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valuation of Species Richness in Jirisan region

지리산 지역의 생물종 분포모형 구축 및 종풍부도 평가

  • 권혁수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 서창완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 박종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2.05.23
  • Accepted : 2012.09.20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Increasing concern about biodiversity has lead to a rise in demand on the spatial assessment of biological resources such as biodiversity assessment, protected area selection, habitat management and restoratio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species richness map through data collection and modeling techniques for wildlife habitat assessment. The GAM (Generalized Additive Model) is easy to interpret and shows better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a response variable than an existing overlap analysis and GLM (Generalized Linear Model). The study area delineated by a large watershed contains Jirisan national park, Mt. Baekun and Sumjin river with three kinds of protected areas (a national park, a landscape ecology protected area and an otter protected area). We collected the presence-absence data for wildlife (mammals and birds) using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based on a land cover in the study area and implemented natural and socio-environmental data affecting wildlife habitats. After doing a habitat use analysis and specifying significant factors for each species, we built habitat suitability models using a presence-absence model and created habitat suitability maps for each species. Biodiversity maps were generated by taxa and all species using habitat suitability map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each species habita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abitat selection. Although some species like a water deer or a great tit were distributed at the low elevation, most potential habitats for mammals and birds were found at the edge of a national park boundary or near a forest around the medium elevation of a mountain range. This study will be used for a basis on biodiversity assessment and proected area selection carried out by Ministry of Environment.

생물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등 생물자원에 대한 공간적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야생동물의 서식지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자료의 수집 및 모형화의 기법 연구와 생물종풍부도를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분포모형을 위해 사용된 GAM (Generalized Additive Model)으로 기존의 중첩 분석이나 GLM (Generalized Linear Model)에 비해 환경변수와 반응변수의 관계가 명확하고 이에 따른 해석이 용이하다. 본 연구대상지로는 국립공원, 경관생태보호구역, 수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리산, 백운산, 섬진강을 포함하고 있는 유역을 선정하였다. 대상유역의 토지피복에 따라 층화추출을 통하여 야생동물(포유류와 조류)의 출현/비출현 형태의 현장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야생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사회 경제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각 종에 대한 서식지이용분석과 주요서식인자를 확인한 후, 출현/비출현 모형을 통해 서식지적합성모형을 개발하고, 개별 종에 대한 서식지적합성지도 작성하였다. 서식지 적합성지도를 산술 합산하여 분류군별(포유류, 조류) 종풍부도, 통합종풍부도를 작성하였다. 개별 종 서식지의 주요인자는 서식지선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고라니나 박새와 같은 몇몇 종들은 저지대에 분포하나, 대부분의 포유류나 조류의 잠재서식지는 국립공원 경계구역이나 중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부에서 수행하는 생물다양성의 평가, 보호지역의 지정 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 2003, 지리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2. 권혁수, 2011, 보호지역계획을 위한 생물다양성 통합평가모형; 지리산과 덕유산, 가야산 권역을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 김원주, 박종화, 김원명, 1998, 멧돼지 서식지 적합성 분석 모형개발; 점봉산, 설악산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GIS학회지, 제6권, 2호, pp. 247-256.
  4. 박종화, 명수정, 박영임, 1993, GIS 및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북한산국립공원 주변부의 추이대 탐지, 한국GIS학회, 제3권, 2호, pp. 91-102.
  5. 서창완, 박유리, 최윤수, 2008a, 위치자료의 종류에 따른 생물종 분포모형 비교 연구, 제16권, 4호, pp. 59-64.
  6. 서창완, 최태영, 최윤수, 김동영, 2008b, 설악산 산양을 대상으로한 야생동물 서식지 적합성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제11권, 3호, pp. 28-38.
  7. 서창완, 박종화, 2000, GIS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멧돼지 서식지 모형 개발. 한국GIS학회지, 제8권, 1호, pp. 85-99.
  8. 성남시, 2004, 비오톱 등급평가 및 도시생태현황도 GIS 구축, 성남시
  9. 이동근, 송원경, 2008, 삵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위한 분석단위 설정 및 보전지역 선정-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제36권, 5호, pp. 64-72.
  10. 이슬기,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이우성, 2010, GIS를 이용한 산림성 조류의 서식지 예측 모형 및 지도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3권, 1호, pp. 62-73.
  11. 이희연, 1989, 지리통계학, 서울: 법문사
  12. 임신재, 이우신, 박성진, 이은재, 이주영, 김민진, 강정훈, 2007, 임도와 산림지역의 조류군집 특성비교, 한국조류학회, 제14권, 1호, pp. 1-8.
  13. 최태영과 박종화, 2004, 설악산 국립공원 내 산양(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의 잠재 서식지 적합성 모형: 다기준 평가기법(MCE)과 퍼지집합(Fuzzy Set)의 도입을 통하여, 한국조경학회지, 제32권, 6호, pp. 23-35.
  14.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환경부.
  15. Anon, 1999, S-PLUS 2000 Guide to Statistics, Vol. 1. MathSoft, Seattle, WA.
  16. Elith, J., C. H. Graham, R. P. Anderson et al., 2006, Novel methods improve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s from occurrence data, Ecography, Vol. 29, No. 2, pp. 129-151. https://doi.org/10.1111/j.2006.0906-7590.04596.x
  17. Franklin, J., 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Kremen, C., A. Cameron, A. Moilanen et al. 2008, Aligning conservation priorities across taxa in Madagascar with high-resolution planning tools. Science, 320, pp. 222-226. https://doi.org/10.1126/science.1155193
  19. Lehmann, A., J. M. Overton, and J. R. Leathwick, 2002, GRASP: Generalized Regression Analysis and Spatial Prediction. Ecological Modelling, Vol. 15. pp. 189-207.
  20. Li, W. J., Z. J. Wang, Z, J. Ma and H. X. Tang. 1999. Designing the core zone in a biosphere reserve based on suitable habitats: Yancheng Biospere Reserve and the red crowned crane(Grus japonensis), Biological Conservation, Vol. 90. pp. 167-173. https://doi.org/10.1016/S0006-3207(99)00028-2
  21. Newbold T., 2010, The value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s a tool for conservation and ecology in Egypt and Britain., PhD. thtsis, University of Nottingham
  22. Pearson R. G., C. J. Raxworthy et al., 2007,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s from small numbers of occurrence records: a test case using cryptic geckos in Madagascar, Journal of Biogeography, Vol, 34, pp. 102-117.
  23. Rho, P., 2009, Use of GIS to Develop a Multivariate Habitat Model for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Mountainous Region of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Vol. 32, pp. 229-236. https://doi.org/10.5141/JEFB.2009.32.4.229
  24. Rodrigues, A. S. L., S. J. Andelman, M. I. Bakarr et al., 2004, Effectiveness of the global protected area network in representing species diversity. Nature, Vol. 428, pp. 640-643. https://doi.org/10.1038/nature02422
  25. Scott, J. M., F. Davis, B. Csuti et al., 1993, Gap analysis: a geographical approach to protection of biological diversity, Wildlife Monographs, Vol. 123, pp. 1-41.
  26. Thorn, J. S., V. Nijman, D. Smith and K. A. I. Nekaris, 2009, Ecological niche modelling as a technique for assessing threats and setting conservation priorities for Asian slow lorises (Primates: Nycticebu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Vol. 15. pp. 289-298. https://doi.org/10.1111/j.1472-4642.2008.00535.x
  27. Thuiller, W., 2003, BIOMOD: optimizing predictions of species distributions and projecting potential future shifts under global change, Global Chnage Biology, Vol. 9, pp. 1353-1362. https://doi.org/10.1046/j.1365-2486.2003.00666.x

Cited by

  1.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of Endangered Mammals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 Focused on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 vol.17, pp.1, 2014, https://doi.org/10.13087/kosert.2014.17.1.111
  2. Applying Ensemble Model for Identifying Uncertainty i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s vol.22, pp.4, 2014,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4.047
  3. A nationwide analysis of mammalian biodiversity hotspots in South Korea vol.23, pp.6, 2014, https://doi.org/10.14249/eia.2014.23.6.453
  4. A Comparative Study on Species Richness 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 Focused on city in Boryeong - vol.24, pp.1, 2015, https://doi.org/10.14249/eia.2015.24.1.35
  5. 공간스케일 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평가 -강원도 백두대간 보호구역을 대상으로- vol.30, pp.1, 2012, https://doi.org/10.7747/jfs.2014.30.1.91
  6. 기후변화에 의한 눈잣나무의 서식지 분포 예측 vol.23, pp.5, 2014, https://doi.org/10.14249/eia.2014.23.5.379
  7. 서식지적합성 모형을 이용한 수변지역 양서류 서식지 분석 vol.24, pp.2, 2012, https://doi.org/10.14249/eia.2015.24.2.175
  8. Microhabitat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occurrence and diversity of queen hornets (genus Vespa) in an urban green area vol.16, pp.2, 2012, https://doi.org/10.1007/s11355-020-00415-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