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Sun Jung's Landscap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조경가 정영선의 조경설계론 연구 (A Study of Landscape Architect YoungSun Jung's The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 안명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17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 조경을 살펴보기 위해 조경가 정영선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까지의 작가의 사고, 정영선과 서안 작품, 관련 담론(조경가, 조경작품, 조경담론) 등을 대상으로, 조경설계안, 조경작품, 조경가의 사고 및 그것의 조경이론화 과정, 조경작품과 조경가의 설계사고 사이의 관계 등을 살펴보고 인터뷰(정영선 및 관련 인사), 문헌조사, 설계작품 분석 등의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자료를 종합한 결과 정영선 조경을 구분하여 볼 때, 조경을 처음 접하고 이를 수련하며 실무에 뛰어든 시기부터 독립 사무실을 운영하며 설계의 경향과 설계사고의 깊이를 달리하며 보이는 네 가지의 변곡 지점이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초기 조경에 대한 학습기를 제외하면 정영선 조경의 범주는 현대 조경, 정원, 전통 조경의 세 가지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범주의 조경 활동을 통해 현대 조경의 수입과 내재화(현대조경론), 독자적 정원론의 성립과 그 실천(정원론), 전통 컴플렉스의 극복과 창의적 계승(전통조경론) 등의 세 가지 성취를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정영선 조경은 지역주의적 사고와 작가주의적 사고의 실천이라 요약할 수 있다.

경주 옥산구곡(玉山九曲)의 위치비정과 경관해석 연구 - 이정엄의 「옥산구곡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s of Gyeongju Oksan Gugok and Landscape Interpretation - Focusing on the Arbor of Lee, Jung-Eom's "Oksan Gugok" -)

  • 펑홍쉬;강태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6-36
    • /
    • 2018
  • 본 논문은 경주 옥산구곡의 위치와 경관 해석에 대한 연구이다. 옥산구곡은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을 향사하는 옥산서원 앞을 흐르는 자계천(紫溪川, 자옥천(紫玉山)) 즉, 옥산천(玉山川)에 설정(設定)된 구곡으로 본 연구에서는 옥산구곡을 대상으로 문헌조사와 디지털 기기 분석을 통해 현장 실측분석을 수행하여 옥산구곡의 위치 및 설정상황을 확인하였다. 특히 Trimble Juno SB GPS로 측정한 구곡의 경위도와 같이 Google Earth Pro 및 지리정보원이 공개한 옥산구곡의 수치지형도를 이용해서 옥산구곡의 정확한 위치를 확정하였다.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옥산구곡의 위치 비정 및 경관 해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계 이황의 9세손 이야순(李野淳)은 이언적 사후 270년인 1823년 봄에 옥산서원을 방문하였다. 이때 이야순의 제안으로 이언적의 후손 이정엄(李鼎儼), 이정기(李鼎基), 이정병(李鼎秉) 등과 여러 선비들이 함께 옥산구곡을 처음 설정하고 함께 "옥산구곡가"를 창작했다. 이정엄의 "옥산동행기"는 옥산구곡의 설정할 때의 상황을 알려주는 결정적 자료이다. 둘째, 대부분의 구곡원림은 일반적인 시인묵객이 경영한 원림이 아니고 정통 성리학자들이 경영한 원림이다. 이언적과 이황의 후손이 "옥산구곡가"를 함께 창작한 것은 이언적이나 이황이 정통 주자학을 계승했다는 점에 대한 후손들의 자긍심의 한 표현이다. 셋째, 이정엄의 "옥산동행기"에는 "옥산구곡가"의 설곡 과정과 구곡가 창작 과정은 매우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구곡가의 설곡과정과 그때의 상황이 이처럼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은 희귀한 사례라고 할 것이다. 넷째, 기존에 알려진 옥산구곡 제8곡과 제9곡의 위치를 새롭게 비정하였다. 확정된 제8곡 탁영대의 위치정보는 북위 $36^{\circ}01^{\prime}08.60^{{\prime}{\prime}}$,동경 $129^{\circ}09^{\prime}31.20^{{\prime}{\prime}}$이다. 9곡 사자암은 고문헌을 참고하여, 동서의 두 계곡이 모이는 아래쪽 바위로 비정하였다. 그 위치는 북위 $36^{\circ}01^{\prime}19.79^{{\prime}{\prime}}$, 동경 $129^{\circ}09^{\prime}30.26^{{\prime}{\prime}}$이다. 다섯째, 이정엄의 "옥산구곡가"에 나타난 경관요소와 경관현상은 형태요소, 의미요소, 풍토요소로 나누었다. 그 결과 이정엄의 조영관은 산수를 이상향으로 생각하는 점과 자연에 한가하게 노니는 심정과 아울러 무상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경관요소와 경관현상들의 출현빈도를 살펴본 결과, 이정엄의 구곡가에서'물'과 '산'은 구곡원림을 조영하는 절대적인 요소였다. 따라서 이 구곡가에는 신선사상(神仙思想) 및 은거사상(隱居思想)이 내재되어 있는 것은 물론 산수간의 조화를 통해 자연과 하나가 되는 물아일체의 사상과 성리학적인 수행관을 살필 수 있었다.

동문선(東文選)의 루정기(樓亭記)에서 본 고려(高麗) 중(中).후기(後期)의 루정건축고(樓亭建築考) (A Study on the Roo-Jung Architecture from Dong-Mun-Seon in the middle and latter Era of Koryo Dynasty)

  • 이용범;천득염;임영배
    • 건축역사연구
    • /
    • 제2권2호
    • /
    • pp.37-49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total conspectus of Roo-Jong(RJ) Architecture in the middle and latter era of Koryo Dynast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review of old literature, the Roo-Jung description of Dong-Mun-Sun, which had compiled in the Ninth year of Seung-Jong (AD 1478) by confucian scholar.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ain currents of thought having a great influence on the RJ are thought of Mountain God (or Sin Sun, which is dwelling in mountain) or Taoist, thought of Lao-tzu and Chuang-tzu. They had required the RJ Architecture to pursuit the life of God. In this existence value meaning, the RJ Architecturethe is the semi-sacred & profane space. In the being aspect, RJ is the transcendental architecture. 2) The way of life of in the RJ had strongly turned from the personal space, mainly mind control place, into the friendship-society space, pastime place. 3) The RJ had located after the images that is what should be. The images were formed on the ground of natural landscape elements, communication elements. And these elements were indicated on one's visual, auditorial sensation with oneself. 4) In planning aspect, the scope of visual, Pungsu and history were aided with the factors of climate, topography and geography. Specially in location and fabric planning, they had regarded more important the objects and scope of visual than the climate factor.

  • PDF

강원대학교 구내림 이용행태에 대한 설문분석 (Questionnaire Analysis of Behavioral Patterns for the Campus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최정기;구소영;조선아;원종현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25-38
    • /
    • 2003
  •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학교 숲 이용자들의 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 교수, 행정직원, 외부 방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 구내림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학생이용자는 97%, 교수 이용자는 100%, 행정직원 91%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학교구성원의 80% 이상이 구내림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내림 장소로는 학생과 행정직원은 연적지, 교수는 예술대 뒷산으로 조사되었으며, 구내림 이용동기에 대한 질문에는 학교구성원 모두 산책을 위해서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구내림 만족도에 대한 설문에서는 학교 구성원 모두 보통수준으로 답하였으며, 체육시설에 대해서는 불만족스럽다라고 응답하였다. 구내림 개선사항으로는 구내림 보존 및 정비, 체육시설확대, 조깅코스개발, 약수 및 연적지 물 관리 등에 대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구내림의 외부 방문자들에 대한 설문에서는 대부분 50세 이상인 퇴직자와 전업주부가 학교 숲을 찾고 있으며, 방문자들은 주로 오전시간에 80% 가 찾아오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혼자 방문하는 경우가 70%를 차지하였다. 방문목적은 건강을 위한 산책 및 약수물 이용을 위하여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내림 장소는 연적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내림에 대한 만족도는 대부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내림 개선에 대한 사항에는 체육시설 확대가 가장 많았으며 구내림 훼손방지, 산책로 및 벤치시설증대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