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owth Characters and Yield of Wheat Species Depend on Soil Fertility in Paddy Field

논토양 비옥도에 따른 맥류 초종별 생육특성과 수량성

  • Received : 2011.09.01
  • Accepted : 2011.11.03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Soil fertility different depend on application rate of manure and compost for many years. While each crop has different adaptability depend on soil fertility, crop and species or varieties should be chosen depending on the adaptability and productivity.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five winter cereal crops for whole crop silage on growth, yield and feed value as affected by soil organic content. The rate of increase on no. of spikes at high fertile soil compared with medium fertile soil was sequently high Samhan (Oat's variety) > Cheongwoo (Wheat) > Gogu (Rye) > Youngyang (Barley) > Shinyoung (Triticale). The rate of decrease at low fertile soil compared with medium fertile soil was sequently high Youngyang > Gogu > Cheongwoo > Shinyoung > Samhan. The triticale was lower variation of no. of spikes as affected by soil organic content than that of other winter cereals. The variations of dry matter yield as affected by soil fertility was higher oat and barley and lower triticale. Forage yield of triticale was higher about 69 percent than that of barley at low fertile soil. Forage yield was the highest in triticale and the lowest in rye in all soil fertility. In high fertile soil, rate of increasing digestible dry matter (DDM) yield compared with medium fertile was high in Samhan and Youngyang. Rate of reduced DDM yield in low fertile soil compared with medium fertile was low in Shinyoung and Cheongwoo.

축산농가의 밭 사료포는 농가에 따라 다량의 축분을 시용하는 경우가 있어 농가마다 사료포장의 토양비옥도 차이가 컸다. 따라서 본 시험은 토양 유기물함량의 차이가 총체맥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토양비옥도에 따라 적합한 총체맥류를 선정코자 하였다. 가. 이삭수는 보통지 대비 비옥지에서 증가되는 비율은 삼한귀리> 청우밀> 곡우호밀> 영양보리> 신영트리티케일 순으로 높았고, 척박지에서 감소되는 비율은 영양보리> 곡우호밀 > 청우밀 > 신영트리티케일 > 삼한귀리 순이었다. 전체적으로 토양비옥도에 따른 이삭수의 변화는 신영트리티케일이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변화가 적었다. 나. 척박지에서 총체수량이 높은 총체맥류는 신영트리티케일로서 청보리인 영양보리에 비하여 69% 증수되었다. 다. 신영트리티케일이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비옥지, 보통지, 척박지 모두 절대적인 건물 수량과 가소화 건물수량이 높았고, 다음은 청우밀이었으며, 곡우호밀이 가장 낮았다. 라. 토양유기물 함량에 따라 가소화건물수량이 증감에 대한 안정성 측면에서 본다면 비옥지에서는 삼한귀리와 영양보리가 증수효과가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고, 척박지에서는 신영 트리티케일과 청우밀에서의 감수율이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근, 정의수, 서 성, 김맹중, 이종경, 윤세형, 임영철, 조용민. 2008. 수확시기 및 품종이 총체 벼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초지조사료지. 28(1):29-34. https://doi.org/10.5333/KGFS.2008.28.1.029
  2. 권영업, 백성범, 허화영, 박형호, 김정곤, 이재은, 이충근, 신진철. 2008. 총체사료용 맥류의 생육시기 및 식물체 부위별 사료가치 변화. 한국작물학회지 53(2):144-149.
  3. 박근제, 김원호. 2002. 벼대체 논 사료작물 재배 및 이용기술.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pp. 39-91.
  4. 송태화, 한옥규, 윤성근, 박태일, 서재환, 김경훈, 박기훈. 2009.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수량 및 품질변화. 초지조사료학회지 29(2):129-136.
  5. 이점호, 정국현, 김홍렬, 양세준, 최해춘. 2000. 육성연대가 다른 벼 품종들의 수량형질 연차간 변이 및 안정성. 한국작물학회지 45(6):361-365.
  6. 주정일, 이정준, 박기훈, 이희봉. 2009. 중부지역에서 총체맥류의 예취시기별 사료가치 변화. 초지조사료학회지 29(3):187-196. https://doi.org/10.5333/KGFS.2009.29.3.187
  7. 주정일, 최현구, 강영식, 이정준, 박기훈, 이희봉. 2009. 중부지역에서 총체맥류의 예취시기별 생육 및 조사료 수량변화. 초지조사료지 29(2):111-120
  8. 지희정, 주정일, 이희봉. 2007. 유기물 함량이 총체보리 품종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초지조사료학회지 27(4):263-268.
  9. 지희정, 이종경, 윤세형, 임영철, 권오도, 이희봉. 2009. 남부지방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비교, 초지조사료지 29(1):13-18. https://doi.org/10.5333/KGFS.2009.29.1.013
  10. 지희정, 이상훈, 윤세형, 이기원, 임영철. 2010. 중부지역 논재배에 적합한 목초류 초종 선발. 초지조사료지 30(2):103-108.
  11. 지희정, 조중호, 이상훈. 김원호. 2011. 가뭄에 따른 논 재배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비교, 초지조사료지. 31(1):47-54.
  12. 허정민, 이수기, 이인덕, 이봉덕, 배형철. 2005. 맥류의 수확시기가 사일리지의 재료적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7 (5):877-890. https://doi.org/10.5187/JAST.2005.47.5.877
  1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4.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 Handb. 379, U.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15. Moore, J.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 of Florida, Dept. of Animal Science.
  16. Tilley, J.A.M. and R.A. Telly. 1963. A two stage technique for in vitro digestibility of forage crops. J. Brit. Grassl. Sci. 18:104-111. https://doi.org/10.1111/j.1365-2494.1963.tb0033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