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Polymer Composite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5초

폐지 복합재료의 물성 (Properties of Waste Paper Composite)

  • 김철현;김강재;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0권3호
    • /
    • pp.48-52
    • /
    • 2008
  • Waste paper plastic composites were prepared with old newspaper and old corrugated containers and mixed office waste and those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ellows. 1. The strength properties like as tensile and Young's modulus reveled most high level in MOW composite. 2. The coagulation of fibers in paper particle should interrupt equal dispersion of polymer and paper particle. 3. The micrograph of the surface of composites showed the most high dispersion in ONP composite.

강원도(江原道) 지역(地域)의 침활엽수재(針闊葉樹材) 목재자원(木材資源)의 이용개발(利用開發)을 위한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 -복합목재 제조를 위한 단량체의 침투기구-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Major Wood Resources in Kangwon-do -Permeability system of monomer in wood polymer composites-)

  • 이원용;이성재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13
    • /
    • 1998
  • 주요 침 활엽수재에 대하여 methyl methacrylate를 이용하여 만든 목재-polymer복합체에 대하여 polymer의 분포와 존재상태등을 목재의 조직학적인 면에서 조사하였으며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olymer의 침투성은 수종에 따라 다르며 수종고유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낙엽송은 침투성이 대단히 나쁘며 활엽수재에 있어서는 환공재가 산공재보다 침투성이 양호 하였다. 2. 횡단면에서 침투성이 가장 양호하며 방사단면과 접선단면에서의 주입은 저하되고 양자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3. 동일 수종에서는 변재가 섬재보다 침투성이 양호 하였다. 수종에 따라 변심재간에 침투성이 다른 것은 심재화에 의한 tyloses의 형성 또는 도관중의 침착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4. 환공성 수종에서는 조재부가 만재부보다 polymer의 침투성이 양호 하였으며 산공재에서는 반대로 만재부가 조재부보다 침투성이 양호하였다. 5. 도관의 크기와 침투성과의 사이에는 명확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관의 직경이외에도 도관의 비율, tyloses의 발달, 내용물의 충진 혹은 천공판등이 관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6. 침엽수재 방사조직에 있어서는 방사유세포보다 방사가도관의 침투성이 양호하였으며 활엽수재의 방사조직은 구성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단량체의 방사방향에 미치는 영향은 침엽수재보다 적었다. 7. 비중과 연륜폭은 모두 polymer의 침투성과 거의 관계가 없었다.

  • PDF

폴리프로필렌-천연섬유 복합재료의 혼합시 유변학적 및 열적 특성: II. 상용화제의 영향 (Rheological Properties During Mixing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Natural Fiber Composites: II. Effects of A Compatibilizer)

  • 김삼중;유종선;하창식
    • 접착 및 계면
    • /
    • 제10권1호
    • /
    • pp.23-29
    • /
    • 2009
  • 두 종류의 천연섬유, 즉 면섬유와 목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 천연섬유 복합재료의 혼합가공시 유변학적 특성과 열적특성에 미치는 상용화제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상용화제로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래프팅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천연섬유의 종류에 관계없이 상용화제를 첨가할 때, 전반적으로 상용화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오크 값이 상승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시차 주사 열량계(DSC)와 X선 회절분석(XRD)을 통해 상용화제의 첨가시 복합재료의 결정화도가 약간 상승함이 확인되었다. 섬유의 종류에 따른 영향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혼합시 유변학적 물성, DSC 및 XRD 결과에 의하면, 면섬유의 경우가 목분보다는 PP-g-MAH와 더 나은 상호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홍조류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한 바이오복합재료의 특성 (Use of Red Algae Fiber as Reinforcement of Biocomposite)

  • 이민우;서영범;한성옥
    • 펄프종이기술
    • /
    • 제40권1호
    • /
    • pp.62-67
    • /
    • 2008
  • Biocomposite was fabricated with biodegradable polymer and natural fiber that has potential to be used as replacement for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with the benefits of low cost, low density, acceptable specific strength, biodegradability, etc. Until now, mostly natural cellulosic fibers on land have been used as reinforcement for biocomposite.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fabrication and the characterization of biocomposite reinforced with red algae fibers from the sea. The bleached red algae fiber (BRAF) showed very similar crystallinity to the wood cellulose. It has high stability against thermal degradation (maximum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359.3$^{\circ}C$) and thermal expansion. Biocomposites reinforced with BRAF have been fabricated by a compression molding method and their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have been studied. The storage modulus and the thermomechanical stability of PBS (polybuthylenesuccinate) matrix are markedly improved by reinforcing with the BRAF.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d algae fiber can be used as an excellent reinforcement of biocomposites, which are sometimes called as "green-composites" or "eco-composites".

일액형 알코올형 실리콘 실란트의 제조 및 접착 물성 (Preparation and Adhesion of One Part Room Temperature Curable Alkoxy Type Silicone Sealant)

  • 김대준;박영준;김현중;이봉우;한재철
    • 접착 및 계면
    • /
    • 제2권4호
    • /
    • pp.1-9
    • /
    • 2001
  • 실리콘 실란트는 실리콘폴리머, 가소제(plasticizer), 가교제(crosslinker), 충전제(filler), 촉매(catalyst), 첨가제(additive)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실란트의 실용특성에는 각 제조변수의 종류와 혼합비율이 크게 영향한다. 알코올형 실리콘 실란트는 최근들어 환경적인 이점 때문에 그 사용이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온경화형 일액형 알코올형 실리콘 실란트를 PDMS(polydimethylsiloxane)의 점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후 그 접착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점도 20000과 80000 cps의 PDMS를 혼합 사용하고 가교제, 가소제, 촉매 등의 함량을 변화시켜가면서 실란트를 제조하고 접착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실란트의 제조과정 중의 반응온도 변화를 기록하여 적절한 제조조건을 얻도록 하였다. 실란트 제조시 혼합물의 온도가 $40^{\circ}C$ 이하가 되도록 제조변수의 조성을 조절하여 적합한 물성의 실란트를 제조할 수 있었다. 피착재에 따라 접착력이 달라졌으며, 유리/유리 > 유리/알루미늄 > 알루미늄/알루미늄 순으로 나타났다. 실란트의 신장률은 폴리머 점도와 가소제의 함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강도는 가교제와 가소제 함량 감소와 촉매함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 PDF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목분/폴리프로필렌 복합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cycled PP Cont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Wood/PP Composites)

  • 안성호;김대수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129-13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을 첨가한 wood plastic composite(WPC)의 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먼저 용융혼합 조건을 최적화하였으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WPC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WPC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만능재료시험기와 충격시험기를 사용하였고 열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DSC, TGA, DMA를 사용하였다. SEM을 이용하여 WPC의 파단면을 관찰하였다. 전체 폴리프로필렌 함량의 50 wt%를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으로 함유한 WPC의 최적가공 조건은 $170^{\circ}C$, 15분, 60 rpm이었다.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증가는 WPC의 수분흡수성을 증가시켰고 열적,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켰다. 그러나 모든 물성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WPC의 두드러진 물성 감소 없이 전체 폴리프로필렌 함량의 50 wt%까지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을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제조 및 응용: 고강도 나노종이와 고분자복합필름 (Preparation of Cellulose Nanofibrils and Their Applications: High Strength Nanopapers and Polymer Composite Films)

  • 이선영;전상진;도금현;이수;김병훈;민경선;김승찬;허윤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97-20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입자의 셀룰로오스를 1,400 bar의 압력에서 고압 호모지나이저(high-pressure homogenizer)를 이용하여 직경이 약 50~100 nm의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나노섬유 현탁액을 감압 여과하여 고강도 나노종이를 제조하였다. 용매 및 필름캐스팅법을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hydroxypropyl cellulose (HPC)와 polyvinyl alcohol (PVA) 수지에 보강 및 분산시켜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고압 호모지나이저 통과 횟수를 2, 4, 6, 8까지 점점 증가시켰을 때, 나노종이의 인장강도가 매우 높았으며 통과횟수가 증가할수록 직선적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1H, 1H, 2H, 2H-perfluorodecyl-triethoxysilane (PFDTES)로 나노종이를 화학 적 개질한 결과, 나노종이의 기계적 강도와 내수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HPC와 PVA 수지에 중량대비 1, 3 및 5%로 보강시켰을 때, HPC와 PVA 복합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케냐프섬유로 강화된 PP복합재료내의 섬유의 함량이 기계적특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Concentration Effects on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of Chopped Kenaf Fiber Filled Polypropylene Composite)

  • 오정석;이성훈;김광제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2호
    • /
    • pp.125-131
    • /
    • 2011
  • 일정한 길이로 분쇄한 케냐프섬유를 일정한 비율로 PP수지에 복합화하여 섬유의 함량에 따른 기계적특성을 조사하였다. 케냐프 섬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 굴곡탄성률, 충격강도, 비중, 열변형온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신장률, 굴곡강도, 용융유동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계적물성증가의 원인은 섬유와 PP간의 계면접촉면적의 증가와 섬유간의 연결간섭으로 고찰되었다. 케냐프섬유내에 존재하는 증발성추출물질이 PP와 의 계면접착에 있어서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고려된다.

나노 케냐프 셀룰로오스가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의 물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 (Nano-Kenaf Cellulose Effects on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Composite)

  • 오정석;이성훈;범석훈;김광제
    • 폴리머
    • /
    • 제37권5호
    • /
    • pp.613-617
    • /
    • 2013
  • 나노입자크기의 케냐프섬유를 폴리프로필렌에 첨가하였을 시, 복합소재의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천연크기의 케냐프섬유를 나노입자크기의 케냐프섬유로 대체하였을 시, 그 복합소재의 인장강도, 휨강도, 충격강도, 열변형온도가 증가한 반면에, 용융지수, 연신율(%), 충격강도 등이 감소하였다. 이는 나노입자크기의 케냐프섬유가 폴리프로필렌과 접촉하는 표면적의 증가와 섬유표면에 존재하는 휘발성 추출물질 등의 불순물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Novel green composite material manufactured by extrusion process from recycled polypropylene matrix reinforced with eucalyptus fibres and granite powder

  • Romulo Maziero;Washington M. Cavalcanti;Bruno D. Castro;Claudia V. Campo, Rubio;Luciano M.G. Vieira;Tulio H. Panzera;Juan C. Campos Rubio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19-131
    • /
    • 2023
  •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mposites materials, from recycled polymeric materials and waste from the wood industry and stone processing, allows reducing the volume of these by-products, minimizing impacts on health and the environment. Nowadays, Polypropylene (PP) is the most recycled polymer in industry, while the furniture industry has increasingly used timber felled from sustainable forest plantations as a eucalypt. The powder tailing from the ornamental stone extraction and processing industry is commonly disposed of in the environment without previous treatment. Thus, the technological op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mposite materials presents itself as a sustainable alternative for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enabling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with special technical fea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powder granite particles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polypropylene matrix associated with short eucalyptus fibres forming green hybrid composites with potential application in structural engineering, such as transport and civil construction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