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i dynasty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7초

직령(直領)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Jik-Ryoung(直領))

  • 김미자
    • 복식
    • /
    • 제5권
    • /
    • pp.219-235
    • /
    • 1981
  • Jik-Ryoung was originally desinged to be worn by lower-class people in the reign of King Woo(A.D 1387, Goryeo) when official dresses and headgear were redsigned according to Ming's (明) style. It was observed that Jik-Ryoung was the same Po(袍) as Dan-Ryoung(團領) except its straight collar. Nowadays we can find through documents and original forms of Jik-Ryoung itself that Jik-Ryoung prevail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Yi Dynasty. Lower class people wore this coat until King Sejo(世祖), but from that time the Jik-Ryoung could be worn only by the Noble class as street clothes and home wear as well. Middle class people wore this coat as an office wear. Its style had changed from narrow sleeves and Moo (무, a reinforcing cloth strip) at the beginning to widers and Moo after the middle years of the Dynasty and finally fixed its style to sewing upper parts of Moo together. While red, white, and blue were the common colors, silk, hemp, cotton, and ramie were preferred materials to be made of.

  • PDF

당대(唐代) 무사 원형을 이용한 롤플레잉 게임 캐릭터 디자인 연구 (A study on RPG game character Design using Tang Dynasty Warrior cultural Prototype)

  • 이사상;이동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85-688
    • /
    • 2008
  • 당시대 무사의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그 조형 요소를 연구한다. 공통점을 분석하여 당시대 무사 조형 요소와 게임 캐릭터 디자인의 특성을 결합시켜 중국 온라인 게임에서 요구하는 새로운 게임 캐릭터 디자인의 이론적 근거를 제안한다.

  • PDF

손일규(孫一奎)의 화열병기학설(火熱病機學說)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Sun Yi-Kui(孫一奎)'s "Fire.heat-disease-mechanism(火熱病機)" Theory)

  • 김용주;백유상;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89-313
    • /
    • 2007
  • Many of newly emerging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stroke, diabetes, obesity, and atoptic dermatities are categorized into "Fire heat-disease(火熱病)" according to oriental medicine. It is because factors such as stress, overeating, and high fat diet are major causes of heat in the human body. Sun Yi-Kui(孫一奎), a well-known oriental medical doctor during Ming Dynasty's "Jia Jing Wan Li Nian Jian"(嘉靖萬歷年間 : A.D $1522^{\sim}1619$), established new theories on "Fire heat-disease-mechanism(火熱病機)".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r. Sun's "Fire heat-disease-mechanism(火熱病機)"theory. For this purpose, I thoroughly examined the concepts of "Dong-Qj(動氣)", "Ming-Men(命門)", king fire(君火) and minister fire(相火) as well as pathological theory on "Fire heat(火熱)". In addition, I compared Sun's theory with those of Li Dong-yuan and Zhu dan-Xi.

  • PDF

료(遼).금(金).원대(元代)의 의정사(醫政史)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istory of Medical Administration for Liao(遼).Jin(金).Yuan(元) Dynasty)

  • 김기욱;박현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37
    • /
    • 2007
  • Basic summary of the medical administration: First of all, Liao Jin Yuan dynasties had broad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that the two traditional medical administrations were closely linked which later formed a system that united as one. Establishment of governmental medical office and governmental medical education organization was the very first attempt in the history of the medical administration. The measure on promoting the social level of medical doctors has an important meaning on the growth of the medical field. Medical policy on prisoners was done under the new condition brought on from experience. Medicine not of China was broadly interchanged, medicine from Arab was spread throughout China, and the department on skeletal injuries and the dietary treatments had major development. At this era, under a overall expansion of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medicine, scholastic dispute on medicine triggered medical expansion.

  • PDF

고대(古代) 서화론(書畫論)에서의 '일(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Yi" in Ancient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 황혜핑;등작인;이재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19-425
    • /
    • 2023
  • 이 연구는 역대의 문헌 기록에 근거한다. 제2장에서는 '일(逸)'의 개념 및 그의 변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했다. 그 다음으로 '일'의 고대 서화론에서 용필기법 측면과 필묵성정(筆墨性情) 측면, 두 가지 다른 개념으로 발전하였음을 고찰했다. 제3장은 '일'의 용필기법 측면에서 '일'은 서사(書寫)를 완성할 때의 속도, 서세(書勢), 필력 같은 기교를 말하는 형용사로 주로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제4장은 '일'의 필묵성정 측면에서 '일'은 서화의 품격의 고하 대신에 작가, 화가의 인품 고하를 평가하는 용어로서 그들의 뛰어난 품성을 가리킴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고대 성현의 서예론 연구를 바탕으로 '일'의 핵심적인 정신을 탐색하면서 '일'로부터 파생된 서화론의 관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일본 고려미술관(高麗美術館) 소장 1569년 작 <치성광여래강림도>의 도상해석학적 고찰 (Iconographic Interpretation of 1569 Tejaprabha Buddha Painting in the Korai Museum of Kyoto Japan)

  • 김현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2호
    • /
    • pp.70-95
    • /
    • 2013
  • 건륭(乾隆) 3년(1569)에 제작된 일본 교토(京都) 고려(高麗)미술관 소장의 <치성광여래강림도(熾盛光如來降臨圖)>는 조선 전기 치성광여래강림도상으로는 현재 유일한 것이다.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작품 내 거의 모든 도상과 旁題銘의 판독이 가능한 상태이며 화기 부분도 크게 손상되지 않았다. 작품은 홍색을 올린 바탕에 금니화로 $84.8{\times}66.1cm$의 비교적 작은 크기의 불화이다. 이 작품은 화면 중앙 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하여 존명이 적혀 있지 않은 양대보살, 십일요(十一曜)와 천황성(天皇星), 옥황상제(玉皇上帝) 및 이십팔숙(二十八宿), 황도십이궁(黃道十二宮), 삼태육성(三台六星), 북두칠성(北斗七星) 등이 배치되어 조선시대 성수신앙의 일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이 작품의 도상은 고려본 치성광여래강림도와 같은 계열이기는 하지만 일부 성수에서 자미성, 천황성과 같은 도교적 성수가 등장하고 여래형 북두칠성 등 의미있는 도상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조선시대 성수신앙의 전개과정을 알 수 있다. 본 <치성광여래강림도>는 주요 권속으로 십일요가 중심이 되긴 하였으나 계도성이 생략되고 월패성도 중심에서 벗어나 있어 십일요 구성에 대한 개념은 약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미성, 옥황대제, 천황제와 같은 도교의 성수신이 포함되면서 도교와 불교 성수신의 뚜렷한 구분이 없어지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 불화에 나타난 이십팔수의 별자리 그림은 중국의 치성광여래도와는 달리 우리나라 천문도의 별자리 그림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어 성수신앙의 독자성도 엿볼 수 있었다. 북두칠성과 칠원성군을 동시에 그려서 칠성신앙을 강조한 사실은 칠성신앙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작품의 제작 수준으로 보아 대시주 '최씨도령(崔氏徒令)'은 유복한 계층의 어린아이일 가능성이 높아, 이 작품이 자손의 연명(延命), 소재(消災) 등을 기원하면서 제작된 호신부적 성격의 불화였을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었다.

보물 제930호 이경석 지팡이에 사용된 장석의 제작기법 고찰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Metallic Ornament of Treasure 930, the Staffs of Yi Gyeong-seok)

  • 이재성;전익환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9-318
    • /
    • 2015
  • 조선의 18대 왕인 현종이 당시의 원로대신 이경석에게 의자와 함께 하사한 지팡이는 국가에서 관장하는 제작기법과 양식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조선시대 공예품이다. 지팡이의 장석을 분석한 결과, 지팡이 몸통에 살포가 연결된 금속제 끝 장식은 먼저 철판을 둥글게 말아 원기둥 형태를 만들고 황동으로 도금하였다. 도금된 부분은 살포와 연결된 금속제 끝 장식에만 국한되고 있으며, 동일한 철 소재로 제작된 살포에는 도금되지 않았다. 칼장식에는 20% 내외의 아연이 포함된 황동이 그대로 사용된 반면 살포 연결부는 철판 위에 황동도금을 했다. 이는 제작당시에 칼장식과 살포 연결부의 표면 색조가 동일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능적인 측면에서 바탕소재를 달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외견상의 조화를 추구한 결과로 추정된다. 여기에 적용된 도금법으로 수은아말감, 구리박도금, 구리분말도포, 포목상감, 용융 금속 침적 등 다양한 도금법을 고려할 수 있으며, 분석된 결과는 용융 금속을 이용한 도금법이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황동으로 제작된 칼코는 주석납땜으로 접합하였다. 칼날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 리벳은 강도와 유연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소재로 순철이 사용되었다.

이조시대의 주생활에 관한 소고 - 상류주택의 평면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ousing Problem of The Yi-Dynasty - With a Focus on The House - plan - Analysis of Upper - class -)

  • 이인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3
    • /
    • 1973
  • This article has an aim to study what kind of housing system our ancestors lived with during the Yi-Dynasty by analyzing the house-plan of upper-class society of that period since the house of lower-class was very insignificant as it has always been while the house of upper-class represented the period. With this study we can clearly see how we ought to go in the right direc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our Korean genuine housing by renovating and renewing those unreasonable points in our traditional housing system. It is firmly believed that we should-keep our own unique traditional lovely housing system for being destroyed by the whirl-wind of modernization and the demand of rationalism and efficiency-centered idea of the western mind. From this view point we think it is very urgent to see this matter correctly and find out the real way how we should do in order to keep our own good things for ourselves and make them preserved. This essa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s follows : 1. Thoughts on selecting the good housing area. 2. The aspect of housing reflected upon composing the house-plan. 3. The characteristic sentiments reflected upon the interior construction and decoration. We can find several characteristic points in the housing system of the Yi-Dynasty as follows : 1. In Korea, the thought of natural geography (Poongsu-seul), apart fro scientific view, which seems rather superstitious to us, modern young people, has been highly recommended by the people of our country from old days connected with the prosperity of our life. They also neglected about the social circumstances such as, market, transportation, and education, which are now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They only put their concern on this natural environment which they called Poongsu. 2. In construction of house-plan, the house was not built for living with reasonable convenience, but for showing prestige of the upper-class people reflecting its social organization under the feudalism of the period. Furthermore, the most of the housework was done actually by those servants and maids of the house, and not the family themselves. The only concern for the upper-class people was to show off their authority, and so this sense of authority was revealed in the housing as well. 3. Both the outside appearance of the house and the interior decoration or the furniture are all very artistic and lovely. They were so refined and beautiful with their delicate taste which truly seem against our modern rationalism and uniformity.

  • PDF

추만(秋巒) 정지운(鄭之雲) 저술(著述) 『천명도설(天命圖說)』의 사상사적(思想史的) 위상(位相) (The Historical Status of "Cheonmyeong-Doseol" by Jeong Ji-wun)

  • 박성순
    • 동양고전연구
    • /
    • 제54호
    • /
    • pp.253-288
    • /
    • 2014
  • 추만(秋巒) 정지운(鄭之雲)(1509-1561)은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사칠논변(四七論辨)의 단초가 된 "천명도설(天命圖說)"를 그린 당사자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런 사실을 제외하고, 아직까지 추만 정지운이라고 하는 인물에 대해서 학계는 물론 일반대중들도 깊이 있는 인식을 갖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정지운에 대한 선행연구도 "천명도설(天命圖說)"의 내용 분석을 위주로 하는 미시적 방식을 취하는 데 머물러 있다. 정지운의 삶과 학문이 그 가치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역사적인 맥락에서의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 정지운은 "천명도설(天命圖說)"를 지어 천인합일(天人合一)의 논리적 정당성을 이론적으로 밝혀 기묘사림(己卯士林)을 신원하고, 그들의 유지를 정연하게 체계화함으로써 조선 성리학을 본격적으로 성숙시키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사림파의 성리학설이 정국을 주도하는 정치사상으로 자리 잡는다는 점을 볼 때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의의는 아무리 강조되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를 두고 이황과 기대승 간에 벌어진 논변은 조선 성리학을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요컨대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는 "소학(小學)"과 "근사록(近思錄)"의 이해 수준에 머물러 있던 당시 상황에서 이기심성론(理氣心性論)을 본격화함으로써 조선 전기 성리학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황과 기대승은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를 중심으로 논변함으로써 조선 성리학을 이론적으로 심화시키는 출발점에 서게 되었다. 이때 정착된 사림파의 심학화(心學化) 경향은 명종과 선조대를 거치면서, 완전히 조선 정치사상사를 주도하는 정치이념으로 자리 잡았다.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는 그러한 정치사상사의 흐름을 견인한 시발점이었다는 점에서, 우리는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가 지니고 있는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확인하게 된다.

전통조경요소로써 도입된 학(鶴)과 원림문화 (Cranes(Grus japonensis) Adopted as a Traditional Factor in Landscaping and Gardening Culture)

  • 김해경;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7-67
    • /
    • 2012
  • 본 연구는 학과 관련된 고문헌과 조선시대 산수화를 분석하여 원림에 도입된 동적(動的) 조경요소인 학으로 인해 형성된 원림문화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은 부처의 화현(化現), 신선 세계와 장수의 희구(希求), 은일자의 고고한 삶을 표현하는 매개체로써 불교 도교 유교적인 상징 의미를 지녔다. 삼국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학을 길렀던 기록이 있으며, 조선시대 선비는 학시사(鶴詩社) 학 품평회를 개최하거나 출사(出仕)를 거절하는 의미로 학을 활용하였다. 둘째, 원림에 학을 도입하기 위해서 야생의 학을 잡아 길들여 학옥 학우리나 울타리를 만들어 가두고, 물을 공급해 주는 연못으로 생육환경을 마련했다. 또한 학을 전담 관리하는 노비가 있었으며, 춤을 추도록 훈련시킨 후 마당에 관념적 의미에서 한 마리의 학을 방사하거나 학의 생태를 고려하여 두 마리의 학을 방사했다. 셋째, 학을 감상하는데 있어서 학과 짝이 되어 상징성을 만드는 수목으로써 은일 처사의 의미체인 매화와 장수 의미를 지닌 소나무를 원림에 식재하였다. 더불어 조선시대 선비는 학과 함께 완상(玩賞) 오수(午睡) 독서(讀書) 탄금(彈琴)으로 풍류를 즐겼다. 살펴본 바와 같이 조선시대 선비는 학이 상징하는 의미를 그림으로 그리거나 시를 짓는데 그치지 않고 동적 전통조경요소로써 원림에 학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으며, 선비의 풍류와 연관시켜 학의 생김새, 몸짓, 소리를 포함하는 공감각적 감상을 즐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