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FI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1초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essment an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s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You, Hee-Joo;Park, Sun-Wook;Lee, Han-Suk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7권6호
    • /
    • pp.425-429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whether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s (GMFM)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ment for children (WeeFIM) in order to identify a relevance of daily life motor with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Subjects were instructed to evaluat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using WeeFIM (reliability 0.83-0.99) and by a physical therapist using GMFM (reliability 0.93). 10 male children and 13 female children among 23 children being diagnosed as cerebral palsy were targeted for this study. A correlation between GMFM and WeeFIM was analyzed with Kendall correlation. Results: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MFM and WeeFIM in all categories, except in the GMFM's walking running jumping category, standing category of GMFM and self care, sphincter control, communication category of WeeFIM. Lying rolling and sitting and crawling kneeling area of GMFM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 care(r=0.35, 0.39, 0.4), sphincter control (r=0.45, 0.43, 0.61), mobility transfer (r=0.44, 0.36, 0.64), locomotion (r=0.41, 0.35, 0.74), communication (r=0.4, 0.44, 0.51), and social cognition (r=0.43, 0.51, 0.64) area of WeeFIM (p<0.05). Standing of GMFM and mobility transfer (r=0.74), locomotion (r=0.47) and social cognition (r=0.4) area of WeeFIM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p<0.05).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and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owever, because there are a few results that are not significant, both assessment tools should be used for evaluations so that treatment can be achieved with an accurate assessment and establish a therapeutic plan.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WeeFIM in Korea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Park, So-Yeon;Park, Eun-Young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48
    • /
    • 2010
  • The WeeFIM is an outcome measure used worldwide to evaluate the functional abilities of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WeeFIM in Korea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using the Rasch model.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92 boys and 53 girls) was 10.6 years (SD=2.3, range 5~15 years). The Winsteps software was used for analyzing the internal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WeeFIM. For analyzing the internal validity the motor and cognitive area items of the WeeFIM were analyzed both together and separately. When all 18 items were analyzed 4 were considered to be misfits; upper extremity dressing, lower extremity dressing, toileting, and comprehension. When only the 13 motor items were analyzed, toileting, bladder management, and bowel management were considered misfits. In addition, only comprehension was considered as a misfit among the 5 cognitive items. The most difficult motor items were stair climbing, and bathing. The simple ones were eating, bowel management, and bladder management. The most difficult cognitive item was problem solving, and the simplest one was comprehension. The person separation indexes and reliability for combined and divided instruments were reported as excellen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applicability of WeeFIM to Korean CP children with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Further studies should include young children with CP and compare item difficulty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CP. In addition, the Korean normative data of nondisabled children should be used to compare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분류 체계와 기능적 수행도 평가 간의 상관 (Correlation between Manual Ability Oassification System and Functional Evalua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박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248-256
    • /
    • 2009
  •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손 기능 분류 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이용하여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고 손 기능과 기능적 수행도 평가인 일상생활활동평가(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of Children: WeeFIM), 대운동 기능 분류체계(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평가 체계로써의 MACS에 대한 기초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60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손 기능과 대동작 기능,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자료를 바탕으로, MACS와 WeeFIM 및 GMFCS와의 관계와 손 기능 수준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MACS와 GMFCS의 상관은 유의수준.0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r =.659이었다. WeeFIM과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에서도 총점과의 상관은 유의수준.0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r = -.576이었다. 손 기능 분류 체계로 평가한 수준에 따른 일상생활 활용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평가 도구로써 MACS는 임상적으로 유용한 평가 체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in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Kim, Won-Ho;Park, Eun-Young;Park, So-Ye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9-76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translation of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K) in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he PEDI-K,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 an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IFCS) were completed in 104 school-aged children with CP by therapis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PEDI-K was calculated by Cronbach's alpha (${\alpha}$) for assessing reliability. Concurrent validity was evaluated by correlation with the subsets of WeeFIM. Discriminant validity was assessed by comparing GMFCS levels with tests of the PEDI-K.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nal consistency was good (Cronbach's ${\alpha}$ ranged from .97~.98). Concurrent validity was demonstrated. The correlation with WeeFIM was high in the Functional Skills (self-care, r=.74~.94; mobility, r=.59~.91; social function, r=.65~.93) and in the Caregiver Assistance (self-care, r=.75~.94; mobility, r=.63~.90; social function, r=.78~.96). Discriminant validity was demonstrated on significant decreases in domain scores with increasing GMFCS levels. Reliability and validity have been demonstrated on the PEDI-K. This study extends usage of PEDI-K in clinical activities and research.

전자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with Electronic Games)

  • 한지혜;고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80-48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PBS(Pediatric Balance Scale)와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을 이용해 전자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평가도구 간의 상관관계를 구하는데 있다. 대동작기능분류체계 제 I, II 단계의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 20명을 가상현실군과 대조군으로 10명씩 무작위 배치하여 주 3회, 매 30분씩 12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가상현실군은 근력운동과 가상현실프로그램을, 대조군은 근력운동만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상현실군에서 실험 후에 균형과 일상생활활동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5), PBS와 WeeFIM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가상현실프로그램은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의 균형과 일상생활 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흥미로운 중재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PBS는 뇌성마비아동의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도구 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렴한 비용의 가상현실프로그램을 홈 프로그램으로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감각조절장애 아동을 위한 가정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Home-based Program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이성아;김지연;조은희;박경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5-37
    • /
    • 2003
  • Objective :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f home-based outcomes in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Methods : This study used the simple case study. The subjects were three children diagnosed as developmentally delayed who 14 month and 26 month males and a 15 month female. After initial evaluation, parents were educated on sensory diet and Wilbarger protocol method for 30 minutes twice for home-based treatment and asked to make out daily treatment planning. To measure improvement of children, we used for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DDST II),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WeeFIM), hand function, functional ability, oral motor function, Sensory Profile(Dunn, 1999). Results : After the home-based program, the scored of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DDST II),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WeeFIM), hand function, functional ability, oral motor function, Sensory Profile(Dunn, 1999) were higher rather than initial evaluation after the home-based program. Conclusion : The home-based program is effective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but parents had to be educated by therapist specific evaluation and treatment in sensory integration.

  • PDF

전산화 인지프로그램(코트라스)이 지적장애 아동의 시지각과 일상생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Visual Perception and ADL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ility)

  • 김소영;이근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05-113
    • /
    • 2015
  • 본 연구는 시지각 장애와 일상생활 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시지각과 일상생활 기능에 임상적인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공통된 특성이 있는 지적장애 아동 3명에게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총 20회 실시하였다. 시지각 기능의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K-DTVP-2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 기능의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WeeFIM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 아동에게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아동의 시지각 기능 특히 비운동성 시지각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일상생활 활동이 향상되었다. 이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들은 지적장애가 있는 아동 중 특히 시지각 기능에 결여를 보이는 아동에게 아동용 전산화 인지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인지능력의 하위부분인 시지각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기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일상생활 활동에 향상을 보임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국제 기능 장애 건강분류의 구성요소에 기반을 둔 자기관리 훈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 Care Training(based 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on Functional Independence in the Young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김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82-188
    • /
    • 2009
  • 본 연구는 국제 기능 장애 건강분류의 구성요소에 기반을 둔 자기관리 훈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광역시 소재 병원 두 곳의 재활의학과에 내원하는 35개월 이상 72개월 미만인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남아=25, 여아=18) 중 GMFCS(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level III-IV인 아동 43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기 간은 2008년 8월 1일부터 2008년 9월 31일까지였고, 자기관리 훈련은 2인의 작업치료사에 의해 회당 30분씩 주 4회 제공되었다. 자기관리 훈련은 먹기, 꾸미기, 목욕하기, 화장실 사용하기의 4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훈련 후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독립성 변화는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관리 훈련 후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독립성은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위의 결과에 근거하여 자기관리 훈련을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독립성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충분히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수준 분류 체계의 유용성 (Utility of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박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09-5714
    • /
    • 2011
  •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수준 분류 체계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8년 9월부터 2010년 8월까지의 기간 동안 뇌성마비 아동 217명을 대상으로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GMFCS), 손 기능 분류 체계(MACS), 일상생활 활동을 측정하고 도구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와 일상 생활 활동은 모든 하위 영역 및 총점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손 기능 분류체계와 일상생활 활동은 이상운동형 아동에서 일상생활 하위 영역 중 의사소통과 상관이 유의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모든 하위 영역 및 총점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GMFCS와 MACS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낸 것은 GMFCS의 경우 1수준(20.3%)과 5수준(40.6%)이었고, MACS의 경우는 2수준(48.8%)과 5수준(16.6%)이었다. 결론적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수준 분류 체계인 GMFCS와 MACS는 임상적으로 유용한 평가 체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아동의 시지각 능력과 일상생활동작과의 관련성 연구 (A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 유병규;정금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7-55
    • /
    • 200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the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who were treated at developmental disabilities children salutary institute. Method : The subject were consisted of 8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mean age, 10).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was measured by the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DTVP) and by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WeeFIM) to evaluate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llected data analysis were completed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is the highest in Position in Space(PS) score, and is the lowest in Visual-Motor coordination(VM) score. Average visual perception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is the highest in SR(Spatial relationship) score, and is the lowest in VM scor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eating componen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isual-Motor coordination. Conclusions : Therefore, accurate evaluation of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for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will be important to improve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