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grown cabbag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엇갈이배추 재배기간 중 살균제 Amisulbrom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PHRL) of the Fungicide Amisulbrom during Cultivation of Winter-Grown Cabbage)

  • 안경근;김경하;김기쁨;김민지;홍승범;황영선;권찬혁;손영욱;이영득;정명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0-1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엇갈이배추 재배기간 중 살균제 amisulbrom을 살포하고, 농약 살포 후 0(2시간 이내), 1, 3, 5, 7 및 10일에 엇갈이배추 시료를 채취하여 amisulbrom을 분석하고 amisulbrom의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여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PHRL; Pre-Harvest Residue Limit)을 설정하였다. 엇갈이배추에 잔류한 amisulbrom은 acetonitrile과 dichloromethane으로 각각 추출 및 분배를 진행하여 HPLC-UVD로 분석하였다. Amisulbrom의 분석정량한계는 0.04 mg/kg이었으며, 평균 회수율은 0.4 및 2.0 mg/kg의 두 수준에서 각각 $93.7{\pm}2.3%$$100.0{\pm}1.3%$이었다. Amisulbrom을 기준량으로 1회 살포 시 엇갈이배추 중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포장 1 및 2에서 각각 3.7일과 4.1일로 계산되었으며, 증체량에 따른 희석효과가 amisulbrom의 잔류량 감소에 주된 인자로 작용하지는 않았다. 잔류감소 회귀식을 이용한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은 수확 10일전 8.86~9.47 mg/kg, 또는 5일전에 4.21~4.35 mg/kg으로 제안하였다.

충북지역에 유통되는 일부 채소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Vegetables Collected in Chungbuk, Korea)

  • 우나리야;고성희;박용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65-878
    • /
    • 2013
  • This study is being executed to investigate the pesticide residues for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markets in Chungbuk area from 2010 to 2012. The samples used were chard, perilla leaf, leek, spinach, crown daisy, marsh mallow, and winter grown cabbage, These were analyzed by GC/MSD and GC/ECD. Agricultural pesticide levels of spinach was 23.4%, winter grown cabbage 20.6%, chard 14.9%, marsh mallow 14.0%, perilla leaf 13.1%, leek 8.4%, and crown daisy 5.6%. Exceeds of residual pesticides were spinach, chard, leek, perilla leaf, and marsh mallow. Based on these results, a risk assessment was being conducted by used a percentage of acceptable daily intake (%ADI). The %ADI ranged from 0.00014% to 1.73910%, and these values was indicated to have no effects on human health.

피복처리가 월동배추 동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vering treatment on the incidence of frost injury in chinese cabbage during winter season)

  • 이상규;최장선;이희주;장윤아;도경란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3호
    • /
    • pp.163-167
    • /
    • 2014
  • The average temperatures for year and winter season have been risen by $0.7{\circ}C$ and $1.4{\circ}C$, respectively, during the last 30 years. Recently abnormal climate phenomena occurred frequently results in severe loss of vegetable crops grown in Korea. Specially, Chinese cabbages grown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are often significantly affected by sudden cold waves during winter season before harves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a potential role of covering materials on the protection of frost damage of 'Bularm' chinese cabbage in the winter season. The lowest temperature was $-15.8^{\circ}C$ in non-covering, $-8.1^{\circ}C$ in the PE film covering and $-4.6^{\circ}C$ in the non-woven fabric covering with PE film, respectively. The cumulative times below $4.0^{\circ}C$ were 145.5 hours for the non-covering treatment, 94 hours in the PE film covering and 14.5 hours in the non-woven fabric covering with PE film, respectively. The symptoms of frost damage were severe at non-covering chinese cabbages compared to polyethylene film (PE) non-woven fabric with PE covering ones. Microscopic studies showed the normal anatomical structure of palisade and spongy tissue of cabbage leaves covered with non-woven fabric with PE film. Leaf cells, however, were slightly damaged in cabbages covered with PE film alone, and both palisade and spongy cells were were completely collapsed in uncovered cabbage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chinese cabbages is required to be covered with non-woven fabric with PE film to minimize the frost damage by sudden cold wave below $-7^{\circ}C$.

학교 급식용 친환경 및 일반농법 채소류의 미생물적 품질 비교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Ordinary Agricultural Vegetables Used in a School Foodservices)

  • 김양숙;문혜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1호
    • /
    • pp.49-6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basic information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vegetables used in school foodservices. Comparisons were made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eight different kinds of vegetables grown by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methods and ordinary agricultural methods to determine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w materials, aerobic plate counts were as follows: lettuce 4.58~7.43 log CFU/g, winter plowing chinese cabbage 5.61~7.36 log CFU/g, Korean leek 5.81 log CFU/g to TNTC (too numerous to Count), cabbage 5.93~6.43 log CFU/g, sesame leaves 3.15~5.23 log CFU/g, cucumber 5.00~5.79 log CFU/g, cherry tomato 2.96~5.40 log CFU/g, paprika 1.30~3.52 log CFU/g. In the comparison of the microbiological quality betwee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ordinary agricultural vegetables, their acceptable ratio was the same (81.3%) and the mean aerobic plate cou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mparison of the microbiological quality between the leafy vegetables and the fruity vegetables, the fruity vegetables had a 100% acceptable ratio regardless of the agricultural method used to grow them, while the leafy vegetables had an acceptable ratio of 70%. In terms of the aerobic plate counts, the leafy vegetables had significantly higher counts; the leafy vegetables 5.87${\pm}$1.18 log CFU/g, the fruity vegetables 4.12${\pm}$1.54 log CFU/g.

이상기상 조건이 배추의 생육 및 세포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th and Cellular Tissue under Abnormal Climate Condition in Chinese Cabbage)

  • 이상규;최장선;최준명;이희주;박수형;도경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7-90
    • /
    • 2013
  •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는 지난 30년동안 평균기온이 $0.7^{\circ}C$, 겨울철에는 $1.4^{\circ}C$가 상승하였다. 이러한 온난화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이상기상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채소작물에 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노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고추, 배추 및 무는 온난화로 인하여 정식시기를 점점 앞당겨 정식후 갑작스런 저온이 오면 이들 작물의 피해가 크다. 따라서 본 실험은 저온에 따른 배추의 생육특성과 엽 세포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춘광' 배추품종을 화분에 정식한 후 노지 처리구, 무가온 하우스 및 가온하우스 처리구 등 3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정식후 50일의 생육은 노지처리구의 초장, 엽수, 엽록소 및 엽면적이 가온 처리구에 비해서 현저하게 떨어졌고, 특히 생체중의 경우에는 가온 처리구에 비해서 노지와 무가온 하우스 처리구가 1/3 수준으로 현저하게 낮았다. 배추의 잎이 10매 정도 생육이 되었을 때 저온에 따른 배추 잎의 피해증상은 영하 $3.0^{\circ}C$ 조건에서는 배추 겉잎에 약간의 수침증상을 보였으나 회복되었다. 그러나 영하 $7.4^{\circ}C$ 조건의 배추 잎은 수침증상이 심하였으며 회복되지 못하고 황색으로 변하면서 결국 잎이 고사하였다. 피해받은 잎의 엽육세포는 영하 $3.0^{\circ}C$ 조건에서는 울타리조직과 해면조직이 약한 붕괴증상을 보였지만 어느정도 형태를 갖추고 있었는데, 영하 $7.4^{\circ}C$ 조건에서는 세포가 동결된 후 해동되는 과정에서 세포의 막구조가 파괴되어 울타리조직과 해면조직이 완전히 붕괴되었기 때문에 세포 형태를 갖추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배추 정식후 초기 생육 단계에서 영하 $3^{\circ}C$까지는 비닐이나 부직포로 보온, 토양수분 조절, ABA 처리를 하여 동해를 예방할 수 있으나 영하 $7^{\circ}C$의 저온이 발생하면 세포가 파괴되어 회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시 심거나 또는 다른 작물로 대체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안정화제가 청경채의 초기 생육과 중금속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Amendments on the Early Growth and Heavy Metal Accumulation of Brassica campestris ssp. Chinensis Jusl. in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 김민석;구남인;김정규;양재의;이진수;박관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61-96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6 종류의 안정화제의 중금속 안정화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생물학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12 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한 스크린 실험에서 청경채를 선발하여 이를 안정화제 평가에 사용하였다. 식물 독성실험 결과 농용석회와 제강슬래그는 청경채의 뿌리 신장에, 백운석은 지상부 신장에 각각 악영향을 주었다. 화학적 평가 방법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평가 방법을 고려하였을 때에는 AMD 슬러지가 가장 추천되어질 만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토양 환경과 청경채의 특수성 때문에 위 결과를 일반화 하는 것은 어려우며 명확한 결과 도출을 위해서 재배기간의 조정과 추가적인 화학 침출 평가 방법 등이 필요해 보인다.

녹비작물-양배추 작부체계에서 양배추 수량증대 효과 및 경영성과 분석 (The farm management analysis of the effect of yield increase and economic efficiency of cropping system on green manure crops - cabbage in the plastic house)

  • 박승용;황광남;조현숙;안종웅;이용환;박정화;박평식;임영택;한희석;이동철;유홍섭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4호
    • /
    • pp.785-791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farm management and productivity increase of cabbages growing in the plastic house based on application of green manure crops such as silage corn, haussolgo (Sorghum bicolar L. Moench), hairy vetch, etc. According to the effect of green manure crop grown in summer season, the biomass amount of the silage corn was the highest; 7,630 kg per 10a, the next was haussolgo, 5,620 kg per 10a. In terms of the fertilizer ingredients, the first of forage soybean was 3.84% of nitrogen, whereas hairy vetch was 1.74% of phosphate and kalium, 4.74%. Productivity increase of cabbages was the highest in the haussolgo plot of which the yield of showed 10,090 kg per 10a and the farm household income would be worth 8,053 thousand won. By growing forage crops in the winter season, the biomass amount was the highest in the mixed sowing plot with rye (50%) and hairy vetch (50%) of 3,590 kg per 10a, whereas the productivity in the mixed seeding with rye (70%) and hairy vetch (30%) was highest, 6,249 kg per 10a and the farm household income would be worth 7,387 thousand won. Judging from these results, more practical on-farm research on applying different green manure crops as a basal fertilizer with cabbage in the plastic house should be considered to analyze the farm management and the farm household income at different sites.

정식시기와 질소시비 수준에 따른 봄배추의 생육량 추정 (Prediction of Chinese Cabbage Yield as Affected by Planting Date and Nitrogen Fertilization for Spring Production)

  • 이상규;서태철;장윤아;이준구;남춘우;최장선;여경환;엄영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1-275
    • /
    • 2012
  •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상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배추 등 일부 채소작물의 저온 및 고온 등으로 인하여 생산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상기상 조건 발생시 사전에 생산량을 예측하면 수급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은 기상이변에 따른 봄배추의 생육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정식시기와 질소시비량을 달리하여 생육인자간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정식시기별 최종 생육은 4월 15일과 4월 22일 정식 처리에서 건물중이 각각 168g과 139g으로 타 시기에 비해 높았으며, 질소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기후인자 온도, 일사량, GDD, 그리고 생육인자 엽수, 지상부생체중, 지상부건물중 등의 편상관분석 결과,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DD와 엽수, GDD와 지상부 건물중의 분포를 측정한 결과, 질소시비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3차함수로 다항회귀식을 구한 결과, 엽수$(y)=-0.0000004x^3+0.0004x^2+0.0225x+5.4045$($R^2$=0.9818), 지상부건물중$(y)=-0.0000008x^3+0.001x^2-0.0958x+0.3426$($R^2$=0.9584)로 나타났다. 따라서 봄배추 생육기간중에 GDD 측정만으로도 봄배추의 지상부 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시근교지역(都市近郊地域)의 채소(菜蔬)에 대(對)한 중금속(重金屬) 오염(汚染)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엽근채류(葉根菜類)의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에 미치는 재배시기(栽培時機), 매립후(埋立後) 경작연도(耕作年度)의 영향 (Studies on the Pollution of Heavy Metal in Vegetable Crops Grown in Suburban Areas;Part I. Influence of Planting Time and Age of Reclaimed Fields 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Leafy and Root Vegetable Crops)

  • 박권우;황선구;김영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17
    • /
    • 1983
  • 도시근교(都市近郊)의 중김속오양(重金屬汚梁)의 실태(實態)를 조사(調査)하고져 일차적으로 엽근채류(葉根菜類)인 상치, 쑥갓, 잎파, 배추, 무(4개품종(個品種))를 선정하여 식물(植物)의 부위(部位), 재배시기(栽培時期) 그리고 매립후(埋立後)의 경작년도(耕作年度)에 따라 중김속(重金屬)(Zn, Cu, Pb, Cd)의 함양(含量)을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기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1) 무우와 잎파는 뿌리에 높은 함량을 보이는 반면, 배추와 쑥갓에서는 잎에 중김속함량(重金屬含量)이 높았다. 2) 상치의 경우 겨울에 중김속함량이 가장 높았고 봄과 가을간(間)에는 차리(差異)가 없었다. 무우(잎)와 시금치는 봄과 가을만 조사(調査)했는데 이들 상호간(相互間)에는 함량(含量)의 차리(差異)가 없었다. 3) 매립후(埋立後) 1,3,5년된 땅에서 상치를 재배(栽培)하여 중김속(重金屬)의 함량(含量)을 비교(比較)한 결과 차리(差異)를 발견(發見)치 못했다. 4) 조사(調査)된 중김속(重金屬)의 합량(合量)은 인체에 위험하지는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