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vegetation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6초

장도 습지보호지역의 식생 분포 특성 (A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Jangdo Wetland)

  • 안경환;임정철;이율경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63-74
    • /
    • 2015
  •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인 장도습지에 대한 식생의 다양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 파악을 통해 습지의 보전 및 복원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이루어졌다. 종조성을 기반으로 하는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방법에 의한 식생 조사 및 버드나무의 매목 조사, 좌표결정법에 의한 식물군락과 환경요소들 간의 관계 규명이 이루어졌다. 총 88종으로 이루어진 7개의 식물군락이 분류되었으며 습생식생과 건생식생으로 대분류되었다. 식물군락의 공간적 분포는 일차적으로 토양 수분조건에 의해 결정되고, 이차적으로 유기물 양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습지식생 면적은 $7,337m^2$로서 습지보호지역의 약 8%이며, 습지보호지역 이외의 공간에도 분포하고 있어 보호지역 경계 재조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버드나무의 분포 확산은 1990년대 이후 휴경과 가축 방목이 통제 되면서 습지 가장자리부터 중앙부로 확장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보호지역 보전 및 복원 방안이 제시되었다.

고창 운곡습지의 식물군락 다양성과 분포 특성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on the Ungok Wetland in Gochang)

  • 김종원;이승은;류태복
    • 생태와환경
    • /
    • 제50권3호
    • /
    • pp.295-304
    • /
    • 2017
  • 습지보호지역인 전북 고창 운곡습지의 현존식생에 대한 군락분류와 군락분포를 규명하였다.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국제식생명명규약에 따라 단위식생을 분류하고 명명하였다. 서식처 기반의 식생 다양성은 침수식생으로부터 연목림식생에 이르기까지 7가지 상관식생형에서 총 88분류군으로 이루어진 12가지 단위식생이 분류되었다: 버드나무-골풀군락, 선버들-이삭사초군집, 달뿌리풀-갈퀴덩굴군락, 갈대군집, 매자기군집, 애기부들-나도겨풀군락, 골풀-별날개골풀군락, 나도겨풀군집, 마름-어리연꽃군집 (전형아군집과 네가래아군집(신칭), 가시연꽃변군집 포함), 연꽃군락, 참통발군락, 말즘군집. 축척 1 : 5,000의 지형도를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여 식생 공간분포를 기재하였다. 산간 선상지 습지를 포함한 배후습지와 원수대식생역의 서식처-단위식생 대응성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운곡습지 생태 관리의 바탕 정보를 제공한다.

농촌지역 소택지의 토지이용별 식생특성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Palustrine Wetland by Land-use in Rural Areas)

  • 손진관;김미희;강방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99-713
    • /
    • 2012
  • 소택지는 개발공사 및 녹지조성 시 자주 이용되는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배려하지 못하는 설계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소택지의 토지이용에 따른 식생특성을 알아보고 소택지의 평가, 습지의 복원 및 창출에 있어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논, 밭, 산으로 구분하여 2개소씩 총 6개소의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한 결과 식물상은 61종~92종의 분포범위로 총 71과 168속 187종 2변종 1품종 1아종으로 총 216종류가 확인되어 규모에 비해 높은 식생출현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평가점수 분포는 산지형으로 대표되는 연구대상지가 밭이나 논으로 대표되는 곳보다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귀화식물은 10과 28종으로 분석되었으며 산으로 대표되는 연구대상지가 낮은 출현을 보였으며, 이에 비해 논과 밭으로 대표되는 연구대상지는 비교적 높은 출현을 나타냈다. 식생피도가 다소 높게 나타난 귀화식물은 개망초, 족제비싸리, 오리새, 큰김의털, 능수참새그령, 토끼풀, 망초, 단풍잎돼지풀, 달맞이꽃, 미국가막사리 등이다. 이러한 귀화식물은 습지에서 자생식물을 도태시키고 물 흐름을 막아 습지를 육상화 시키는 습지훼손의 주요한 요인으로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귀화식물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소택지를 농촌지역의 우수한 비오톱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항공사진 및 퇴적물 분석을 통한 섬진강 침실습지 경관변화와 관리방안 (A Study on the Landscape Change and Management Plan for Seomjin River Chimsil Wetland through Aerial Photograph and Sediment Analysis)

  • 이성호;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39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management plan of Seomjin River Chimsil Wetland by identifying landscape changes through aerial photographs analysis and concentrations of sedimentation. Geophysical Landscape Change Analysis showed that vegetation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the total area. The Barren land and water body was somewhere repeatedly increased and decreased and made an irregular form in the study area. The soil was acidic, and no eurtophication was shown, but it was potential to form wetland. In addition, the research area has been terrestrification of sand bar for a long period of time, forming a soil layer.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river deposits were shown in the study area, the grain size was a particulate matter, and the sorting was 'very poorly sorted'. In some areas of Seomjin River Chimsil Wetland, sand bars were formed, but most areas were undergoing to terrestrification. Therefore, in order to preserve the riverine area and to serve by a bridge between the land ecosystem and the underwater ecosystem, it is very necessary to remove some vegetation, create a proper waterway, and restore the wetland.

안산 간척 습지의 식생 생태적 특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nsan Reclaimed Wetlands)

  • 김기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8-335
    • /
    • 2007
  • 대표적인 간척 습지인 경기도 안산 농어촌연구원 배후 습지에서 식물상과 현존식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방형구내에서 출현종의 피도와 빈도를 측정하여 중요도를 계산하고 총질소, 전기전도도, 유효인, 질산태 질소, 도로에서의 거리를 환경 인자로 하여 서열분석(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육상 천이로의 진행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서 습지내로 침입한 목본의 기저면적을 산출하였다. 조사 결과, 46과 158종의 식물이 기록되었고, 현존 식생으로 갈대가 우점하였다. 서열분석 결과, 종의 분포는 토양내 총질소와 질산태 질소함량에 의해서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기저면적이 $22.3m^2$$1.6m^2$인 아까시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가 습지내부로 침입하여 일부 지역이 육상화되는 교란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수위 조절과 이동 도로에 의한 구획화가 습지를 훼손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조절이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만경강 신천습지의 식물군락별 종조성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Composition by Plant Community in the Shincheon Wetland of Mangyeong River, Jeonbuk)

  • 조광진;이정아;임정철;추연수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6호
    • /
    • pp.409-422
    • /
    • 2022
  • 하도습지는 하천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로 지금까지 조사된 내륙습지 목록의 약 38%를 차지하고 있다. 만경강에 위치한 신천습지 또한 보 축조로 유속이 느려지고 퇴적물이 쌓이면서 형성된 하도습지이다. 신천습지의 보전 가치와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식생 및 식물 다양성을 파악하였으며, 총 45개의 식생자료가 수집되었다. 총 153분류군(49과 117속 146종 2아종 5변종)으로 구성된 24개 식물군락이 구분되었다. 종조성적으로 군락별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식물은 환삼덩굴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소리쟁이, 참새귀리, 개망초, 쑥 등과 같이 이차초지에서 생육하는 일년생 초본 식물종이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3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도시화지수는 10.3%, 귀화율은 24.8%로 분석되었다. 식물군락은 크게 침수식생, 부엽 및 부유식생, 일이년초본식생, 다년생초본식생, 목본식생으로 분류되었다. 일정 수심을 유지하며 유속이 느린 유수역과 정수역, 간헐적 수위변동을 경험하는 연안대, 건조한 고수부지 환경 등 다양한 서식공간을 반영하는 식물군락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식물군락 발달은 야생생물에게도 서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생물다양성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습지의 수질개선 효과 분석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ollutant Removal Model in the Artificial Wetland)

  • 최지용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61
    • /
    • 2002
  • The wetland is a biologically integrated system consisting of water, soil, bacteria, plants, and animals. The wetland helps sustain the ecosystem, control the micro-climate and flood, maintain the ground water level, and provide fishing grounds. From the environmental standpoint, the wetland plays a vital role in reducing water pollution by filtering out sand and other polluted matters, producing oxygen, absorbing chemicals and nutrients. For these reasons, interest in restoring the wetland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Artificial wetland,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created wetland or constructed wetland, is an alternative to natural wetland. Like natural wetland, artificial wetl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an effectively lower pollutant levels. The Korea government is actively reviewing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wetlands in mining and water supply areas to decrease nonpoint pollutant sources.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a pollutant removal model fo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function of artificial wetlands. Artificial wetland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water;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water inflow, vegetation and hydrology, its effect can be different.

  • PDF

수질 오염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완충식생 복원 모델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Restoring a Vegetation Belt to Buffer Pollutant Discharge)

  • 안지홍;임치홍;임윤경;남경배;피정훈;문정숙;방제용;이창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5-215
    • /
    • 2016
  • 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Paldang Lake, a riparian vegetation belt, treatment wetland, and artificial floating island were designed for introduction in the upland field, the estuary of tributaries, and the section of water facing mountainous land, respectively. We synthesized veget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reference river and found that herbaceous, shrubby, and tree vegetation zones tended to be dominated by Phragmites japonica, Phalaris arundinacea, etc.; Salix gracilistyla, S. integra, etc.; and S. koreensis, S. subfragilis, and Morus alba, respectively. In our plan, the herbaceous vegetation zone, which is established on floodplains with a high frequency of disturbance, will be left in its natural state. A shrubby vegetation zone will be created by imitat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reference river in the ecotone between floodplain and embankment. A tree vegetation zone will be created by imitating species composition on the embankment slope. In the treatment wetland, we plan to create emerged and softwood plant zones by imitat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Zizania latifolia community, the Typha orientalis community, the P. communis community, the S. integra community, and the S. koreensis community. The floating island will be created by restoring Z. latifolia and T. orientalis for water purification purposes.

무선조종 헬리콥터를 이용한 소규모 인공 습지의 식생피복율 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the Vegetation Coverage Rate of Small Artificial Wetland Using Radio Controlled Helicopter)

  • 이춘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1-8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small RC(radio controlled) helicopter and single lens reflect camera as SFAP(Small Format Aerial Photography) aquisition system to monitor the vegetation coverage of wetland. The system used to take pictures of small artificial wetland were a common optical camera(Nikon F80 with manual lens whose focal length was 28mm) attached to the bottom of a RC helicopter with a 50 cubic inch size glow engine. Three hundreds pictures were taken at the altitude of 50m above the ground, from 23rd June to 7th September 2005. Four from the images were selected and scanned to digital images whose dimension were 2048${\times}$1357 pixels. Those images were processed and rectified with GCP(Ground Control Poins) and digital map, and then classified by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module of image processing program PG-steamer Version 2.2.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final images processed had very high spatial resolution so that the objects bigger than 30mm like lotus(Nelumbo nucifera), rock and deck were easily identified. 2. The dominant plants of the monitoring site were Monochoria ragianlis, Typha latifolia, Beckmannia syzigachne etc. Because those species have narrow and long leaves and form irregular biomass, the individuals were hardly identifiable, but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were easily identifiable depending on the color difference. 3. The area covered by vegetation was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first month of monitoring. At the beginning of the monitoring 23th June 2005, The rate of area covered by vegetation were only 34%, but after 27 and 60 days it increased to 74%, and the 86% respectively.

Plant Species Assemblages and Vegetation Composition of Wetlands Within an Upland Forest

  • Huh, Man-Kyu;Lee, Hak-Young;Moon, Sung-Gi
    • 환경생물
    • /
    • 제28권1호
    • /
    • pp.1-7
    • /
    • 2010
  • Small wetlands in an upland matrix can support diverse vegetation composition that increase both local and regional species richness.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 the full range of wetland vegetation in an upland forest landscape at Dumyeong-ri, Gijang-gun, Busan. This wetland index can be calculated with species data, or with community type data as performed. Classified community types were used to describe vegetation at three wetlands and adjacent areas. The communities contained 28 species of vascular plants and 28 species were identified four plant community types. The Pinus densiflora type was dominated by Pinus densiflora and contained only four species. None of the plots had high proportion of standing water. The Carpinus laxiflora type had high obligate upland species (OU) and facultative upland species (FU). The Rhododendron mucronulatum type grew in over half of the plots included Pinus densiflora and Alnus japonica. Some species bother swampy areas adjacent to site C. The Miscanthus sacchariflorus type consisted of seasonal wetlands. The three sites contained nine species with the strongest indicator species being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Miscanthus sinensis, Echinochloa crus-galli, and Sagittaria aginashi. This type had the highest proportions of obligate wetland species. Plant species richness averaged 5.069. Shannon-Weaver index of diversity also varied among the community types (F=22.7, df=4, 115), with the types FU having significantly higher value (2.746) than the others (1.057 for type FW and 1.600 for type OU). Regional plans including all of the diverse types of wetland vegetation in upland forests will contribute substantially to the conservation of plant d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