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ole Wheat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4초

쌀가루의 특성에 따른 스폰지 케이크의 제빵성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Rice Flours on Characters of Sponge Cake)

  • 김명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71-378
    • /
    • 1992
  • 미분의 품종별(한강 찰벼, 추청 일반벼, 태백 통일벼), 제분 방법별(건식제분, 습식제분), 입도별(whole, 60mesh 이상, 100mesh 이상)등 미분의 특성이 스폰지 케이크의 제빵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50^{\circ}C$에서 34분간 굽는 동안 반죽의 높이는 14~18분경 최대에 달했으며 그후 점차 감소하였다. 구운지 1일후 케이크의 높이는 반죽의 최대높이의 6~50%로 감소하였다. 굽는 과정중 반죽 내부의 온도는 서서히 증가하여 8~10분경 그 증가율이 가장 컸으며, 이때의 온도는 $60^{\circ}C$전후이었다. 100g의 반죽으로 만든 케이크의 체적은 제분 방법이나 미분의 입도에 따른 차이가 없이 밀가루로 만든 케이크 체적 100에 대하여 89~95로서 미분 100% 케이크 제조가 가능하였다. 한강의 체적은 80으로서 구운후 수축이 심하였다. 케이크의 경도는 미분의 종류, 미분의 입도에 무관하게 습식제분의 케이크가 건식제분의 것보다 낮았다. 태백의 건식제분 100mesh로 제조된 케이크의 경도와 응집성은 밀가루 스폰지 케이크에 근사하였다. 케이크의 관능검사 결과 texture나 맛면에서 전반적으로 건식제분보다는 습식제분의 케이크가 월등히 우수하였다. 특히, amylopectin 함량이 낮은 태백의 습식제분으로 제조된 케이크는 미분의 입도와는 관계없이 밀가루로 만든 것보다 관능평가 결과가 우수하였다.

  • PDF

사료 제조에서 발효 가능한 탄수화물 이용과 가금 사료에서 효소의 처리에 관한 연구 (Utilization of Fermentable Carbohydrates in Feed Manufacturing and in Enzyme of Poultry Feed)

  • 남기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9-248
    • /
    • 2006
  • 발효가 가능한 탄수화물을 이용하거나 효소 이용 및 사료가공 등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길은 닭의 분중 휘발성 유가물질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전분질의 소화는 가루사료를 (밀과 보리) 알곡으로 대치하게 하였다. 그러나 근위의 pH로 볼 때 사료의 종류나 형태는 연속성이 떨어진다. 펠렛으로 만든 사료는 사료 요구율이 $0\siml2%$ 증진된다. 전분질의 소화는 xylase를 첨가하였을 때 대사 에너지(ME) 가는 35% 증진 효과가 잇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분질의 이용과 전분질이 아닌 다당류(NSP)의 이용은 전분질을 포함한 알갱이 사료의 존재 즉 비 영양소 물질(ANF)의 포함 여부에 달려 있다. 사료 생산 기술의 증가는 $33^{\circ}C$에서 만들어지는 펠렛 사료에 이용될 수 있는 건조된 상태의 효소나 액체상태의 효소 생산 기법에 달려 있다. 수용성 NSP나 arabinoxylans 또는 beta-glucan 등은 부분적으로 효소 가격이 크기로 나누어지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적은 크기는 수분 흡수력이 감소되어야 하는데 만약 수분 흡수력이 지나치면 소화물에 수분이 너무 많아지게 되어 분에 수분 함량이 많아지며 사료 곡물 중에 비스코시티 현상이 생겨서 계란 껍질이 지저분해진다.

시금치에서 Polyamine에 의한 카드늄의 산소방출억제 경감효과 (Polyamine Alleviates Inhibition of O2 Evolution by Cd for Spinich)

  • 김태완;이주영;이용세;황선웅;윤영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7-252
    • /
    • 2000
  • 카트뮴은 잎과 엽록체내 폴리아민함량을 증가시키지만 틸라코이드와 광포집체II내에서는 증가효과가 없었다. 카드뮴에 의해 새로 생합성된 폴리아민은 스트로마공간상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였다. 폴리아민은 이미 포화되더라도 틸라코이드막에 결합하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엽록체내 putrescine과 spermine은 잎세포내에서 보다 각각 36배와 20배 적었던 반면 agmatine은 3.7배 적었다. 카드뮴의 산소방출 억제효과는 0.2mM spermine 첨가로 현저히 완화되었다. 폴리아민은 또한 시금치 틸라코미드에서 0.5mM 농도이하에서 산소방출을 촉진하였다. 이러한 촉진효과는 동일농도에서 단자엽보다는 쌍자엽에서 2배정도 높았다. 더욱이 쌍자엽 밀에서 상승효과는 putrescine보다는 agmatine처리에서 오히려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단자엽과 쌍자엽 식물간에 폴리아민의 산소방출 과정에서 다른 효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어장유의 속성발효와 동력학적 고찰 (Rapid Fermentation of Fish Sauce and Its Kinetics)

  • 김병삼;박상민;최수일;김장양;한봉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19
    • /
    • 1986
  • A study on the rapid fermentation of fish sauce has been carried out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sardine. The frozen sardine was thawed at room temperature, chopped, homogenized with equal amount of water and then hydrolyzed by addition of commercial proteolytic enzymes such as bromelain, papaya protease, ficin and a enzyme mixture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hydrolysis. The effect of wheat gluten for masking fishy odor and color development during thermal treatment were also tested. The reaction mixture was heated for 30 minutes at $100^{\circ}C$ for enzyme inactivation, pasteurization and color development and then centrifuged for 20 minutes at 4,000 rpm. Finally, table salt and benzoic acid were added for bacteriostatic effec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hydrolyzing temperature, time, pH and the concentration of enzymes based on the weight of whole sardine for optimal hydrolysis were as follows: autolysis, $52.5^{\circ}C$, 4 hours, pH 8.0: with $0.25\%$ bromelain, $52.5^{\circ}C$, 4 hours, pH 6.6 :with $0.25\%$ ficin, $52.5^{\circ}C$, 4 hours, pH 6.8: with $0.3\%$ papaya protease, $52.5^{\circ}C$, 4 hours, pH 6.6: with $6\%$ enzyme mixture, $52.5^{\circ}C$, 4 hours, pH 6.9, respectively. But pH control was not much beneficial in increasing yield. 2. The hydrolytic reaction of chopped sardine with proteolytic enzymes could be interpreted as a first order reaction that devided into 2 periods with different reaction rate constsnts. $Q_{10}$ values of the first period prior to 4 hours were 1.23 to 1.31, and those of post 4 hours were 1.25 to 1.55. The corresponding activation energies were $1.81{\times}10^4\;to\;2.34{\times}10^4\;kJ/kmol$ and $1.92{\times}10^4\;to\;3.77{\times}10^4\;kJ/kmol$, respectively. 3. The reasonable amount of $75\%$ vital wheat gluten for addition was $9\%$ of chopped sardine. 4. The dark brown color was mainly developed during the thermal treatment for 30 minutes at $100^{\circ}C$ and not changed during storage.

  • PDF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L.)] 사육을 위한 경제적 인공사료 개발 (Development of Economical Artificial Diets for Greater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L.))

  • 이승욱;이동운;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85-392
    • /
    • 2007
  • 본 연구는 꿀벌부채명나방의 경제적 사육을 위한 인공사료 개발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격이 비싼 벌꿀을 대체하여 물엿과 설탕을 이용한 사료별 꿀벌부채명나방의 발육과 발육기간 및 산란수, 성충 수명 등을 조사하였다. 당 종류별 유충의 두폭과 체장은 비슷하였으나 체중은 1/2벌꿀 + 1/2물엿 처리가 255.5 mg으로 가장 무거웠고, 설탕은 144.3 mg으로 가장 가벼웠다. 꿀벌부채명나방 번데기의 체중도 1/2벌꿀+1/2물엿이 196.7 mg으로 가장 무거웠다. 당 종류별 꿀벌부채명나방의 유충 발육기간은 벌꿀이 포함된 사료가 30.9일로 가장 짧았으며 설탕은 36.5일로 가장 길었다. 꿀벌부채명나방의 용화율과 우화율은 79.3% 이상이었다. 모든 사료에서 꿀벌부채명나방의 교미 성충의 수명은 암컷이 $6.3{\sim}8.0$일이었고, 수컷은 $7.9{\sim}11.2$일이었다. 사료별 꿀벌부채명나방 암컷 성충의 산란수는 설탕물 첨가 사료에서 1,269개로 가장 많았다. 당 종류별 인공사료 조성에 대한 비용은 밀기울이 쌀겨보다 10배 정도 많았으며, 벌꿀은 물엿과 설탕의 6배와 13배였다.

논토양 비옥도에 따른 맥류 초종별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s and Yield of Wheat Species Depend on Soil Fertility in Paddy Field)

  • 주정일;이희봉;한옥규;송태화;지희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5-352
    • /
    • 2011
  • 축산농가의 밭 사료포는 농가에 따라 다량의 축분을 시용하는 경우가 있어 농가마다 사료포장의 토양비옥도 차이가 컸다. 따라서 본 시험은 토양 유기물함량의 차이가 총체맥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토양비옥도에 따라 적합한 총체맥류를 선정코자 하였다. 가. 이삭수는 보통지 대비 비옥지에서 증가되는 비율은 삼한귀리> 청우밀> 곡우호밀> 영양보리> 신영트리티케일 순으로 높았고, 척박지에서 감소되는 비율은 영양보리> 곡우호밀 > 청우밀 > 신영트리티케일 > 삼한귀리 순이었다. 전체적으로 토양비옥도에 따른 이삭수의 변화는 신영트리티케일이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변화가 적었다. 나. 척박지에서 총체수량이 높은 총체맥류는 신영트리티케일로서 청보리인 영양보리에 비하여 69% 증수되었다. 다. 신영트리티케일이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비옥지, 보통지, 척박지 모두 절대적인 건물 수량과 가소화 건물수량이 높았고, 다음은 청우밀이었으며, 곡우호밀이 가장 낮았다. 라. 토양유기물 함량에 따라 가소화건물수량이 증감에 대한 안정성 측면에서 본다면 비옥지에서는 삼한귀리와 영양보리가 증수효과가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고, 척박지에서는 신영 트리티케일과 청우밀에서의 감수율이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낮았다.

Effect of Graded Levels of Cottonseed Cake Supplementation on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Microbial N Yield of Growing Native (Bos Indicus) Bulls Fed Rice Straw

  • Chowdhury, S.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3호
    • /
    • pp.326-332
    • /
    • 2001
  • On a urea-molasses-straw (3:15:82; UMS) based diet effect of graded levels of cottonseed cake (CSC)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native (Bos indicus) bulls has been studied for 167 days. Eighteen growing bulls of $129{\pm}13.4kg$ weight and about 14 months old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design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having six animals in each treatment. Three dietary treatments were 0, 0.5 and 1.0 kg CSC per head/d. In addition, each animal also received ad lib. UMS, 4 kg Napier (Pennisetum purpureum) grass, 500 g of each of rice and wheat bran and 60 g mineral mix daily. For unit increase in CSC, total DM intake was increased by $1g/kg\;W^{0.75}/d$ but the straw DM intake decreased by $0.54g/kg\;W^{0.75}/d$. Whole gut digestibility of DM and OM was not effected but N and ADF digestibility increased with incremental increase in dietary CSC. For unit (1kg) increase in dietary CSC intake N and ADF digestibility increased by 10 (${\pm}1.155$) and 3 (${\pm}1.732$) unit respectively. Microbial N yield for the 0, 0.5 and 1.0 kg CSC were 5.63, 5.28 and 5.16 g/kg OM apparently fermented in the rumen respectively. For each gram increase in CSC, N intake and N balance increased by 0.626 (${\pm}0.015$) and 0.625 (${\pm}0.0814$) mg/kg $W^{0.75}/d$. High apparent N balance was contrasted with low live weight gain, e.g., for 1 kg increase in CSC supplementation, live weight gain increased by only 0.077 (${\pm}0.00288$) kg/d ($r^{2}=0.99$; p<0.01). The conversion efficiency was 12.98 kg CSC per kg of live weight gain. It was concluded that unless the protein is being protected from the rumen degradation, addition of CSC to UMS diet would have little nutritional or economic advantages.

계층분류 기법을 이용한 위성영상 기반의 동계작물 구분도 작성 (Satellite Imagery based Winter Crop Classification Mapping using Hierarchica Classification)

  • 나상일;박찬원;소규호;박재문;이경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2호
    • /
    • pp.677-68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기반의 동계작물 구분도 작성을 위한 계층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계층분류 기법은 입력 자료를 계층별로 정의하여 분류하는 방법으로 혼합 픽셀의 효과를 줄이고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북 김제시의 동계작물을 대상으로 Landsat-8 위성영상을 사용하였다. 먼저, Landsat-8 위성영상에서 스마트 팜 맵을 이용하여 농경지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농경지를 대상으로 시계열 식생지수를 사용하여 동계작물 재배지를 추출한 후, 최종적으로 무인기 영상에서 추출한 훈련자료를 활용하여 밀, 보리, IRG, 청보리 및 혼파 재배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계층분류 기법에 의한 동계작물 분류 정확도는 98.99%로 동계작물별 재배 필지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안된 분류방법은 작물구분도 작성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메밀채소의 생산성 및 채소적 가치 (Vegetable Value and Productivity of Buckwheat Seedlings)

  • Choi, Byung-Han;Park, Keun-Yong;Park, Rae-Kye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6-92
    • /
    • 1992
  • 최근들어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소비 형태가 점차 고급화됨에 따라 메밀의 어린 식물체와 종실은 건강 별미식품의 원료로서 수요량은 단속 증가될 전망이다. 엽채소용으로 이용되는 메밀의 어린 식물체는 30% 이상의 단백질과 500mg / 100g 이상의 Rutin과 상당한 양의 미네랄, 비타민 함유하여 단경기 재배시 녹채소의 수량은 파종량, 파종기, 재배환경 조건에 따라서 262~2,270 / 10a로 차이가 매우 컸으며 예상조수익도 52.4~183.5만원 / 10a이었다. 엽채소용 메밀의 육묘기간을 20, 25, 30일로 하였을 경우 육묘기간이 길수록 초장, 줄기의 굵기, 잎의 수와 크기가 증대되었다. 4배체품종 신주대메밀의 생체중은 2배체품종 수원재래와 신농001에 비하여 35%가 더 무거웠으며 엽육이 두껍고 잎이 커서 상품가치가 더 좋았다.

  • PDF

씨리얼바 제조 및 품질특성 (Development and Quality Properties of Cereal Bars)

  • 한상하;금준석;이현유;박종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5-240
    • /
    • 2005
  • 곡류의 기능성 소재를 바탕으로 칼로리가 낮고 조직감이 우수한 편의식 형태의 아침대용식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9가지 곡물(옥수수, 통밀, 멥쌀, 흑미, 현미, 수수, 발아현미, 검은콩, 율무)을 이용하여 선식형과 퍼핑형 씨리얼바 2종류를 제조하여 수분함량, 색도, 조직감 등의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씨리얼바의 제조는 9가지의 곡류 배합${\to}$부재료의 크림화${\to}$반죽${\to}$성형틀에 투입${\to}$굽기${\to}$냉각${\to}$견과류 토핑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수분함량은 선식형 씨리얼바가 $9.4\%$, 퍼핑형 씨리얼바가 $10.1\%$였으며 색도 측정 결과 L값은 퍼핑형이 선식형보다 높았으며 a값은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선식형의 씨리얼바가 가장 강했으며 b값은 시료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직감에 있어 경도는 선식형보다 퍼핑형이 더 컸으며 선식형 씨리얼바의 경우에 프럭토올리고당을 첨가한 군이 가장 경도가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인 바람직성에 있어서 퍼핑형 씨리얼바가 선식형 씨리얼바보다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