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infertility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7초

결혼이주여성의 산전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ucation needs related to prenatal care programs in married immigrant women)

  • 박희옥;박미라;전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632-464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증가하고 있는 중국, 베트남을 비롯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이들을 위한 산전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D시 1개의 다문화센터를 이용하는 71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2014년 3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수행되었다.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는 불임, 남녀생식구조, 산전교육, 예방접종, 건강문제 관리방법 등의 내용을 포함한 1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은 신생아 안전관리 및 응급대처법, 예방접종, 건강문제관리, 신생아 정상발달과정, 신생아 관리법 등 주로 신생아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이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에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에 따른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세부항목 중 불임에 대한 교육요구도에서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중국과 기타 국적 출신의 결혼이주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5.53, p<.05). 따라서, 향후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산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할 시 신생아 성장발달 과정과 이들 간호방법이 가장 우선시 되어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IVF-ET Program에서 Blastocyst 배아의 발생에 관한 연구 - II. 난구세포 공동배양에 의한 Blastocyst 배아의 발생 (Th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Human Blastocyst Embryos in IVF -ET Program - II. The Development of Human Blastocyst Embryos by co-culture with Cumulus Cells)

  • 이석원;윤산현;윤혜균;조현진;허용수;윤혜진;박세필;이원돈;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1호
    • /
    • pp.35-41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rates of human embryos co-cultured with cumulus cells to each blastocyst stage. Human zygotes were co-cultured on cumulus cell monolayer in YS medium supplemented with 20% hFF. On day 2, if patient had four or more "good" embryos (regular blastomeres without fragmentation), embryos were further cultured for 72hrs. Blastocysts on day 5 were classified into early blastocyst (ErB), early expanding blastocyst (EEB), middle expanding Blastocyst (MEB), and expanded blastocyst (EdB) on the basis of their morphological aspects of trophectoderm cells and blastocoele. Subsequently, maximum 3 of best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in 486 cycles.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Patients who had four or more "good" embryos on day 2 were 498 persons, but patients whose embryos could not be transferred due to failure in development to the blastocyst stage on day 5 were 12 persons (2.4%). The development rate of embryos to the blastocyst stage was 58.2% (2,885/4,957) on day 5, and the rates that developed to the ErB, EEB, MEB, and EdB stage were 15.0% (743/4,957), 14.9% (739/4,957), 14.4% (714/ 4,957), and 13.9% (689/4,957), respectively. Total 1366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in 486 cycles (mean number=2.81). The implantation rate and the ongoing implantation rate obtained by observing the number of G-sac and FHB were 29.9% (409/1,366) and 22.5% (308/1,366), respectively. The clinical pregnancy rate was 51.2% (249/486), and the ongoing pregnancy rate' was 39.1% (190/486). Among women showing ongoing pregnancy, women with singleton were 50% (95/190), women with twin were 37.9% (72/190), and women with triplet were 12.1% (23/190). Although triplet pregnancy rate in this study was high such as 12.1%, because many blastocysts with high viability were produced in our co-culture system using cumulus cells on day 5, we really believe that a multiple pregnancy except twin should not occur by selecting good embryos for maximum two blastocyst transf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utologous cumulus cells may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blastocysts with high developmental competence, and the use of autologous cumulus cells to be collected easily, and to be treated conveniently at OPU must be an effective means for obtaining high implantation and pregnancy rate.

  • PDF

난소예비력 저하 여성에 대한 한약 단독 치료의 임신 관련 지표 개선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East Asian Herbal Medicine (EAHM) Alone for the Treatment of Women with Diminished Ovarian Reserve (DO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이주현;최수지;노은지;민상연;김동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6-153
    • /
    • 2022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east asian herbal medicine (EAHM) treatment alone is effective in improving pregnancy-related indicators compared to conventional medicine in women with Diminished Ovarian Reserve (DOR). Methods: We searched eligible studies from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Chinese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Database, CiNii, Korean Medical Databas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ScienceOn. GRADE pro was used to evaluate the current evidence of the study. Result: A total of 5 studies, 325 women with DOR were included. EAH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pregnancy rate (n=270, RR 2.13 [95% CI 1.44 to 3.15], Z=3.78, p=0.0002, I2=0%) and Anti-Mullerian Hormone (AMH) level (n=211, SMD 0.82 [95% CI 0.40 to 1.25], Z=3.80, p=0.0001) compared to conventional medicine. In ovulation rate (n=156, RR 0.86 [95% CI 0.70 to 1.06], Z=1.43, p=0.15, I2=0%), Antral Follicle Count (n=245, SMD 0.27 [95% CI -0.25 to 0.79], Z=1.01, p=0.31),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n=245, SMD 0.29 [95% CI -0.13 to 0.70], Z=1.36, p=0.17) level, EAHM showed similar effects to conventional medicine. In this study, the most frequently used herbal medicines were Cuscutae Semen, Dipsaci Radix, and Angelicae Gigantis Radix. Conclusion: This meta-analysis showed that EAHM could improve pregnancy rates and AMH levels in women with DOR. However, more well-designed RCTs will have to be performed further in the future.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Biotechnology and Women's Agency: Between IVF and Therapeutic Cloning Research)

  • 조주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93-123
    • /
    • 2005
  • 이 글은 서로 층위가 다른 제 사회세력들이 시험관아기 시술을 매개로 어떤 방식으로 여성의 재생산권과 모성의 의미를 구성하는지를 밝히고, 시험관아기 시술을 통해 부상하게 된 기술과학주체(technoscientific subject)인 여성은 어떤 위치에 놓여있는지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으로써, 과학기술 연구와 페미니즘 관련 문헌들과 심층면접 자료, 불임여성모임 단체와 입양단체의 문건과 회원들이 올린 글들, 언론매체의 기사와 칼럼들을 이용하였다. 불임여성의 경험을 가족 체계, 의료 체계, 그리고 국가 체계를 통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족의 공간에서 불임여성은 비정상의 범주에 속해질 뿐 아니라 스스로도 자신의 여성성에 의문을 갖지만, 다른 한편 "모성"에 대한 성찰과 확장된 인식을 갖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의료 공간에서 불임여성은 자신의 몸이 자신 가족, 의료진에게 각기 달리 인식된다는 사실을 경험하게 된다. 몸을 소유한 것도, 소유된 것도 아닌 것으로 인식하는 이 시선은 교환과 거래가 주도하는 공간에 새로운 논리의 창출과 새로운 기술과학주체의 행위성을 예견하게 한다. 국가의 공간에서 배아복제 연구가 국가경쟁력의 기표로 부상함에 따라 난자제공자로서의 여성의 위치도 정치성을 띄게 됐다. 여성은 한편으론 국가발전에 참여할 국민으로 호명되지만 다른 한편으론 "생명"의 존엄성이라는 허구를 지키는 수호자의 역할을 할 것을 요구받는 모순된 위치에 놓여있다. 국가의 경제발전을 위한 기획에 호명되면서 경제적 보상의 범주에는 들지 못하는 국민이라는 정체성과, 생명을 파괴하는 것을 전제로 생명을 창조하는 것을 허락하는 배아복제에 참여하면서 "생명" 수호자의 정체성을 부여받는 것이 각기 내포하는 모순에 대해 여성이 어떻게 순을하고 타협하고 저항할지에 따라 배아복제 연구의 방향과 속도가 달라질 것이다.

  • PDF

난관 폐쇄에 기인한 불임 환자에서 난관 개통술의 효용성 (Efficacy of Transcervical Fallopian Tube Catheterization in Infertility Patients with Fallopian Tube Occlusion)

  • 박찬우;차선화;양광문;한애라;유지희;송인옥;김혜옥;강인수;궁미경;이경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4호
    • /
    • pp.321-327
    • /
    • 2010
  • 목적: 불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궁 난관 조영술을 이용한 난관 불임 선별검사에서 난관 막힘의 소견을 보인 경우 선택적 난관 조영술을 시행 후 실패 시 난관 개통술을 시행하여 난관 불임치료에 있어 난관 개통술의 효용성을 알아보고 난관 막힘 부위 및 형태에 따른 난관 개통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난관 불임 선별검사로서 자궁 난관 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자궁 난관 조영술 상 난관 막힘 소견을 보인 215명의 342개의 난관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난관 개통술을 시행하여 342개의 난관 가운데 248개의 난관이 개통되어 72.5%의 난관 개통률을 보였다. 막힘 부위에 따른 난관 개통률은 근위부 83.8% (197/235예), 협부 45.6% (47/103예), 원위부 100% (4/4예)를 보여 자궁-난관 접합부에 가까운 막힘 일수록 높은 개통률을 보였다. 막힘 형태에 따른 개통률은 점진형은 92.3% (157/170예), 오목형은 80.2% (69/86예), 볼록형은 25.5% (22/86예)의 난관 개통률을 보였다. 난관 막힘 부위와 형태를 종합하여 볼때 난관 근위부 점진형 막힘의 경우 91.6% (143/156예)의 높은 개통률을 보인 반면 난관 협부 볼록형 막힘의 경우에는 개통률이 11.3% (6/53예)에 불과하였다. 난관 개통에 성공한 156명 가운데 98명에서 임신에 성공하여 62.7%의 임신율을 보였다. 결론: 난관 개통술은 자궁 경부를 통한 시술로 수술적 방법이나 체외수정시술의 난자 채취에 비해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 입원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불임의 원인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난관 원인에 의한 불임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시행해 볼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된 반복유산 환자의 탈락막 자연살해세포의 발현 (Expression of Decidual Natural Killer (NK) Cells in Recurrent Abortion Patients with Increased Peripheral NK Cells)

  • 이현주;김선행;양광문;박동욱;박찬우;홍성란;조동희;송인옥;궁미경;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3호
    • /
    • pp.199-207
    • /
    • 2009
  • 목 적: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된 반복유산 환자군과 증가되지 않은 반복유산 환자군에서 다음 번 유산 시탈락막의 자연살해세포의 발현양상을 관찰하여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가 15% 이상 증가된 반복유산 환자군 14명을 실험군으로, 15% 이하인 군 12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환자들에게서 다음 번 유산 시 착상부위를 포함한 자궁 탈락막 세포를 확인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CD56^+$$CD16^+$ 자연살해세포의 수를 세어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결 과: 실험군과 대조군은 탈락막 내 $CD56^+$ 자연살해세포의 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170.1{\pm}132.1$ vs. $68.3{\pm}66.1$, p=0.02)를 보였으나 둘 간의 상관관계 (r=0.229, p=0.261)는 없었다. 또한 두 군간에 $CD16^+$ 자연살해세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25.70{\pm}11.72$ vs. $31.17{\pm}22.67$)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는 말초혈액 $CD56^+$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된 반복유산 환자군에서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되지 않은 군에 비하여 탈락막의 $CD56^+$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탈락막 자연살해세포가 반복유산의 면역학적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연구 결과이며 또한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의 측정이 반복유산 환자에서 다음 번 유산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임을 알 수 있다.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이 가임기 난소기능저하 불임여성의 난소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Kamisoyo-san (Jiaweixiaoyao-san) on Improving Ovarian Function in Child-bearing Period Infertile Women with Ovarian Dysfunction)

  • 이한성;조광호;김태경;김춘환;안수정;안광석;심범상;김성훈;최승훈;정윤재;안규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37-145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icit the effectiveness of a herbal formula, Kamisoyo-san (Jiaweixiaoyaosan) on enhancing ovarian function in infertile woman with ovarian dysfunction. Methods: 28 patients who initially visited between November 2006 and February 2009 and were administered Kamisoyo-san until May 2009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for their ovarian function by means of basal FSH (b-FSH), menstrual cycle, body mass index (BMI), and body fat ratio. To identify the major factor of improving ovarian function, 28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criteria of patent factors, such as pre-administration b-FSH, patient age, and treatment duration, respectively.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erms of pregnancy percentage, b-FSH, menstrual cycle, BMI, and body fat ratio. Results: Post-administration b-FSH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pre-administration (p=0.004). The higher group (b-FSH $\geq$ 25mIU/mL) in pre-administration b-FSH was more effective in decrease of post-administration b-FSH than the lower one (10mIU/mL < b-FSH < 25mIU/mL). Conclusion: Kamisoyo-san may have a therapeutic effect on the infertility of child bearing period woman with ovarian dysfunction.

  • PDF

임신초기 사람의 태반조직에서 GnRH-II mRNA와 Peptide의 발현 (Expression of the Second Isoform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Chicken GnRH-II Type) in the First Trimester Human Placenta)

  • 천강우;홍성란;이형송;강인수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81-88
    • /
    • 2001
  • GnRH는 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호르몬으로서 생식기능을 조절, 관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임신 중에는 태반에서 hCG의 분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사람의 두 번째 GnRH 유전자가 발견되었으며 그 10개의 아미노산 서열은 닭에서 두 번째로 발견된 GnRH (chicken GnRH-II)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사람에서의 두 번째 GnRH (GnRH-II)의 발현은 중뇌와 신장에서 보고된 바 있으며, 본 연구자들에 의해서 처음으로 사람의 자궁내막에서의 발현이 보고되었다 (Cheon et al., 200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신초기의 태반조직에서 GnRH-II의 mRNA와 Peptide가 발현되는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태반에서 발현되는 GnRH-II mRNA는 두 가지 형태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GAP 부위에 21개의 뉴클레오티드 결실을 갖는 작은 전사체는 조직 특이적인 alternative splicing 기작에 의하여 태반조직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면역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GnRH-II peptide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세포영양막과 융합영양막의 세포질에서 모두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세포영양막에서 더 많은 양이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임신초기 태반에서 기존의 GnRH (GnRH-I)이외에도 다른 아미노산 서열의 GnRH-II가 발현된다는 사실을 말해주며 이는 GnRH-II 역시 태반조직에서 임신의 유지 및 생식기능의 조절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겠다.

  • PDF

골반결핵으로 인한 불임 환자에서 체외수정 시술의 결과 (Outcome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n Infertile Women with Pelvic Tuberculosis)

  • 김진영;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9권4호
    • /
    • pp.287-294
    • /
    • 2002
  • Objectives: Pelvic tuberculosis (TB) causes infertility despite of anti-TB chemotherapy and IVF-ET is effective treatment to achieve pregnanc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outcomes of IVF-ET in pelvic TB, especially according to main Tb lesion,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ful outcome. Methods: A total of 135 IVF-ET cycles were performed in 54 patients with pelvic TB and the outcome w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with tubal factor not associated with TB in 301 cycles, 227 patients. Anti-TB chemotherapy was performed in the patients with pelvic TB. Pregnancy rate was compared according to main TB lesion as salpingitis, peritonitis, and endometritis. In the patients with endometrial TB, when complicated with uterine synechia, hysteroscopic lysis was done before IVF-ET and pregnancy rate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uterine synechia.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ak E2 ($2,790{\pm}280.1$ vs $2,554{\pm}101.2$, p>0.05),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13.5{\pm}0.7$ vs $12.5{\pm}0.4$, p>0.05) and fertilized oocytes ($7.7{\pm}0.5$ vs $7.8{\pm}0.3$, p>0.05) between patient and control group. Clinical pregnancy rate per transfer in pelvic TB group was 22.9% and showed no difference from that of control group (24.3%, p>0.05).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gnancy rate in the endometrial Tb (18%) was lower than that in the salpingitis (28.5%) or peritonitis (26.5%) (p>0.05). In the endometrial TB with uterine synechia, pregnancy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patients without synechia even after hysteroscopic lysis (9.7% vs 31.6%, p<0.05). Conclusion: IVF-ET after anti-TB chemotherapy i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to achieve pregnancy in infertile patients with pelvic TB. Because the presence of endometrial TB and resulting uterine synechia affects the outcome of IVF-ET, thorough evaluation for endometrium with endometrial biopsy and hysteroscopy is important to predict the prognosis of IVF-ET treatment.

생쥐 초기배아와 사람의 수정란의 발생에 미치는 생식수관 상피세포의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Epithelial Cells of Genital Tract on the Development of Mouse Early Embryos and Human Fertilized Oocytes)

  • 이호준;변혜경;김정욱;황정혜;전종영;김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3호
    • /
    • pp.315-323
    • /
    • 1994
  • Mammalian oviductal epithelial cells have been known to improve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Recently, co-cultured human embryos with the epithelial cells in human genital tract has been reported to improve the pregnancy rat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pithelial cells of human genital tract on the development of mouse early embryos and human fertilized oocytes. The epithelial cells of human genital tract were collected from the fallopian tubes which were obtained during hysterectomy in fertile women and from the endometrium during endometrium biopsy. Collected human ampullary cells(HACs) and endometrial cells(HECs) were cultured for 10 days to establish primary monolayer. Second passaged HACs and HECs were obtained by trypsinization were cryopreserved in PBS with 1.5 M DMSO for later use. To investigate the effect when co-cultured with HACs and HECs, we tried to apply strict quality control on mouse embryo, from two cell to blastocyst prior to human trial. The results of quality control were as follows; In Group I (Ham's F10 with 10% FCS), Group IT (co-cultured with HACs) and Group ill (co-cultured with HECs), developmental rates to blastocyst were 63.3%(253/400), 76.0%(304/ 400),74.0%(296/400), respectively. Hatching rates were 36.8%(147/400), 41.80/0(167/400), 38.0%(152/400), respectively(p<0.05). To perform the human IVF, cryopreserved HACs were thawed at 37$^{\circ}C$ waterbath, seeded on the well dish and cultured for 48 hI'S. The pronuclear stage embryos were transferred to the seeded well dish. After 24 hRS, co-cultured embryos were examined and transferred to patient's uterus. The results of human IVF when co-cultured with HACs were that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al rates were 61.8% (256/414), 95.3% (244/256) as compared with 57.2% (279/488) and 94.6%(264/279) in Ham's F10 supplemented with 10% FCS(control). However, 62.9% (161/256) of co-cultured human embryos showed good embryos(no or slight fragmentation) as compared with 53.8 % (150/279) in control(p < 0.05). Pregnancy rate was 40.0% (12/30) when co-cultured with HACs whereas 30.6%(11/36) in control. In conclusions, co-culture system using HACs and HECs improved the developmental and hatching rates of mouse embryo. Also, in human IVF system when co-cultured with HACs, it improved both the quality of human embryos and the pregnancy r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