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ildlife Habitat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ir Quality Deterioration in a Pristine Area due to a Petroleum Refinery and Associated Activities

  • Handique, Devolakshi;Bhattacharyya, Krishna G.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1권4호
    • /
    • pp.254-269
    • /
    • 2017
  • The work describes an assessment of the major air pollutants, $NO_2$, $SO_2$, CO, $O_3$, $NH_3$, coars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PM_{10}$, $PM_{2.5}$) in ambient air in and around a 3 million tonne Petroleum Refinery and the possible impacts on a pristine area marked by the presence of the world-famous Kajiranga National Park, a world heritage site and habitat for the most number of one-horned rhinos in the world. The Refinery is at an aerial distance of 20-25 km from the wildlife habitat. The assessment is based on regular monitoring at four stations around the Refinery and one station near the National Park. Heavy rains during June to August influence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while at other times of the year, large traffic volume adds to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that peak during November to March, the dry months of the year. Correlation analysis by scatter technique is utilised to obtain the enhancement ratios to predict the variations in the concentrations of the pollutants and their spatial distribution. Computation of air quality index (AQI) indicates that the coarse and the fine particulates in the ambient air could be a major hazard to wildlife in the area.

도시하천(都市河川)을 이용(利用)한 도시림간(都市林間) 생태통로(生態通路) 조성(造成) 기본계획(基本計劃) (Eco-corridor Master Plan Connecting Urban Forests via the Urban Stream)

  • 강병선;이규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6-45
    • /
    • 2001
  • Natural disturbances and human development can cause habitat fragmentation. Plant and wildlife can become isolated, and habitat fragmentation and shrinkage have been recognized as a key issue facing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However, eco-corridors can alleviate the problem by providing linkages between isolated patch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the eco-corridor for connecting urban forest via the urban stream with low cost and to restore the eco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alco subbuteo, and Dryocopus martius inhabit in the study site. They are protected species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Thus the study site should be preserved as urban wildlife habitat species biodiversity (2) If the biodiversity of the study site is maintained properly, the eco-corridor can be constructed with low cost.

  • PDF

우리나라 야생동물의 도로치사에 관한 연구 -중앙고속도로의 동물치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Wildlife Roadkill in Joongang Highway)

  • 이상돈;조희선;김종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13권1호
    • /
    • pp.21-31
    • /
    • 2004
  • Construction of highway would influence wildlife habitat being fragmented and deteriorated. It is inevitable to observe the death of animals that are killed by vehicles. Nonetheless the cause and status of animal roadkill have not been studied, and this study first attempted to analyze the roadkill in major highway in Korea. We collected 860 individuals of dead animals in Joongang Highway during 1996-2003. Among them Korean hare(Lepus sinensis) was totaled in 165 individuals(19.2%) with the highest figure; Korean racoon dog(Nyctereutes procyonoides) was 146(17.0%); Korean squirrel(Sciurus vulgaris) 56(6.5%); Korean roe deer(Capreolus capreolus) 26(3.0%). Domestic animals was totaled in 232 individuals(27.0%); domestic dog(Canis familiairis) 25, and domestic cat(Catus felis) 207. This study also categorized habitat as mountain-mountain, mountain-plain, mountain-river, plain-plain, plain-river, river-river in each side of the road. Habitat of mountain-plain was the heightest with 296(38.9%) individuals followed by mountain-mountain with 263(34.6%). This indicates that wild animals associated with mountain habitat was most influenced by the construction of roads. This study implied that we should mitigate the roadkill by designing artificial construction such as eco-bridge, fences along the sideway, and boxes under the highway, underdrain structure, etc. The monitoring and cause of habitat fragmentation with GIS approach should be followed to reduce the roadkill.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한 생태통로의 생태 현황과 개선 방안 (Ecological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 of a Wildlife Road-Crossing Structure at the Jingmaei-Pass in Incheon, Korea)

  • 김진경;조형진;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3호
    • /
    • pp.169-176
    • /
    • 2016
  • 도로가 서식지 파편화를 초래하는 주요인이라고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에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는 격리된 서식지 사이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해결방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된 야생동물 생태통로에서 보전 가치와 생태적 효율성을 평가하고 적응관리를 위한 대책을 제안하기 위하여, 생태통로에서 소음 교란도, 식생 구조 및 야생동물의 이동과 서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지인 징매이고개 생태통로에서는 도로 차량으로부터의 소음 교란이 적절하게 차단되지 않고 있었다. 생태통로 식생에서는 단풍잎돼지풀, 개망초, 칡, 찔레꽃 등과 같은 천이초기종이 번성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식생 천이를 촉진하고 동물 서식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식생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태통로에서 족적과 폐쇄회로 티비로 야생동물을 조사한 결과, 등줄쥐, 너구리, 두더지, 청솔모 등의 제한된 포유류가 이동통로로 이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징매이고개 생태통로는 현재 소음 간섭과 교란 식생의 번성으로 생물 이동통로로서의 적적한 기능을 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로서 기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동물 서식과 이동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 요구된다.

등줄쥐의 육교형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환경 특성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Use of Wildlife Bridge by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ius))

  • 정기영;이지훈;모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37-346
    • /
    • 2023
  • 도로 건설로 인한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저감방안으로 육교형 생태통로가 건설되고 있기는 하지만 효과성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쟁이 있다. 생태통로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족적트랩, 카메라트랩과 같은 모니터링 방법이 실시되고는 있으나 얼마나 많은 개체가 이용하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통로와 인근 지역을 서식지로 이용할 가능성이 큰 소형포유류인 등줄쥐를 대상으로 포획-재포획 방법으로 개체 위치 파악을 통해 생태통로 이용 정도를 도출하고, 트랩 주변 환경 특성을 이용하여 등줄쥐의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등줄쥐의 생태통로 이용도는 격자단위의 포획지점을 연결하여 이동 거리와 경로를 확인하였고,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환경 특성은 트랩당 포획 횟수를 종속변수로 한 일반화 선형 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등줄쥐의 이동 거리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생태통로를 횡단하는 개체가 나타나지 않음에 따라 등줄쥐는 생태통로를 통로보다는 서식지로 이용함을 확인하였다. 등줄쥐가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데 영향을 미친 환경 특성은 층위별 식생피복량(1~2m, 2~8m, 8m 이상), 교목식생, 트랩 주변 최대 수목 흉고직경, 경사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생태통로 조성 시 더 많은 교목과 관목을 식재하고, 높은 경사와 절토사면 생성을 방지하여 생태계 내 먹이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등줄쥐 이용도를 높인다면 생태통로의 효과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GIS에 의한 3차원 동물서식도 제작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Animal's Habitat Map by GIS)

  • 박준규;김민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4-62
    • /
    • 2011
  • 현재 세계에 밝혀진 생물종은 160만여 종으로 한국에 밝혀진 자생종은 3만여 종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한국 국립공원 생물종은 1만5천여 종에 이르고 있다. 이 중 한국 국립공원내 멸종위기종은 133종으로 전체 멸종위기종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보호와 관리를 위해 실질적인 분포와 이들의 서식지 관계에 대한 것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국립공원 내에 분포하는 동물 개체군을 대상으로 GIS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 서식지를 등록하고, 3차원 서식도를 제작함으로써 국립공원에 서식 중인 동물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식물보호단 동물좌표 파일과 국립공원 경계 폴리곤파일 및 ASTER GDEM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서식도를 제작하였다. 최신의 지형정보와 서식지정보의 융합을 통해 구축된 새로운 개념의 동물서식도는 향후, 동물의 종별 보호 관리 계획 및 서식지 보호 계획 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전문조사원 경험에 의한 야생동물 서식지 예측모형 - 대천천.청라댐 유역을 대상으로 - (Wildlife Habitat Prediction Model based on Specialist's Experience - A Case Study of Daecheoncheon.Cheongradam -)

  • 장래익;이명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3-403
    • /
    • 2014
  • 본 연구는 2011년에 수행된 충청남도 보령시 도시생태현황지도(biotopemap)에서 도출된 정보를 활용하여 야생동물 조사지점을 선정하는 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 활용된 정보는 야생동물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으로부터 도출되었으며 6가지 환경변수(Outside distance from food vegetation, Outside distance from farm land, Outside distance from forest, Human density, Outside distance from road, Outside distance from water)로 구현되었다. 6개의 환경변수는 도면중첩방법으로 모형화 되었으며 모형은 출현정보와 비교한 결과 94.72%의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출현이 많을 것으로 예측된 지역은 농촌지역 산림 계곡부 였으며 조사범위의 한계(면적, 일정, 예산)속에서 양질의 야생동물 조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산림내부가 제외되어있는 점, 모든종이 같은 서식지를 선호하지 않는 다는 점 등의 한계점을 갖고 있었으며 추후 이 부문에 대한 후속연구들이 필요하다.

고속도로 생태통로 위치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경부 고속도로 양재-판교 구간을 중심으로 - (Approach to the Location of Wildlife Corridors on Highways - Between Yang-jae and Pan-gyo ICs of Seoul-Busan Highway, Korea -)

  • 신수안;안동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27
    • /
    • 2008
  • Ecosystem fragmentation by human intervention breaks down the biosphere habitat. Wildlife corridors connect biosphere habitats to maintain ecosystem continuity and provide animals with connecting routes. In Korea, there are 17 existing wildlife corridors on highways (as of December, 2006. Korea Freeway Corporation). There are 24 highway routes, 2,923km of highway(as of December, 2004. Korea Freeway Corporation). However, wildlife corridors are not enough and roadkill increases every year, so we need to construct additional wildlife corridors on highways. This study proposes a new approach to the location of wildlife corridors on highways, using a comprehensive analysis method for main location elements, and applies it to a study area. First, it examines traditional approaches to location of wildlife corridor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tudy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f existing wildlife corridors. Then, it developes a comprehensive analysis method for the location of wildlife corridors. (1) Field investigation : investigate planting, water bodies and so on. (2) Roadkill analysis : roadkill counts, locations, time, and so on. (3) Monitoring : animal traces were surveyed and sensor cameras were installed to determine target species. (4) Simulation for animal movement : most probable wildlife dispersal was simulated by a computer software. (5) A new comprehensive approach overlays all analysis on a map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proposed new wildlife corridors. In conclusion, it proposes an over-bridge type wildlife corridor in Dalnaenae Hill (413-414km from Busan) and an underpass type near the entrance to Gwanhyun temple way (415-416km from Busan). This new approach based on roadkill data, computer simulation of wildlife dispersal, monitoring of animals, and site analysis, may contribute to better location of wildlife corridors on highways.

지리산 지역의 생물종 분포모형 구축 및 종풍부도 평가 (Develop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valuation of Species Richness in Jirisan region)

  • 권혁수;서창완;박종화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18
    • /
    • 2012
  • 생물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등 생물자원에 대한 공간적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야생동물의 서식지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자료의 수집 및 모형화의 기법 연구와 생물종풍부도를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분포모형을 위해 사용된 GAM (Generalized Additive Model)으로 기존의 중첩 분석이나 GLM (Generalized Linear Model)에 비해 환경변수와 반응변수의 관계가 명확하고 이에 따른 해석이 용이하다. 본 연구대상지로는 국립공원, 경관생태보호구역, 수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리산, 백운산, 섬진강을 포함하고 있는 유역을 선정하였다. 대상유역의 토지피복에 따라 층화추출을 통하여 야생동물(포유류와 조류)의 출현/비출현 형태의 현장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야생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사회 경제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각 종에 대한 서식지이용분석과 주요서식인자를 확인한 후, 출현/비출현 모형을 통해 서식지적합성모형을 개발하고, 개별 종에 대한 서식지적합성지도 작성하였다. 서식지 적합성지도를 산술 합산하여 분류군별(포유류, 조류) 종풍부도, 통합종풍부도를 작성하였다. 개별 종 서식지의 주요인자는 서식지선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고라니나 박새와 같은 몇몇 종들은 저지대에 분포하나, 대부분의 포유류나 조류의 잠재서식지는 국립공원 경계구역이나 중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부에서 수행하는 생물다양성의 평가, 보호지역의 지정 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도승마(Kirengeshoma koreana Nakai) 생태정보 수집 및 서식지 평가 (Ecological Data Collection and Habitat Assessment of Kirengeshoma koreana Nakai)

  • 장래하;김선령;도재화;윤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21-234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bitat assessment system for the endangered wildlife II Kirengeshoma koreana Nakai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based on field survey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rough spatial data analysis and literature research. Evaluation fac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31 variables for 23 K. koreana habitats. Afterwards, the importance and evaluation range for each assessment factor were selected. The selection of survey variables, assessment factors, importance of each factor and assessment range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t each stage. As a result, the assessment factors and importance were 16% for precipitation of the wettest month, 10% for vegetation zone, 12% for vegetation type, 10% for crown canopy vitality, 14% for tree layer coverage, 13% for drainage grade, 12% for soil depth, and 13% for distance to stream including dry stream. This study provides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and a habitat assessment system for K. koreana habitats. Therefore,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preparing an endangered wildlife conservation policy, preparing a habitat improvement plan, and selecting an alternative habit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