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charcoal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5초

Pulp Mold as a Packaging Material for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Fruits and Vegetables

  • Won, Jong-Myoung;Song, Che-Yun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PAN PACIFIC CONFERENCE vol.2
    • /
    • pp.455-458
    • /
    • 2006
  • The oak and pine charcoal were used to develop the internal packaging raw material for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vegetables and fruits,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in the application for pulp mold packaging. The effects of the charcoal type, species, particle size, and grammage on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ethylene gas were studied. White charcoal has superior ethylene gas adsorption performance to those of black charcoal. Pine charcoal was superior to oak charcoal in the ethylene gas adsorption. Higher gas adsorption was obtained by the higher grammage sheet. The difference in the adsorption efficiency was not significant between ONP and KOCC.

  • PDF

숯 합지 및 내첨지의 가스흡착 성능 (Charcoal Application to Paper and Analysis of Gas Absorption Capability)

  • 고재형;정진모;민경은;이동녕;박종문;김병로
    • 펄프종이기술
    • /
    • 제40권1호
    • /
    • pp.29-34
    • /
    • 2008
  • The charcoal has been used not only as fuel but also as human health care material since it was used. Charcoal's performances were generally investigated in aspects of energy efficiency and caloric valu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crease charcoal's application area and to develop functional paper. Five types of charcoal were used on a basis of gas absorption properties from previous study. Handsheets were made by two methods by internal loading and surface spray on interlayer. Strength properties of internal loading and interlayer spray handsheets were decreased as the charcoal loading increased. Ethylene gas absorption property was higher in both of oak's black charcoal and white charcoal than others. In terms of strength, 5-10% charcoal loading was efficient. Above 10% loading, a rate of strength decrease was higher than that of ethylene gas absorption rate. Formaldehyde absorption property was higher at both of oak's black charcoal and mixed charcoal than others. However, to guarantee enough charcoal loading should be higher than 95 $g/m^2$ for sufficient formaldehyde absorption.

졸가시나무 탄화물 분석 (Analysis of Charcoal from Quercus phillyraeoides)

  • 신수정;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81-186
    • /
    • 2013
  • 졸가시나무 탄화물에 대해 주요 기능 특성을 규명하였다. 졸가시나무 탄화물을 지금까지 보고된 탄화물들과 비교해 보면, 고정탄소율 85% 이상이었고, 비중은 1.0 이상으로 다른 상업용 흑탄이나 백탄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MBA (0.73 mg/g), 흡습성 및 수소이온농도는 낮은 경향이었으며, 발열량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원적외선 방사율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졸가시나무 탄화물의 기능성을 이용한 사용 시는 기능 성질에 따른 선택적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활성탄이 토끼에서 실험적으로 유발된 결손창 치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on Wound Healing in Rabbits)

  • 조한성;정종태;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76-380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on wound healing in an experimentally induced skin wound model. Full-thickness, skin defects ($2 cm{\times}2 cm$) were made in two different areas on the back of eight New Zealand white rabbits. Eight of 16 wounds were treated with gauze-gauze-impregnated activated charocal granules, and another eight wounds were treated with gauze-soaked saline. Wound areas were measured every other day for 2 weeks after the wound-ing.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student t-test. The mean percentage of wound con- traction on the 14th day in the activated charcoal-treaded group and in the saline treated group were 93.5% and 81_7%, respectively. The mean value of tensile, strength ell the 21s1 day after wounding was,42.70{\pm}0.8 kg/5cm^2$,/TEX> in the activated charcoal-treated group and $1.75 {\pm} 0.5 kg/5 cm^2$ in the saline treated group. Significantly reduced wound area (p<0.05) and high tensile strength value (P<0.O5) were observed in activated charcoal-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saline treated group. In summary activated charcoa1 significantly reduced the wound area an increased tensile strength in the rabbit 7kin wound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lication of activated charcoal in skill wounds will promote wound healing.

  • PDF

산약(山藥)의 기내배양(器內培養)에 미치는 배지(培地) 및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과 활성탄(活性炭)의 영향(影響) (Effect of Medium, Growth Regulators and Activated Charcoal on Plant Regeneration from in vitro Culture of Dioscorea japonica TUNBERG)

  • 이효승;이정일;류수로;김석동;김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1-59
    • /
    • 1994
  • 마산약(山藥) 경절편(莖節片)의 기내조직(器內組織) 배양(培養)을 위해서 적정배지(適正培地)가 선발(選拔)됨에 따라 이에 적합시(適合時) 되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활성탄(活性炭)의 처리농도(處理濃度)를 구명(究明)함으로서 기내조직(器內組織) 배양(培養)에 의(依)한 증식율(增殖率)를 높이코져 무기강기성(無機강基性)이 낮은 1/8MS, White에 IAA와 NAA를 $1{\sim}4mg\;/\;\ell$ 로 하고 활성탄(活性炭)을 $0,\;1,\;3,\;6g\;/\;\ell$ 수준(水準)으로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8MS 배지(培地)의 경우 $1{\sim}4mg\;/\;\ell$, Kinetin $2mg\;/\;\el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sim}3g\;/\;\ell$ 첨가(添加) 하므로서 Shoot 유기(誘起)와 식물체(植物體)의 재분화률(再分化率)이 모두 100%에 달하는 효과(效果)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效果)는 NAA처리시(處理時)에도 같은 경향(傾向)이 있었다. 2. White 배지(培地)의 경우 IAA $1mg\;/\;\ell,\;Kinetin\;2mg\;/\;\el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6g\;/\;\ell$ 첨가처리(添加處理)와 NAA $4mg\;/\;\ell,\;Kinetin\;2mg\;/\;\el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g\;/\;\ell$ 첨가처리(添加處理) 만이 식물체(植物體)의 재분화율(再分化率)이 l00%에 달하였으나 그 외(外) 처리(處理)에서는 대부분(大部分) 저조(低調)하였다. 3. 발육상태(發育狀態)를 보면 1/8M /S 배지(培地)의 경우 IAA $2mg\;/\;\ell,\;Kinetin\;2mg\;/\;\el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g\;/\;\ell$ 첨가처리(添油處理)와 NAA $4mg\;/\;\ell,\;Kinetin\;2mg\;/\;\ell$ 활성탄(活性炭)을 $1g\;/\;\ell$ 첨가처리(添加處理) 하므로서 모두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sim}2.7$개(個)이고 발육상태(發育狀態)도 활성탄(活性炭)$0g\;/\;\ell,\;3g\;/\;\ell,\;6g\;/\;\ell$ 처리(處理)보다 양호(良好)하였다. 4. 그러나 White 배지(培地)의 경우 IAA $1{\sim}4mg\;/\;\ell,\;NAA\;1{\sim}mg\;/\;\ell$ 그리고 $Kinetin\;2mg\;/\;\ell$ 처리(處理)의 대부분(大部分)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거의 1개체(個體) 정도(程度)이도 발육상태(發育狀態)도 불량(不良)하였으나 NAA $4mg\;/\;\ell\;Kinetin\;2mg\;/\;\el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1g\;/\;\ell$ 첨가처리(添加處理)에서 만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개이고 개체당(個體當) 발근수(發根數)가 월등(越等)히 많았다. 5. 실험결과(實驗結果) 마 경절편(莖節片) 배양(培養)의 Shoot유가(誘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배지(培地)는 1/8MS+1AA $2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 $1g\;/\;\ell$ 이였으며, White+NAA $4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1g\;/\;\ell$ 로 처리(處理)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結果)를 얻었다.

  • PDF

목질탄화물을 이용한 미네랄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anufacture of Mineral Water with Wood Charcoals)

  • 신수정;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60-466
    • /
    • 2014
  • 목탄을 이용한 미네랄수의 제조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목탄의 무기성분 용출 및 수소이온농도 및 잔류염소흡착 성능을 조사하였다. 무기성분 용출은 탄화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칼륨의 경우 용출량이 높아지나, 나머지 무기성분들의 경우 차이가 적었다. 무기성분 용출량은 각 수종에서 칼륨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다음으로는 나트륨, 칼슘 순으로 나타났고, 수종 간에는 칼륨의 경우 활엽수인 굴참남무와 버즘나무가 침엽수인 소나무, 낙엽송 및 잣나무에 비하여 현저히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무기성분은 수종간 칼륨만큼 큰 차이는 없었으나 칼륨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수소이온농도는 활엽수인 버즘나무($600^{\circ}C$의 경우 pH 8.5)와 굴참남무(pH 8.4)가 높게 나타났고, 낙엽송(pH 7.8), 소나무(pH 7.2), 잣나무(pH 7.0)가 앞의 두 수종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염소제거량은 모든 수종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제거량을 나타냈고, 침엽수인 잣나무와 소나무가 활엽수인 낙엽송, 버즘나무, 굴참나무보다 높은 제거율을 나타냈다. 분말목탄과 각형목탄 간 무기성분 용출량 및 수소이온농도에서 차이가 없으므로, 목탄을 이용한 미네랄수 제조에는 분말목탄보다 제조도 용이하고, 용출 후 처리도 용이한 각형목탄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통식 탄화로에서 제탄된 목탄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Charcoals Carbonized in a Korean Traditional Kiln)

  • 황원중;권구중;이성재;박형수;김남훈
    • 임산에너지
    • /
    • 제21권1호
    • /
    • pp.49-5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sub LUME/),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sub ISCH/),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H/sub ANCE/), 벚나무(Prunus sargentii R/sub EHDER/)재의 목재와 전통식 탄화로에서 생산된 백탄 및 흑탄의 조직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목탄의 구성요소는 목재에 비해 치수가 크게 감소되었고, 도관은 접선방향 직경이 감소되어 타원형을 나타냈다. 따라서 목탄의 제조과정 중 탄재량에 비해 목탄의 수율이 크게 감소하는 것은 목재성분의 일부 손실뿐만 아니라 구성세포 치수가 감소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 PDF

숯 포장재가 백미, 현미, 흑미 저장 중 물리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rcoal Packaging Material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ite, Brown and Black Rice During Storage)

  • 정남용;최성숙;최순남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53-560
    • /
    • 2004
  • 백미, 현미, 흑미를 각각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에 일정기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여 곡류저장에 대한 숯포장재의 활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장 중 무게의 변화는 전반적으로 쌀의 종류 및 포장재간의 차이에 상관없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에 따라 $100.0\%$에서 백미군은 각각 $97.0,\;97.0\%$, 현미군은 각각 $97.5,\;97.6\%$, 흑미군은 각각 $97.6,\;97.8\%$로 나타났고 포장재간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저장 쌀의 발아율을 측정한 결과 백미군의 경우 모두 $0.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고, 저장 4주 후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에 따라 현미군에서 각각 $71.0,\;70.0\%$, 흑미군에서는 각각 $70.0,\;70.5\%$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저장 10주 후에는 현미군에서 각각 $10.3,\;10.9\%$, 흑미군에서는 각각 $11.8,\;12.1\%$이었고 저장 16주 후에는 모든 군에서 $0.0\%$이었고 포장재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수화양상 실험결과 실험 초기에 백미는 4시간, 현미는 8시간, 흑미는 12시간 이후에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여 백미는 $26.4\%$, 현미는 $25.9\%$, 흑미는 $37.8\%$의 수분증가량을 보였다. 실험군 모두 저장기간이 길수록 수화정도는 증가하였으며 포장재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저장기간에 따른 경도는 실험 초기 백미 5.430, 현미 7.448, 흑미 7.822 kg이었으나 저장 16주 후에는 흑미 숯포장재군이 가장 적게 변하여 실험초기와 실험 후 경도의 차이는 1.790 kg, 백미 일반포장재군은 가장 많이 변하여 2.702 kg으로 각군마다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또한 포장재간에 따른 경도는 16주 경과 시료의 경우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군에 따라 백미에서는 각각 8.132, 8.114, 현미에서는 9.696, 9.347, 흑미는 10.026, 9.612 kg로 일반포장재군 시료보다 숯포장재군 시료의 경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4. 지방산도는 모든군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01), 일반포장재군보다 숯포장재군의 지방산도가 유의적(백미, 현미군 p<0.001, 흑미군 p<0.01)으로 낮았으나 숯포장재군 시료의 경우에서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방산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원료 상태 시료의 총균수는 g당 $10^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큰 변화가 없다가 16주 후에는 현미 숯포장재군을 제외하고는 총균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포장재군와 숯포장재군의 시료에서 총균수가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숯포장재가 물리화학적 성질에 있어 일반 종이포장재보다 우수한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숯포장재 제조 시 숯의 기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 및 제조 방법 등을 개선함으로써 숯의 기능성과 친환경적 특성을 최대한 살린 포장재의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thylene Gas Adsorption of Clay-Woodceramics from 3 layers-clay-woodparticleboard

  • Lee, Hwa Hyoung;Kang, Seog-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6호
    • /
    • pp.83-88
    • /
    • 2003
  • The woodceramics are porous amorphous carbon and glassy carbon composite materials. Woodceramic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in recent years because they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because of their unique func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catalysis, moisture absorption, deodorization, purification, carrier for microbial activity, specific stiffness, corrosion and friction resistance, and their electromagnetic shielding capacity. In this paper, we made new products of clay-woodceramics to investigate the industrial analysis and ethylene gas adsorption for basic data of building- and packging- materials keeping fruit fresh for a long time. Clay-woodceramics were carbonized for 3 h of heating in a special furnace under a gas flow of nitrogen(15 ml/min.) from 3 layers-clay-woodparticleboard made from pallet waste wood, phenol- formaldehyde resin(hereafter PF, Non volatile content:52%, resin content 30%), and clay(10%, 20% and 30%). Carbonization temperature was 400℃, 600℃ and 800℃.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the higher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the higher the fixed carbon and the lower the volatile contents. The higher the clay content, the more the ash content. The higher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the more the ethylene gas adsorption.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800℃ gave the best reslts as same as that of white charcoal and activated carbon.(800℃-clay-woodceramic: 5.36 ppm, white charcoal: 5.66 ppm, activated carbon: 5.79 ppm) The clay contents did not make difference of ethylene gas adsoption.

Comparison of clay and charcoal as feed additives for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Scarabaeidae)

  • Kim, Hong Geun;Park, Kwan-Ho;Lee, Seokhyun;Kwak, Kyu-Won;Choi, Mun Suk;Choi, J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1권1호
    • /
    • pp.25-29
    • /
    • 2015
  • The white-spotted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Scarabaeidae),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Korea as a medicine for preventing liver-related diseases and suppressing liver cancer. Therefore, this insect is economically important and is commercially reared and sold in Korea. Recently, P. brevitarsis was listed as a temporal food ingredient by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iven the increasing economic importance of this beetle, we have sought to improve rearing conditions for its commercial produc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ffects of two food supplements, clay and charcoal, on the growth of second instar larvae of P. brevitarsis. Clay and charcoal are generally known as good adsorbent for removal of contaminating substances in insect feed. We fed second instar P. brevitarsis larvae a commercial diet consisting of fermented sawdust with seven different combinations of clay and/or activated charcoal, and measured their effects on weight gain for approximately 17 wk until larvae pupated. We found that addition of clay at 2.5% w/w of the fermented sawdust diet had no negative effect on weight gain of second instar P. brevitarsis larvae and thus may improve the quality of P. brevitarsis as a commercial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