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kjido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Sr 동위원소비를 이용한 한반도 흑요석의 분류 연구 (Classification of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Sr isotope ratio)

  • 조남철;강형태;정광용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268-271
    • /
    • 2005
  • Sixty-four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characterised by a study of their minor elements and Sr isotope ratio. The artifacts are from the following locations: Yondaedo Island; Yokjido Island; Sangnodaedo Island, Tongyeong, Gyeongnam; Dongsamdong, Busan; Songdo Island, Yeosu, Jeonnam; Suyanggae, Danyang, Chungbuk; Sangmuyongri, Yanggu, Gangwondo; Paektusan Mountain; Kyushu region, Japan. The study of minor elements and Sr isotope ratio recognised three distinct major group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are no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groups whose provenances are different. But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using Sr isotope ratio,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classified two groups within C group. This research will furnish scientific datum to be able to mutual comparison of obsidians excavated from other site.

  • PDF

한국산 돌기 발갯고사리류와 단단한갯고사리류(극피동물문, 바다나리강, 바다나리목)의 2미기록종 (Two Newly Recorded Species of Colobometridae and Calometridae(Echinodermata, Crinoidea, Comantulida) in Korea)

  • Sook Shin;Won, Jung-Hy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2호
    • /
    • pp.245-252
    • /
    • 2002
  • 제주도와 거문도 욕지도의 조하대에서 채집된 갯고사리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바다나리목 (Comantulida), 돌기발갯고사리과 (Colobometridae)의 범무늬갯고사리 Oligometra chinensis A. H. Clark 1918와 단단한갯고사리과 (Calometridae)의 비단갯고사리 Neometra multicolor (A. H. Clark. 1907)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보고한다. 그리고 단단한갯고사리과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Flowers in Islands and Mountains of Korea

  • Hyun, Se-Hee;Kim, Ha-Kun;Lee, Jong-Soo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44-44
    • /
    • 2014
  • Yeasts were isolated from wild flowers of some islands and mountains such as Jeju-do, Ulleungdo, Yokjido, Seonyudo and Gyejoksan, Oseosan, Beakamsan and Deogyusan in Korea and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 of nucleotide sequences for PCR-amplified D1/D2 region of 26S rDNA or internal transcribed pacer(ITS) 1 and 2 including 5.8S rDNA using BLAST. Seventy two yeast strains of two hundred eighty nine species were isolated from wild flowers in islands and mountains, Korea. Among them, Cryptococcus species were isolated the most dominantly, and Metschnikowia reukaufii were also isolated thirty species, 10.3% of total strains. Twenty-three species including Cryptococcus aureus were overlapped between yeast strains of the islands and mountains. Som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the culture broth and cell-free extracts from two hundred eighty nine yeast strains were determined. The supernatant of Candida sp. 78-J-2 showed antioxidant activity of 22.5%, and supernatant of Metschnilowia reukaufii SY44-6 showed anti-gout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49.6% and whiteni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38.4%, respectively.

  • PDF

한국의 야생화에서 분리한 효모의 종 다양성과 생리기능성 (Yeasts Diversity of Wild Flowers in Mountains of Korea and Their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 현세희;한상민;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37-141
    • /
    • 2015
  • 우리나라 야생화들의 효모 종 다양성을 확립하고 이들을 고부가가치의 건강산업에 응용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한국의 제주도, 울릉도, 욕지도와 선유도 등 4개의 섬지역 산들과 계족산, 오서산, 백암산과 덕유산 등 4개의 내륙지역 산에서 개화한 야생화들을 2012년에서 2014년 사이에 수집하여 효모 134종 289균주를 분리 동정하였다. 분리한 289균주 중에서 Cryptococcus속 균주들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Cryptococcus aureus를 포함하는 23균주들이 섬과 내륙 산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분리 동정되었다. 또한 단일 균주로는 Metschnikowia reukaufii가 전체 균주 중 10.3%인 30균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분리한 균주들을 yeast peptone dextrose (YPD)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상등액과 무세포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주요 생리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Candida sp. 78-J-2의 배양상등액이 22.5%의 항산화활성, Metschnikowia reukaufii SY44-6의 배양상등액이 49.6%의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과 38.4%의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유해적조생물의 이동·확산에 관한 수치실험 (Numerical Experiment on the Drift Diffusion of Harmful Algal Bloom)

  • 서호산;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5-344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 남해 연안에서 하계에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유해적조생물의 이동과 확산에 관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3차원 해수유동모델(POM)을 이용하여 조석의 효과, 수온 염분, 바람 효과 및 쓰시마난류를 고려한 잔차류를 계산하였다. 잔차류에 의해 부유 이동하는 적조생물의 시간에 따른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의 적조속보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남해안에서 유해적조의 최다 발생한 3개 지역 가막만(Case 1), 미조연안(Case 2), 미륵도연안(Case 3)을 선정하여 적조발생을 유형별로 수치실험을 하였다. 가막만 남부해역에서 적조가 발생한 경우(Case 1)는 발생지점으로부터 서쪽에 위치한 나로도주변해역과 여자만으로 주로 이동 확산하였다. 미조연안에서 적조가 발생한 경우(Case 2)는 발생해역의 북동측에 위치한 해역으로 입자들이 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륵도 주변해역에서 입자가 발생한 경우(Case 3)는 욕지도주변해역과 자란만-사량도 주변해역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특히 Case 3의 경우 확산된 입자가 연구 해역의 남동쪽에서 북동향하여 진행하는 쓰시마 난류의 영향을 받아 거제도 남부와 동부해역에 분포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한국 남해에서 채집된 홍메치목(Aulopiformes), Scopelarchidae, Scopelarchoides danae의 첫기록 (A New Record of Scopelarchoides danae (Scopelarchidae, Aulopiforme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 김진구;유정화;송세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61-365
    • /
    • 2023
  • 2023년 5월 12일 경남 통영 욕지도 남부 해역에서 봉고네트로 홍메치목(Aulopiformes)에 속하는 치어 1개체(체장 37.6 mm)가 채집되었다. 우리 표본은 얇은 몸, 큰 입, 튜브처럼 생긴 큰 눈, 긴 뒷지느러미 기저부, 발달된 기름지느러미를 가지는 점에서 Scopelarchidae과로 확인되었다. 이후 우리 표본은 8개의 등지느러미, 20개의 가슴지느러미, 9개의 배지느러미, 26개의 뒷지느러미 줄기를 가지며, 배지느러미보다 앞쪽에 위치한 등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 아래쪽과 배지느러미 뒤쪽으로 2개의 흑색소포를 가지는 점에서 Scopelarchoides danae로 최종 분류되었다. S. danae는 적은 등지느러미 줄기(8개, 9~10개) 및 가슴지느러미 줄기 (20개, 22~25개)를 가지는 점에서 동속의 Scopelarchoides signifer와 잘 구분된다. 치어 시기의 S. danae는 옆줄의 상하 양쪽을 따라 암색 띠가 없다는 점에서 Scopelarchus guentheri 및 Scopelarchus analis와 구분되고, Scopelarchus michaelsarsi와는 더 많은 뒷지느러미 줄기(26개, 18~21개)를 가지는 점에서 잘 구분된다. 본 종이 속한 Scopelarchidae과 어류는 국내 처음 보고되는 분류군으로 눈이 튜브 모양인 점에 의거 '눈방울매퉁이과'로 국명 신칭하고, Scopelachoides danae는 '눈방울매퉁이'로 국명 신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