spring and the lowest in the summer. Underwater Irradiance showed seasonal fluctuation that was the highest in spring and summer caused by tidal pattern. Strong seasonal patterns in water temperature appeared to control the seasonal variations in morphology, biomass and leaf growth. The seasonal pattern of Z. japonica resembled that of the Z. marina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bove-and below-ground biomass, whereas it differed in shoot density and leaf elongation. Despite some similarities in seasonal growth patterns, the patterns of Z. japonica were lagged by 2 month of Z. marina. Seasonal variation in the above biomass of Z. marina was caused by changes in density and plant size, whereas that of Z. japonica was mainly caused by changes in shoot density. Zostera marina was more sensitive to high temperatures than Z. japonica, and the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during the summer became the factor that inhibits the growth of the Z. marina. Zostera Japonica, there is no clear 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light. It is because its habitat locates above that of Zostera marina so that the amount of the light that is necessary to growth is enough and in this condition, any preventing factor does not seem to work at all. Although underwater light getting into Zostera marina's habitat is very low level and there is no any hindrance to the survival of them, it prevents them from their productivity a bit.

잘피의 광합성에 대한 중금속 및 TBT의 독성 영향과 중금속 흡수에 대한 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Toxicity and Transfer of Heavy Metals and Tributyltin to Seagrass Zostera marina)

  • 최태섭;김광용;이병권;이정석
    • ALGAE
    • /
    • 제20권2호
    • /
    • pp.157-166
    • /
    • 2005
  • Uptake kinetics of Cd and Zn by leaves and rhizome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were examined in controlled laboratory radiotracer experiments. Subsequently, acute toxicity of Cd, Cu and TBT on photosynthetic quantum yield (ΔF/Fm’ of Z. marina were determined, and the differential sensitivities of rapid light curve (RLC) to those harmful substances were also compared. All measurements on photosynthetic activity were determined by chlorophyll a fluorescence method using 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Metal uptake by Z. marina was saturated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in leaves and rhizomes. Uptake of Zn by Z. marina was faster than that of Cd. Metal uptake rates in Z. marina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issolved metal concentrations and also with the increase of biomass. The adverse effect of TBT on effective quantum yield was stronger than other pollutants. Average acute toxicity on the RLC of the seagrass exposed to TBT and two heavy metals (Cd and Cu) was going to decrease as follows: TBT > Cd > Cu. Our preliminary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Z. marina potentially can be used as a biomonitor of harmful substances contamination in coastal waters.

잘피(Zostera marina)서식지 복원을 위한 최적 이식방법 및 시기 선정에 관한 연구 (Selection of the Optimal Transplanting Method and Time for Restoration of Zostera marina Habitats)

  • 박정임;김영균;박상률;김종협;김영상;김정배;이필용;강창근;이근섭
    • ALGAE
    • /
    • 제20권4호
    • /
    • pp.379-388
    • /
    • 2005
  • Seagrass bed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coastal and estuarine ecosystems, providing food and shelter to a wide variety of fauna. Recently, seagrass coverage has declined significantly due to anthropogenic influences such as reclamation, dredging, and eutrophication and consequently, necessity of seagrass habitat restoration is rising. Transplantation experiments with Zostera marina using TERFS, staple method, and shell method have been conducted at Dadae Bay, Kosung Bay and Jindong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to select an optimal transplanting method for restoration of Z. marina habitat. Three experimental sites located at the vicinity of natural Z. marina beds with an average water depth of about 4m. Z. marina plants, which were collected from donor bed in Koje Bay were also transplanted at 7 different time from October 2003 to July 2004 to find appropriate transplanting time. Density of Z. marina was monitored monthly at both transplanted areas and natural beds. Transplantation using the staple method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e of transplant. Shell method was also an effective transplanting method at muddy areas in Kosung Bay and Jindong Bay, but not suitable at sandy areas in Dadae B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diment composition of transplanting area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transplanting method. Z. marina transplanted during fall usually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e, while most Z. marina plants transplanted in summer died due to high lethal temperature during this period.

Adaptation success of Zostera marina to a new transplant environment

  • Li, Wen-Tao;Lee, Kun-Seop
    • ALGAE
    • /
    • 제25권1호
    • /
    • pp.27-35
    • /
    • 2010
  • Marked declines in seagrass meadows are increasingly being reported from coasts around Korea and many regions of the world. The transplantation of seagrasses has been attempted to mitigate and control their degradation from a range of anthropogenic factors. In this study, Zostera marina shoots, which were collected from a donor bed in Koje Bay, were transplanted in Jindong Bay in December 2004. In 2008,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shoot morphology, growth, and reproduction strategy of Z. marina was carried out between the donor and transplant sites to assess their adaptation success. Shoot height, individual shoot weight, and leaf productivity at the transplant sit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at the donor site. However, below-/aboveground tissue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at the transplant site compared to the donor site. Z. marina survival was maintained through vegetative reproduction, while peak season for lateral shoot recruitment was late winter for both donor and transplant site populations. However, vegetative reproduction mainly occurred during late winter and spring at the transplant site, whereas lateral shoots were evident across all seasons except late spring in the donor site. More pronounced seasonal variations were found at the transplant site compared to the donor sit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Z. marina populations at the two sites possess distinct phenotypic variations induced by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Z. marina transplants have adapted well to the new transplant environment.

제주도와 추자도에 자생하는 잘피의 분포 현황 (Seagrass Distribution in Jeju and Chuja Islands)

  • 박정임;박재영;손민호
    • 환경생물
    • /
    • 제30권4호
    • /
    • pp.339-348
    • /
    • 2012
  • 제주도와 추자도에 자생하는 보호대상해양생물인 잘피 자생지의 서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2011년 7월 GPS를 활용하여 서식면적을 기록하였고, 직접적인 잠수 조사로 서식 현황을 확인하였다. 잘피가 자생하는 곳은 해수와 퇴적물 공극수의 영양염 분석과 함께 분포 면적, 종조성, 형태적 특성, 밀도와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추자도에는 3종의 거머리말속 잘피(거머리말, 수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가 출현한 것에 비하여 제주도에는 거머리말 한 종이 동북연안에서만 서식하고 있었다. 제주도의 거머리말 서식면적은 $238,572m^2$이고, 추자도의 잘피 서식면적은 $23,584m^2$로 수거머리말이 $21,216m^2$, 포기거머리말이 $1,870m^2$, 거머리말이 $498m^2$를 차지하고 있었다. 제주도와 추자도의 거머리말은 조간대부터 조하대 평균 수심 5m까지 출현하였다. 추자도의 포기거머리말과 수거머리말은 각각 조하대 평균 수심 3~4m와 4~6m에서 출현하였다.

Species Composition of the Epiphytic Diatoms on the Leaf Tissues of Three Zostera Species Distribute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Chung, Mi-Hee;Lee, Kun-Seop
    • ALGAE
    • /
    • 제23권1호
    • /
    • pp.75-81
    • /
    • 2008
  • The epiphytic diatom flora living on leaf tissues of Zostera marina, Z. japonica and Z. caespitosa at three study sites (Dadae, Gabae, and Jangmok) located in Geoje Island has been examined from July 2001 to March 2002 bimonthly. Total 81 species in 26 genera of diatoms have been observed on leaf tissues of the 3 Zostera species throughout the present study. Cocconeis spp. were predominant on Z. japonica, whereas Navicula spp. and Nitzschia spp. were predominant on Z. marina and Z. caespitosa.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e diatom assemblages varied according to the seagrass species. Species compositions of epiphytic diatoms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to morphology and lifespan of seagrasses.

환경요인에 따른 거머리말(Zostera marina)과 게바다말(Phyllospadix japonicus)의 발아율 (Germination Rate of Zostera marina and Phyllospadix japonicus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

  • 박정임;이근섭;손민호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280-285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잘피 2종인 거머리말과 게바다말의 빛, 염분과 수온 조건에 따른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빛의 유무는 거머리말의 발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게바다말은 유광조건에서 발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거머리말과 게바다말은 각각 0 psu와 15 psu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고, 두 종 모두 염분이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급격히 낮아졌다. 최적 수온조건은 거머리말과 게바다말이 각각 $5^{\circ}C$$15^{\circ}C$로 나타났으며, $25^{\circ}C$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거머리말과 게바다말의 최적 발아율의 차이는 두 종의 서식환경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연안에 분포하는 잘피 종자의 발아에 대한 자료가 전무하므로, 이 결과는 잘피서식지 보전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동해안에서 자생하는 거머리말속 (Zostera Zosteraceae) 식물의 분포와 생육지 환경 (Distribution of Zostera (Zosteraceae) ana Habita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이상용;권천중;최청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01-507
    • /
    • 2000
  • 한국산 거머리말속 중 동해 연안에 자생하는 식물의 분포와 생육지 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6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중부 동해안의 화진포에서부터 남부 동해안 대변까지 조사하였다. 동해 연안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속은 거머리말, 왕거머리말과 포기거머리말 3종이 조사되었다. 거머리말 생육지는 기수호, 항과만의 수심 $1.3{\~}5.6 m$의 sand와 muddy sand 퇴적 환경에서, 왕거머리말은 수심 $8.5{\~}15.0 m$의 개방된 연안의 sand 퇴적 환경에서 출현하였다. 포기거머리말은 덕산항과 대변항에서 그 생육지가 처음 보고되었으며, 거머리말보다 깊은 지역에서 함께 생육하였다. 거머리말속의 식물 형태는 영양지와 생식지로 구분되었으며, 거머리말 영양지의 길이는 일산의 66.8cm에서부터 감포항의 110.0cm까지, 생식지의 길이는 화진포의 128.0cm에서부터 감포항의 277.8cm까지 생육 지역과 수심에 따라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왕거머리말은 영양지와 생식지가 $64.0{\~}75.7 cm$ 범위로 새로운 표현형으로 생육지의 수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포기거머리말은 영양지와 생식지가 64.9{\~}70.3 cm$로 생식지가 좀더 길게 성장하였다. 영양염의 농도는 동해 남부 지역이 중부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해안에서 자생하는 거머리말속 식물의 분포는 퇴적 환경보다는 종에 따라 생육 장소(만, 항구와 개방 연안 등)와 수심에 영향을 받고, 수심과 같은 생육 환경의 차이는 식물체의 형태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한국산 해초 포기거머리말, 수거머리말, 애기거머리말과 거머리말의 생물계절학 (Reproductive Phenology of Four Korean Seagrasses, Zostera caespitosa, Z. caulescens, Z. japonica and Z. marina)

  • 이성미;이상룡;최청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125-133
    • /
    • 2005
  • 한반도 연안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속(Zostera) 해초 4종인 포기거머리말(Z caespitosa), 수거머리말(Z. caulescens), 애기거머리말(Z. japonica), 그리고 거머리말(Z. marina)에 대한 생물계절학과 생식지 특징을 조사하였다. 율포만의 조하대에 혼재하는 포기거머리말과 수거머리말은 2002년 1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승봉도의 애기거머리말은 조간대 중부에서 하부까지 분포하였으며, 식물체는 2002년 1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채집하였다. 거머리말은 승봉도의 조간대 하부에서부터 간조시 수심 1m 내외의 조하대까지 패치로 분포하였으며, 생물계절학적 특징은 2003년 2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조사하였다. 거머리말속 종들의 유성생식 단계는 개화, 열매, 종자 출현시기와 생식기간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나타났다. 포기거머리말의 개화는 2월에서 5월초$(10{\sim}16^{\circ}C)$까지 출현하였지만, 최대 종자는 5월초에 나타났다. 수거리말의 생식지는 1월$(9^{\circ}C)$에 출현하였으며, 개화는 2월부터 6월$(10{\sim}19^{\circ}C)$까지 출현하였다. 애기거머리말의 개화는 7월에서 9월$(18{\sim}22^{\circ}C)$까지 출현하였으며, 종자는 8월부터 9월까지 성숙하였다. 거머리말의 개화는 4월에서 8월$(7{\sim}21^{\circ}C)$까지 출현하였으며, 7월에 종자가 나타났다. 수거머리말의 생식지와 육수화서는 가장 길게 신장하였으며, 개체당 종자 수도 가장 높았다. 거머리말의 생식지는 중간 크기이며, 생식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거머리말속 4종에 대한 생식지의 생식 단계와 생식 능력은 증가하는 수온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지역에서 거머리말속 개체군의 생식 전략은 유성 생식 능력이 낮은 다년생의 특징을 보였다.

한국의 서해안 영흥도 조간대의 거머리말(Zostera marina) 서식지와 비서식지에서 퇴적환경과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포 (Distribution of Sedimentation Environments and Benthic Macro-fauna Communities in Habitats and Non-habitats of Zostera marina on the Yeongheung-do Tidal Flats, West Coast of Korea)

  • 배종일;신현출;황성일;이정호
    • 환경생물
    • /
    • 제36권2호
    • /
    • pp.107-116
    • /
    • 2018
  • 이 연구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의 서식지와 비서식지에서 퇴적환경과 대형저서동물의 분포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영흥도에 서식하는 거머리말은 1월과 4월 사이에 성장을 시작하며, 7월에 급성장을 보이고 11월부터 입과 마디 탈락이 시작되고 나서 겨울에는 성장을 멈추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퇴적환경은 서식지에서 Sand와 같은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하고, Sand와 Mud가 혼합된 퇴적 양상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비서식지에서는 Slit와 같이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하였으며, 계절적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그 결과로 거머리말의 서식지가 비서식지와 상이한 입도조성 및 유기물함량을 보이며, 이에 따라 대형저서동물의 종조성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형저서동물군집은 서식지에서 비서식지에 비하여 높은 출현종수와 서식밀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종조성에 기초한 생태학적제지수의 평가결과, 군집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수들이 서식지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종풍부도지수(J)의 경우는 2배 정도의 차이를 보일 정도로 큰 차이를 나타내며, 군집의 안정성에서 거머리말 서식지가 더욱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집괴분석(Cluster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Similarity 50에서 2개의 정점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2개의 정점군은 거머리말의 서식지와 비서식지로 구분되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