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nsan Reclaimed Wetlands

안산 간척 습지의 식생 생태적 특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

  • Kim, Kee-Da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기대 (한국교원대학교 환경교육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Floral study and present vegetation survey were conducted at a representative reclaimed wetland located behind the Rural Research Institute at Ansan, Gyeonggi-do. The importance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 ground cover and frequency of recorded species within quadrats and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total nitrogen, electric conductivity, available phosphate, nitrate nitrogen and the distance from the inner roads. And basal areas for the trees encroaching on the reclaimed wetland were estimated to take a look at the on-going situation about the succession routes on land. As a result, 46 families and 158 species of plants were recorded and Pragmites communis was found to be a dominant species as the present vegetation. The ordin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pecies distribution was purposely explained by total nitrogen in soil and its content in nitrate nitrogen. The invasion of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whose basal areas were $22.3m^2$ and $1.6m^2$ respectively, into the interior areas of the reclaimed wetland was found to cause a disturbance making some parts of the wetland into land. The zoning program using water level control and migratory roads is becoming a contributing factor in destroying a wetland, so it's suggested that some adjustments should be needed to take care of it.

대표적인 간척 습지인 경기도 안산 농어촌연구원 배후 습지에서 식물상과 현존식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방형구내에서 출현종의 피도와 빈도를 측정하여 중요도를 계산하고 총질소, 전기전도도, 유효인, 질산태 질소, 도로에서의 거리를 환경 인자로 하여 서열분석(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육상 천이로의 진행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서 습지내로 침입한 목본의 기저면적을 산출하였다. 조사 결과, 46과 158종의 식물이 기록되었고, 현존 식생으로 갈대가 우점하였다. 서열분석 결과, 종의 분포는 토양내 총질소와 질산태 질소함량에 의해서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기저면적이 $22.3m^2$$1.6m^2$인 아까시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가 습지내부로 침입하여 일부 지역이 육상화되는 교란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수위 조절과 이동 도로에 의한 구획화가 습지를 훼손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조절이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학,강재선,장관순(1999) 임해매립지에서 식재 기반조성을 위한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91-9
  2. 김준호,김훈수, 이인규,김종원,문형태,서계홍,김원,권도헌, 유순애,서영배,김영상 (1982a) 낙동강 하구생태계의 구조와 가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논문집 7(2): 121-163
  3. 김준호, 문형태, 조경제 (1982b) 해안 염습지 생태계의 보존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4: 137-154
  4. 김준호,문형태 (1984) 해안 간석지 생태계의 탄소, 질소 및 인의 동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종합연구소. 47쪽
  5. 김준호,유병태 (1985) 해안 염습지 생태계의 에너지 유전. 한국생태학회지 8: 153-161
  6. 김준호, 조경제,김지식 (1985) 금강하구 조간대 저서생물군집의 에너지 유전. 한국생태학회지 8: 7-14
  7. 농촌진흥청 (1993) 한국의 밭잡초. 사단법인 농진회,수원, 202쪽
  8. 민병미 (1985) 한국 서해안 간척지역의 토양과 식생 변화. 서울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논문. 34쪽
  9.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서울, 371쪽
  10. 박수현 (1996) 외래식물 사진모음집. 그린스카우트, 서울시 프로젝트 1995-370,46쪽
  11. 여천생태연구회 (1997) 현대생태학실험서. 교문사, 서울, 286쪽
  12. 이영노 (1998)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247쪽
  13. 이창복,김윤식, 김정석,이정석 (1986) 신고식물분류학. 향문사,서울,395쪽
  14.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향문사,서울, 990쪽
  15. 정병순 (1999) 붉은머리오목눈이의 번식생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쪽
  16. 최강원,어대수,문중양 (1998) 간척사업과 지형진화(I) - 강화도-.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58: 3-14
  17. 황길순,남귀숙,문형태,정연숙,이순화,이종영,노찬호,오현경 (1997) 수생식물에 의한 수질개선기법 연구(I). 농어촌진흥공사,126쪽
  18. 황길순, 남귀숙,문형태,정연숙,김범철, 이순화, 이종영, 노찬호, 오현정,김윤희, 윤제환(1998)수생식물에 의한 수질개선기법 연구(II). 농림부.농어촌진흥공사, 218쪽
  19. 황종서,장규상,지광재,김경민,서정빈,이복자, 김이부. 이은주,김기대, 조용주 (2000) 습지의 특성 분석 및 관리 대책 연구(V). 농어촌연구원,104쪽
  20. APHA (1989)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PHA. Baltimore. 1482pp
  21. Hovestadt T., P. Yao and K. E. Linsenmair (1999) Seed dispersal mechanism and the vegetation of forest islands in a West African forest-savanna mosaic(Comoe National Park, Ivory Coast). Plant Ecol. 144: 1-25 https://doi.org/10.1023/A:1009764031116
  22. ter Braak, Cajo J.F. and P. Smilauer (1998) CANOCO Reference Manual and User's Guide to CANOCO for Windows. Center for Biometry, Wageningen, 351pp
  23. Jackson, M.L. (1967) Soil Chemical Analysis. Prentice-Hall, New delhi. pp. 183-190
  24. Kikuchi, E., T. Suzuki, S. Takeda, J.H. Kim, K.J. Cho and Y. Kurihara (1989) Biological Survey on the Brackish Tidal Flats of Sinoeri(Namyang) and the Nagdong River Estuary, Korea. Bull. Mar. Biol, Stn., Tohoku Univ, 18: 109-128
  25.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Wiley, New York
  26. Takemasa, O. (1989) Illustrated Grasses of Japan. Heibonsha Ltd., Publishers, 759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