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su Port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품목별 특화도와 물동량의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Specialization Degree and Cargo Volume by Cargo Type in Major Ports in Korea)

  • 이충배;소막;유염봉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3-119
    • /
    • 2021
  • 우리나라 항만은 배후 산업과 연계 된 산업항, 수출입을 지원하는 무역항 등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면서 물동량이 증가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만별/화물별 화물의 집중도, 특화도 그리고 물동량의 상대적 변동성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품목별 항만 물동량의 구조적 변동성을 집중도, 특화도, 변이할당분석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기간은 2001-2020년이며 항만은 전체 물동량 기준으로 상위 10개 항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화물의 유형은 4가지 액화, 건화물, 일반화물, 컨테이너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집중도, 특화도와 화물량의 변동성 분석을 위해 HHI, 입지계수(LQ), 변이할당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4 개 화물별 항만 집중도와 특화도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20년간 변동폭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변이할당분석을 통한 화물의 증감량을 산정한 결과, 액상화물에서는 여수·광양항, 건화물에서는 평택·당진항에서 일반화물과 컨테이너 화물에서는 부산항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우리나라 항구의 화물 집중도 및 특화도는 향후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화물의 집중화와 특화가 진행되어 규모의 경제와 클러스터링 효과가 상당 수준 달성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Sea Level Rise at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 Oh Nam-Sun;Kang Ju-Whan;Moon Seung-Rok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7-333
    • /
    • 2005
  • Sea level (MSL, MHWL, or MLWL) change has been main concern to scientists and engineers and it can be primarily due to both change of climate and vertical movement of land. This paper reports the intensive analysis of the sea level changes and broad discussion of the future at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neral tendency and periodicity of the sea levels at the six different study sites such as Gunsan-I(inner port), Gunsan-O(outer port), Mokpo, Yeosu, Heuksan and Jeju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global values. Besides the changes of sea levels due to global warming, the influence of the man-made structure such as seadike and seawall was attempted to quantify using the minimization of the Root Mean Square(RMS) error. The results show that it is a general tendency that the values of mean sea level rise at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especially at Gunsan-I and Jeju, are somewhat larger compared to global average values. There is also some evidence that tidal amplifications are found just after construction of man-made structure at Gunsan-I and Mokpo. However, both sites show different mechanism in relation to tidal choking, tidal flat and river discharge. The impact due to construction of man-made structure is considerably larger at Mokpo site, while the impacts due to man-made structure and the effect of sea level rise are relatively identical at Gunsan-I sit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ntuition to future design.

정수최적계획법을 이용한 마리나 건설 대상지 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 Marina's Construction Location Analysis Using Integer Optimization Programming)

  • 박성현;주기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64
    • /
    • 2010
  • 본 연구는 마리나 건설 최적의 대상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능해역 중에서 최적의 장소를 결정하는 것이다. 마리나 건설 후보지 선정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여수시 인근의 10개의 후보지를 대상으로 10개의 결정 요인들을 분석하여 최적의 장소를 선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합리적인 장소를 결정하기 위하여 새로운 모델인 0-1정수 최적계획모형이 제안된다. 제안된 모형은 지금까지 최적 마리나 시설 분석 문제에 적용된 사례가 없다. 본 논문은 가장 합리적인 장소를 결정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제안된 모형은 타 지역의 마리나 시설 건설 후보지 선정 문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대산항 수출변동의 요인별 분해: 근린공간효과를 중심으로 (Decomposition of Daesan Port's Exports: Neighbor Spatial Effect)

  • 모수원;박정환;이광배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6
    • /
    • 2018
  • 대산항 수출은 석유제품, 석유화학중간원료, 기초유분, 합성수지 4개 품목이 92%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대산항의 주요 품목의 수출실적은 경쟁항만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현상을 규명할 수 있는 공간변이할당모형의 새로운 버전을 개발하여 대산항의 수출 변동요인을 밝힌다. 먼저 표준변이할당분석을 통해 석유제품과 기초유분에서는 지역-국가 전부문 변이효과와 지역산업구조효과가, 석유화학중간원료와 합성수지에서는 지역-국가 전부문 변이효과가 주요 수출변동요인임을 밝힌다. 석유제품을 포함한 4개 품목 모두 지역-국가 전부문 변이효과가 양의 부호를 가져 대산항의 수출이 다른 항만들에 비해 원활함을 보인다. 또한 석유제품과 기초유분의 지역산업구조효과가 양의 부호로 빠르게 수출이 증가하는 품목인데 비해, 석유화학중간원료와 합성수지는 음의 부호로 수출활동이 활발하지 못함을 보인다. 공간변이할당분석에서 대산항은 석유제품에서 경쟁력이 약한 울산항은 물론 경쟁력이 강한 온산항과 인천항에 대해서도 경쟁우위를 가지나, 경쟁력이 높은 여수항에 대해서는 열위상태에 있다. 기초유분에 있어서는 높은 경쟁력을 갖는 인천항과 온산항에 대해 그리고 경쟁력이 약해진 여수항에 대해 우위를 가지나, 경쟁력을 회복한 울산항에 대해서는 경쟁력 우위를 상실하고 있다. 석유화학중간원료에 있어서 수출경쟁력이 높은 울산항, 온산항, 여수항에 대해 경쟁력을 상실한 반면에 경쟁력이 약해진 인천항에 대해 경쟁력을 회복하고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에 있어서는 경쟁력을 가진 울산항, 부산항, 인천항에 대해 경쟁력을 잃고 있으며, 경쟁력이 약한 광양항에 대해서는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밝힌다.

경쟁력분석에 따른 국내 북극항로 전진기지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itiveness and Effect Analysis for Developing a Port Specialized in Northern Sea Route)

  • 박진희;이민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1-251
    • /
    • 2015
  • 최근 북극의 해빙이 가속화되면서 북극의 자원개발과 함께 북극항로를 통한 에너지 자원과 화물수송이 가능해 졌다. 이로 인해 북극 연안국들을 중심으로 북극해를 선점하기 위한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북극항로 개설에 따른 화물수요와 관련 인프라를 선점하기 위해 각 지자체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국내 지자체 간 과도한 경쟁은 국가 항만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과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항만 간 경쟁력분석을 바탕으로 북극항로에 특성화된 전진기지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항만은 각 권역을 대표하는 무역항으로 선정하였으며, 문헌 및 통계 자료 검토, 설문조사를 통해 AHP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북극항로 상에서 부산항, 여수 광양항, 울산항, 인천항 순으로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검토하여 다양한 해양산업과 연계하는 부산 전진기지 특화형, 북극자원과 석유화학클러스터를 활용한 울산 전진기지 특화형, 그리고 항만 기능을 분담하여 협력하는 혼합형을 가능한 시나리오로 설정하고, 그 추진방향을 개략 제시하였다.

크루즈 항만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ey Successful Factors of Cruise Port)

  • 이충배;이종구;노진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1-111
    • /
    • 2013
  • 전 세계적으로 사람들의 삶의 수준이 높아지고 관광 형태도 다양화됨에 따라 새로운 관광대상으로 크루즈 관광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크루즈 여행은 특히 동북아 지역을 포함하여 지난 20년간 가장 역동적이고 극적으로 성장한 관광분야의 하나이고, 21세기에도 가장 유망한 성장산업으로 주목되고 있다. 승객 수의 증가에 따라, 크루즈 선박의 수와 정박지 수용력은 1970년대 말 이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한국 또한 반도 국가이기 때문에 크루즈 승객 수의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국가 경제는 크루즈 산업이 새로운 직업과 잠재적인 투자 및 지역 관광 개발을 창출해 소득의 원동력 역할을 함으로써 큰 이익을 얻었다. 항만은 단지 선박의 정박지가 아니라 보급과 벙커링 설비, 현지 관광 기회를 제공해주며, 국가의 크루즈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적의 크루즈 항만 선택은 의사결정자들이 경제, 환경, 인간의 삶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많은 것들을 고려해야 되기 때문에 중요하고 복잡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학계나 항만공사 관계자 등의 대상자보다 향후 크루즈 산업에 직접적으로 투자할 해운선사의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설문을 실시하였고, 국내 해운선사들의 투자 및 진출을 이끌어내기 위해 갖춰야 할 크루즈 항만의 여건이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써, 실질적인 크루즈 항만의 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된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바탕으로 국토해양부의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2011-2020)에서 제시한 부산항, 인천항, 제주항 등의 항만들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발전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지역산업연관분석 중심 (Economic Impact of Gwangyang Bay Area Shipping and Port Logistic Industry on the Regional Economy: A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 김상춘;장흥훈;김승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3-73
    • /
    • 2015
  • 본 논문은 2010년 29부문 광양만권특화 지역산업연관모형을 구축하여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에서의 위치, 지역산업과의 연관성 그리고 지역경제에의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0년 기준 국가 해운항만산업 대비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생산액, 부가가치액, 취업자의 비중은 각각 약 10.8%, 6.06%, 2.92%이며, 지역 전체산업 대비로는 각각 약 1.96%, 2.28%, 2.44%이다. 국가 총 항만서비스 수요 대비 광양만권 해운항만서비스 수요의 비중은 약 6.4%이다. 입지분석결과, 생산액 기준, 부가가치 기준, 그리고 종사자 수 기준 모두에서 해운항만산업은 광양만권 서비스부문 중 유일하게 전국대비 특화도가 1보다 큰 부문으로, 지역의 서비스부문은 해운항만산업에 특화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해운항만산업은 지역주력제조업과 지역의 주요 생산자서비스업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석유 및 화학은 해운항만산업과 전후방연관성이 모두 높으며 1차금속은 전방연관성이 높다. 도소매 및 기타운수 보관은 해운항만산업과 전후방 연관성이 모두 높으며, 금융 보험, 부동산, 사업서비스 등은 후방연관성이 높다. 수요 및 공급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약 6조 원의 생산유발효과, 약 2조5천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1만 6천 명의 취업유발효과 등으로 광양만권 지역경제 총 생산의 약 4%, 총 부가가치의 약 5.8%, 그리고 총 취업자의 약 6.7%가 해운항만산업과 연관되어 있다.

Three newly recorded heterotrophic euglenids(Protist), Entosiphon oblongum, Euglena longa and Keelungia pulex from South Korea

  • Lee, Won J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89-93
    • /
    • 2022
  • Three heterotrophic euglenids from marine water column (Seodo port, Yeosu) and freshwater sediment (Seodong-chun, Incheon), Korea were identified as Entosiphon oblongum Cavalier-Smith and Vickerman, 2016; Euglena longa (Pringsheim, 1936) Marin and Melkonian, 2003; and Keelungia pulex Chan and Moestrup, 2013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18S rDNA sequence analysis. These species are reported taxonomically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nd are described with micrographs. Diagnoses of these species are as follows. Entosiphon oblongum: phagotrophic, gliding, size in vivo, 23.1-29.3 ㎛ (Avg. 26.5 ㎛, n=30) long, ovate with a protrusive feeding siphon (apparatus), several deep grooves and two heterodynamic flagella. Euglena longa: osmotrophic, swimming, size in vivo, 32.3-52.2 ㎛ (Avg. 42.2 ㎛, n=26) long, elongated with many paramylum granules and two flagellar. Keelungia pulex: phagotrophic, gliding, size in vivo, 13.5-19.7 ㎛(Avg. 16.4 ㎛, n=97) long, oblong to ovoid with a hook-shaped ingestion apparatus, several dorsal ridges and two flagella.

컨테이너 항만 하역장비의 친환경 전환에 따른 탄소 배출저감 효과 분석 (Analysis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effect due to electricity conversion of container port's CHE)

  • 안용성;이향숙;이지원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9-52
    • /
    • 2024
  • 2014년 시작한 항만 하역장비 친환경 전환 사업이 2024년 종료됨에 따라서, 기존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저공해' 패러다임에 더하여 항만 차원의 2050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본격 '배출제로'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주요 4대 항만(부산, 인천, 여수광양, 울산)의 컨테이너 부두 하역장비의 미래 교체수요를 산정하고, 후속 전환사업의 시작년도로 예정된 2025년부터 매년 하역장비별 교체수요를 모두 전기화한다는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이에 따른 미래 배출저감 효과를 산정, 분석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배출 산정 기준으로 채택되고 있는 전주기적 개념(LCA)을 적용한 배출전망과 항만 내 직접 배출만을 고려하는 기존의 배출 산정 개념을 함께 적용 제시하여 비교함으로써, 후속 사업의 추진에 보다 유효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일정에 따라서 하역장비에 대한 교체를 진행하게 되면, 2025년에는 BAU 대비 79%, 2030년에는 97.4%까지 기존의 배출 규모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하지만 전주기적 관점을 적용하면, 2030년까지 27.6%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특기할만 한 점은, 크레인 장비의 경우 이미 대부분 전기전환이 완료되었음에도 상대적으로 높은 활동도와 장비 자체의 출력값으로 인해 절대적 배출값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는 항만 하역장비의 배출제로 전환과 동시에 재생 에너지 기반의 항만 내 에너지 자립체계를 구축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야드트랙터 및 크레인 외 이송·하역장비에 대한 전기화 또는 대안 에너지를 활용하는 배출제로 전환 역시 본격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연안의 해상교통관제시스템 설치를 위한 기초연구 시뮬레이션에 의한 우리나라 연안의 해상교통량 추정 ( Estimation of the Traffic Flow in the Korea Coastal Waterway by Computer Simulation)

  • 구자윤;박양기;이철영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5-112
    • /
    • 1988
  • From the point of view of safety of life and property at sea and the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the Vessel Traffic Management System along the Korea coastal waterway is inevitably introduced. But the establishing priority per area must be evaluated under the restricted budget. In this case, the estimated traffic flow has a major effect on priority evaluation. In the former paper , an algorithm was proposed for estimating the trip distribution between each pair of zones such as harbours and straits. This paper aims to formulate a simulation model for estimating the dynamic traffic flow per area in the Korea coastal waterway. The model consists of the algorithm constrined by the statistical movement of ships and the observed data,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traffic network evaluations. The processed results of traffic flow except fishing vessel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2000, the traffic congestions per area are estimated, in proportion of ship's number (tonnage), as Busan area 22.3%(44.5%), Yeosu area 19.8%(11.2%), Wando-Jeju area18.1%(6.8%), Mokpo area 14.9%(9.9%), Gunsan area 9.1%(9.3%), Inchon area 8.1%(7.7%), Pohang area 5.5%(8.5%), and Donghae area 2.2%(2.1%). 2) For example in Busan area, the increment of traffic volume per annum is estimated 4, 102 ships (23 million tons) and the traffic flow in 2000 is evaluated 158, 793 ships (687 million tons). 3) consequently, the increment of traffic volume in Busan area is found the largest and followed by Yeosu, Wando-Jeju area. Also, the traffic flow per area in 2000 has the same or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