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less Network Management

검색결과 1,182건 처리시간 0.029초

HSDPA 환경에서의 u-Healthcare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품질 측정 방안 연구 (A Study on Wireless Data Quality Measurement Method for u-Healthcare Service in HSDPA Environment)

  • 윤성열;박석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27-134
    • /
    • 2011
  • 최근 각광받고 있는 무선 데이터 통신 인프라는 유선에서의 한계점을 넘어 빠른 속도로 발전 하고 있다. 특히, 이를 이용한 u-Healthcare 서비스에 대한 이슈가 증가하고 있으며,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무선 데이터망의 품질 보장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유선망에 대한 종단간 품질관리만을 집중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망에 대한 품질관리 연구가 미비하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연구로 u-Healthcare 서비스를 제공받는 무선 데이터 망 사용자의 품질 보장 및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방안인 무선 환경을 고려한 무선서비스 품질측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무선데이터 품질 측정 지표 및 기준을 선정하였고, 품질 측정 평가 방안을 서비스별로 제시하였으며, 각각의 서비스 별로 품질지표를 제시하였다.

Wireless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MAC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MAC protocol for efficient Wireless Sensor Network)

  • 이우철;김동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17-520
    • /
    • 2005
  • 무선 센서망은 망의 사용목적에 따라 빛, 온도, 진동, 자기 영역, 바람 등을 감지 할 수 있는 센서와 컴퓨팅 기술로 통합된다. 무선 노드들은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기술과 측정자에게 정보가 도달하게 하는 통신 제어 기술과, 무선으로 구동되고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제한적 에너지 관리 기술이 구현된다. 그 중 신뢰성 있는 측정 및 감지를 하고자 한다면 망의 지속시간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에서의 전원관리가 아닌 OSI 7계층 중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에서 기존의 무선 MAC 프로토콜인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과 무선 센서 MAC 프로토콜인 ER-MAC(Energy Rate Medium Access Control)에 대해 설명후 각각 프로토콜에 따른 망의 지속시간을 비교하여 효율성을 분석한다.

  • PDF

무선 멀티 홉 환경에서 ARQ를 통한 재전송 지속성 관리 기법 (Retransmission Persistence Management with ARQ in Multi-Hop Wireless Network)

  • 오봉환;김석규;이재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10호
    • /
    • pp.674-683
    • /
    • 2014
  • 무선 통신 기술이 점점 발전함에 따라 이제는 하나의 전송 경로 안에 다중의 무선 구간이 존재하는 무선 멀티홉 환경이 점점 일반화 되고 있다. ARQ는 무선 구간에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프로토콜로서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패킷 손실을 복구함으로써 무선 구간의 성능을 보장한다. 하지만 ARQ는 근원적으로 자신이 속한 무선링크의 성능만을 보장하기 때문에 다중의 무선 구간이 존재할 경우에는 전체 성능을 보장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선 멀티 홉 환경에서 전체 전송 경로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재전송 지속성 관리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무선 멀티 홉 환경에서 ARQ간의 링크 정보 교환을 통해 ARQ 스스로 무선 병목링크를 인지하고 이에 따라 재전송 지속성을 조절함으로써 전체 성능을 보장한다. OPNET 시뮬레이터를 통해 제안된 방법이 전체 무선구간의 요구조건 안에서 전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n Establishment of Super Wi-Fi Environment in Ships Based on UHF System of TMS

  • Kim, Jungwoo;Son, Jooyo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5호
    • /
    • pp.2103-2123
    • /
    • 2018
  • Ships built today are larger in scale and feature more complex structures. The ever-evolving systems used on board a ship require vast amounts of data processing. In the future, with the advent of smart ships, unmanned ships and other next-generation ships, the volumes of data to be processed will continue to increase. Yet, to date, ship data has been processed using wired networks. Placed at fixed locations, the nodes on wired networks often fail to process data from mobile devices. Despite many attempts made to use Wi-Fi on ships just as on land to create wireless networks, Wi-Fi has hardly been available due to the complex metal structures of ships. Therefore, Wi-Fi on ships has been patchy as the ship-wide total Wi-Fi coverage has not properly implemented. A new ship-wid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is part of the technology conducive to the shipbuilding industry. Th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should not only serve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but also be able to manage and control multiple features in real-time: fault diagnostics, tracking, accident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ireless frequencies for ships, this paper tests the widely used TETRA, UHF and Wi-Fi and sheds light on the featur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echnology in ship settings. The proposed deployment of a Super Wi-Fi network leveraging the legacy UHF system of TMS generates a ship-wid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The experimental findings corrobor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hip-wide Super Wi-Fi network environment.

현장 시험시공을 통한 저수지 댐의 재해예측 무선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적용성 평가 (Application for Disaster Prediction of Reservoir Dam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based on Field Trial Construction)

  • 유찬호;김승욱;백승철;나기혁;유광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9-2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저수지 댐 시설물 전체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국내의 저수지 댐을 대표할 수 있는 구간을 시범구축 현장으로 선정해, 계측과 동시에 시설물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여 위험인자를 도출함과 동시에 극한상태에서의 위험인자의 한계값을 도출하였다. 위험구역, 위험인자에 적합한 측정항목을 설정하여 현장에서 측정할 센서의 종류 그리고 위치를 결정하였다. 국내의 저수지 댐을 대표할 수 있는 필댐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시스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현재 댐의 계측관리 기술인 부분 집중방식의 계측과 직접 비교함으로써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A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Process with RFID/WSN-based Logistics Equipment

  • Shin, Tae-Hong;Yoon, Su-Won;Chin, Sangyoon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2권4호
    • /
    • pp.11-19
    • /
    • 2012
  •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CSCM) has become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ccess of a construction project as it becomes increasingly complicated and mega-sized. Particularly for high-rise or mega-sized building construction, just-in-time supply chain management is required due to lack of storage space and effective logistics for construction components and materials at a construction site. Despite the fact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wireless sensor network (WSN) technology have been performed,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still need to carry mobile devices and check material and component flow at each stage of the supply chain process. This research proposes that the equipment used in the construction supply chain process, such as movers, trailers, gates, and hoists, can become main actors in the supply chain process using RFID and WSN technologies. And the proposed equipment and process focused on a solution to the redundancy identification problem, which has been observed in operations that use RFID/WSN-based processes for construction logistics. This paper also presents issues identified through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and proposes further studies.

Efficient Key Management Protocol for Secure RTMP Video Streaming toward Trusted Quantum Network

  • Pattaranantakul, Montida;Sanguannam, Kittichai;Sangwongngam, Paramin;Vorakulpipat, Chalee
    • ETRI Journal
    • /
    • 제37권4호
    • /
    • pp.696-706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n achievable secure videoconferencing system based on quantum key encryption in which key management can be directly applied and embedded in a server/client videoconferencing model using, for example, OpenMeeting. A secure key management methodology is proposed to ensure both a trusted quantum network and a secure videoconferencing system. The proposed methodology presents architecture on how to share secret keys between key management servers and distant parties in a secure domain without transmitting any secrets over insecure channels.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secure key management methodolog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quantum point-to-point key sharing by simultaneously distributing keys to multiple users; thus, it makes quantum cryptography a more practical and secure solution. The time required for the encryption and decryption may cause a few seconds delay in video transmission, but this proposed method protects against adversary attacks.

Multi-agent Q-learning based Admission Control Mechanism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for Multiple Services

  • Chen, Jiamei;Xu, Yubin;Ma, Lin;Wang, Ya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10호
    • /
    • pp.2376-2394
    • /
    • 2013
  • In order to ensure both of the whole system capacity and users QoS requirements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dmission control mechanism should be well designed. In this paper, Multi-agent Q-learning based Admission Control Mechanism (MQACM) is proposed to handle new and handoff call access problems appropriately. MQACM obtains the optimal decision policy by using an improved form of single-agent Q-learning method, Multi-agent Q-learning (MQ) method. MQ method is creatively introduced to solve the admission control problem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in this paper. In addition, different priorities are allocated to multiple services aiming to make MQACM perform even well in congested network scenarios. It can be observed from both analysis and simulation results that our proposed method not only outperforms existing schemes with enhanced call blocking probability and handoff dropping probability performance, but also has better network universality and stability than other schemes.

저대역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보안등 관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Bi-Directional Security Light Control System based on Low-Bandwidth Wireless Sensor Network)

  • 이호근;이상호;이석규;최정원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58-66
    • /
    • 2010
  • This paper shows an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result of wireless networks based security light control system, which performs a great role in protection of pedestrians and prevention of crime. Conventional security light units have severe limits in confirmation and inspection of security light unit failure, like wilful damage by someone or failure by influence of other equipment or failure by spontaneous heat-increase, and so on. In addition, local government offices are responsible for maintenance of security light units and as a matter of fact, most of civil complaints are about security light units. It is an obvious that the existing security light maintenance system reaches the limit and the security light maintenance problem is a difficulty of local government. Therefore, efficient security light control system is needed, which enables central control and intelligent maintenance. Moreover, the system has to be easy to control and has to be stable. In this study,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security light control system is implemented, which is independent of programming language and platform, and which is simple to control and extend the system. The proven protocols, HTTP and SOAP, are utilized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reliability. This paper shows the excellence of our proposed system by implementing and operating it in real environment.

Ad hoc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의 효율 전력 매니지먼트에 관한 연구 (Design of an Efficient Power Manger through the cooperative Dynamic Power Management for Ad hoc Wireless Sensor Networks)

  • 전동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809-814
    • /
    • 2011
  • 센서네트워크에서 주요자원문제는 에너지효율이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동적파워매니지먼트(DPM)이고, 두번째는 에너지효율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다. DPM에서 파워메니저 OS는 이벤트에 관한 CPU와 각 I/O의 올바른 파워상태를 조절하는데 있다. 그러나, OS는 각 네트웤프로토콜의 내적동작에 대해서는 크게 관계가 없다. 또한, 에너지효율 프로토콜은 전파 PHY의 파워세이빙에 주요하게 맞춰져있다. 더불어,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대부분작업은 통신에 관계되어져있다. 본논문에서, 센싱부와 에드훅 무선센스노드 사이에 관계된 통신작업에서 상호협력 매니지먼트(CPM)을 통해 원치않는 파워소비을 줄일 수 있는 효율 파워메니져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