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force Education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8초

다문화서비스 담당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의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for Multicultural Services Librarians)

  • 이연옥;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3-276
    • /
    • 2014
  • 최근 한국사회에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여성, 유학생 등 이주민의 수가 증가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주민의 증가는 문헌정보전문직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주민에게 적절하며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역량을 개발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 사서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문화적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이란 무엇이며, 그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등 사서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내용 체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다문화서비스를 이행하고 있는 사서, 다문화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사서에게 필요한 문화적 역량은 다문화에 대한 태도, 다문화에 대한 지식, 다문화에 대한 기술이라는 3가지로 구분되었으며, 그 세부적 요소로서 다문화 태도, 다문화구성원에 대한 지식,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지식, 장서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서비스전달, 언어의 다양성, 교육 및 인력개발 부문이 제시되었다.

도시 어메니티가 창의인력 거주지 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Role of Amenity in Determining Residential Preference of Creative Workers)

  • 김현우;이두헌;임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9-49
    • /
    • 2017
  •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인 4차 산업혁명으로의 전환에서 개인의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 또는 그러한 직무에 종사하는 인적 계층인 창의인력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해외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창의인력은 '장소의 질', 대표적으로 어메니티를 거주지역 선택에서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창의인력이 거주지를 선택함에 있어 도시 어메니티가 영향을 미치는지 생산직 인력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2014년 기준, 전체 창의인력의 수는 573만명(전체 종사자의 23.2%)이며, 절반 이상인 58.6%가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창의인력의 초과거주비율(거주자수/일자리수)은 인구규모가 큰 대도시 지역에 집중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인력의 거주지 선택은 생산직과 비교하여 교육과 같은 특정 도시 어메니티 요소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지역의 창의인력 확대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대산업의 다문화주의 교류에 따른 효율적인 경영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he Efficient Strategies for Cross-Cultural in the Hospitality Industry)

  • 이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51-157
    • /
    • 2005
  • 힐튼 호텔, 맥도날드와 같은 환대산업의 성공은 언어 및 문화적 배경이 다른 인적자원을 경제력 제고수단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한 결과이다. 이처럼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인 아이디어, 네트워크 다양화, 기업이미지 제고, 우수인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정적인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1.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접할 수 있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차원에서 먼저 제공되어야 한다. 2. 감정과 인식에 대한 차이를 자국어로 설명된 비디오 교육시스템으로 그릇된 인식(misperceptions), 그릇된 평가(misevaluations), 불신(mistrust)과 같은 apos;misfactorapos; 요소를 줄여야 한다. 3. 각 국가의 풍습 및 음식문화, 국제 비즈니스 매너, 토론회와 같은 다양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4. 경영자는 다문화에는 다양성과 일관성의 양면성이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 PDF

Influence of Job Embeddedness and Resili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Dental Hygienists

  • Hwang, Ji-Min;Han, Ji-H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1-177
    • /
    • 2020
  • Background: Maintaining a skilled workforce by minimizing the turnover of competent dental hygienists is very important for securing dental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predictor of turnover and lower turnover intention. To understand dental hygienist turnove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silience, a positive factor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embeddedness that induces residual t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tal hygienists' job embeddedness and resilience on turnover inten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licensed dental hygienists nationwide, from March 19 to July 19, 2020. T-test and one way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job embeddedness,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job embeddedness,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Results: Job embeddedness was the highest with link and resilience scoring 3.57 and 4.16, respectively. The turnover intention scored 3.53.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ge, marriage, total dental clinic career, education degree, and posi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embeddedness,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Suitability, link, and sacrifice of job embeddedness were shown to affect the degree of turnover intention,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6.2%.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the dental hygienists' turnover intention, job embeddedness and resilience should be increased. Thus, measures should be undertaken for professional and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가구구조 변화가 서비스 수요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Changes in Household Structure on Service Consumption in Korea)

  • 황수경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3권3호
    • /
    • pp.57-85
    • /
    • 2011
  • 본 연구는 저출산 고령화의 진전과 여성 경제활동참여 증대 등에 따른 가구구조 변화가 가계생산에 영향을 주어 서비스 수요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기존에 가계생산에 의존하던 가사노동 및 돌봄서비스 등을 시장서비스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서비스 수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선 3부문 시간배분모형을 통해 가계생산의 시장화가 서비스산업의 확장을 가져오는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가구구조 변화가 각 소비항목별 수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QUAIDS 수요분석모형에 따른 엥겔곡선을 추정하였다. 분석자료로는 "가계동향조사"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단신가구의 증가, 유배우가구의 감소, 6세 미만 자녀 가구의 감소와 같은 가구 구성의 변화, 그리고 맞벌이가구의 증가 등은 의료비, 교육훈련비, 가사서비스 등 전형적으로 가계생산서비스를 대체하는 시장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FTA 국내보완대책의 평가와 과제: 농·축산업분야를 중심으로 (Evaluation and Tasks of FTA Domestic Supplementary Measures in the Area of Agriculture and Livestock Industry)

  • 이병문;정희진
    • 무역상무연구
    • /
    • 제77권
    • /
    • pp.215-237
    • /
    • 2018
  • This study closely examines domestic supplementary measures implemented for Free Trade Agreements (FTA) concerning the agriculture and livestock industry and finds out their problems and put forward improvement measures in terms of their system and contents. The systematic problems with previously established supplementary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short and long term measures does not comply with each FTA's special and unique economical, political and legislative purpose. Secondly, they focus on improvements for individual FTAs. They must be holistic and integrative considering all FTAs, thus producing synergy to reach better policy overall. Lastly, FTA policies and the measures must reflect the expanding size and scope of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Problems or concerns in existing supplementary measures include first, flexible financing. The government hands out loans to players in the industry based on assets but these loans must be flexible to market interest changes and must include reduced mortgage rate options. Secondly, rigid standards that trigger direct loss prevention, establishing maximum and minimum loan limits, and developing a comprehensive standard for identifying crops to support are all problems that need to be addressed. Thirdly, education of next and future agricultural generation is paramount in building a competitive workforce. Fourthly, the government must identify industries lacking in performance or short in supply to cease or reducing funding. Last but not least,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search for new markets for export and produce long term road maps for export growth.

  • PDF

Strategies for Worksite Health Interventions to Employees with Elevated Risk of Chronic Diseases

  • Meng, Lu;Wolff, Marilyn B.;Mattick, Kelly A.;DeJoy, David M.;Wilson, Mark G.;Smith, Matthew Le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2호
    • /
    • pp.117-129
    • /
    • 2017
  • Chronic disease rates have become more prevalent in the modern American workforce, which has negative implications for workplace productivity and healthcare costs. Offering workplace health interventions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strategy to reduce chronic disease progression, absenteeism, and healthcare costs as well as improve population health. This review documents intervention and evaluation strategies used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delivered in workplaces. Using predetermined search terms in five online databases, we identified 1,131 published items from 1995 to 2014. Of these items, 27 peer-reviewed artic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reporting data from completed United States-based workplace interventions that recruited at-risk employees based on their disease or disease-related risk factors. A content rubric was developed and used to catalogue these 27 published field studies. Selected workplace interventions targeted obesity (n = 13), cardiovascular diseases (n = 8), and diabetes (n = 6). Intervention strategies included instructional education/counseling (n = 20), workplace environmental change (n = 6), physical activity (n = 10), use of technology (n = 10), and incentives (n = 13). Self-reported data (n = 21), anthropometric measurements (n = 17), and laboratory tests (n = 14) were used most often in studies with outcome evaluation. This is the first literature review to focus on interventions for employees with elevated risk for chronic diseases. The review has the potential to inform future workplace health interventions by presenting strategies related to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rategies in workplace settings. These strategies can help determine optimal worksite health programs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work settings and the health risk factors of their employee populations.

여성이 운영하는 목공방 창업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oundation of a Carpentry Studio Run by a Female Owner)

  • 김영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3-210
    • /
    • 2016
  •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gender ratio of furniture design courses at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account for 70 to 80 percent of the total enrollments. Likewise, other design courses reveal the similar trend. Even though female students want to build up their career in the furniture design or related fields, the figure is not so high. There is a trend that many female designers tend to take time off or quite their jobs after their marriage for that reasons such as pregnancy, childbirth, the upbringing of children and so on. The study also shows that women with higher education feel more difficult to resume their careers after being left from economic activity for a long period; this results in the lower figure of women involved in the specialized jobs than men. In particular, the furniture companies avoid hiring old female designers because they believe that younger candidates are more capable of learning the latest style; therefore, it has become harder for the job seeks to win the competition in the job market. The data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in 2015 shows that there was the higher increase in female employees than the figure of the male worker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s it can be seen, female workforce was emerged as the new growth power; Nevertheless, the work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haven't meet the demands from women despite the gradual rise of female job seekers inspired by their wish to achieve self-realization, gender equality. To conclude, this is to suggest the plans for the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small-scale carpentry studios so that women, who have a degree in furniture design studies and wish to resume their careers after their long breaks, start their own carpentry studios so as to reach self-realization and feel satisfied with their work while earning their livelihoods.

체육관련학 전공자의 역량과 노동시장 분석 (The competency and employ ability prospects of students majoring in sports & recreation)

  • 조민행;고의석;한건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121-5131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체육관련 전공자들의 역량과 노동시장에서의 고용구조를 조사하는데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등급으로 공시한 각 학교별 자료를 분석해보면,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2등급에 속한 학교는 1개교이며, 3등급에는 11개 학교가, 4등급에는 32개교가, 5등급에 15개교가, 6등급에 5개교가 속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등급이 우수한 학교의 경우 소재지가 수도권이거나 체육교사의 교원자격증이 부여되는 사범계열학과의 대학수학능력시험 등급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계열 대학생의 역량을 세분화 하여 분석한 결과 인지능력 3.30, 신체능력 3.88, 사회성 3.61, 경영능력 3.21, 정서능력 3.52로 나타났다. 국가자격에 의해 고용되는 직종은 생활체육지도자 또는 경기지도자, 스포츠강사, 퍼스널트레이너 등 비정규직의 취약한 고용구조로 연결되었다.

북한 임상검사인력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Clinical Laboratory Personnel in North Korea)

  • 구본경;주세익;김대중;장인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3-89
    • /
    • 2020
  • 북한과 남한은 임상검사실 인력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북한에서는 남한의 '임상병리사'에 해당하는 유사인력을 '실험의사(검사의사)'라고 호칭한다. 본 연구자들은 탈북 보건의료인의 증언을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를 고찰해 보면, 검사의사(laboratory doctor)의 신분은 의사(physician)와 준의(feldsher, physician assistant)일 것이라고 사료된다. 의사와 준의는 5.5년제 의학대학 및 3년제 의학전문학교에서 양성되고 있다. 북한의 보건의료인력체계는 남한의 경우처럼 보건전문가들의 전문영역별 업무나 교육, 자격 및 법률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다. 대한임상병리사협회는 한반도 통일을 대비하여 유관 단체와 함께 정책연구를 통해서 북한 임상검사인력에 대한 직제 전문화 구축과 발전 방향을 상호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