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Based Survey on Adolescents Health Behavior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7초

중국 상하이·허쩌 중·고등학생의 식습관과 비만도 및 영양지식과의 관련성 연구 (Associations of Eating Habits with Obesity and Nutrition Knowledge for Middle and High School Adolescents in Shanghai and Heze China)

  • 송양;안효진;최지혜;오세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48-658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ating habits and health among adolescents in Shanghai and Heze,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2013 on 2,089 adolescents; 1,089 students were from Shanghai and 999 students from Heze region. Eating habits, weight, height, and nutritional knowledge were assess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Eating habits score wa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healthy eating habits and unhealthy eating habits, based on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Associations between eating habits, BMI, and nutritional knowledge were examined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with adjustment of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uch as region, gender, age, parents' education level, and pocket mone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AS (version 9.3) program. Proportions of healthy eating habits group were 90.0% for breakfast (3-7 times/wk), 29.1% for fruit (${\geq}once/d$), 12.5% for vegetable (${\geq}3times/d$), 7.3% for milk (${\geq}2times/d$), 90.0% for fast food (<3 times/wk) consumption, respectively. The average BMI score was 20.1 (Shanghai 20.5 Heze 19.6), which is in the range of normal weight. Rates of obesity and overweight were 16.5% and 8.3% in Shanghai and Heze,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intake frequencies of breakfast, fast food, biscuits, sugar, chocolate, and BMI scor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scor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showed better eating habits regarding eating regularity and consumption of fruits and soft drinks in Chinese adolescents compared with Korean adolescents, although cultural differences were not fully considered. This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associations of BMI and nutritional knowledge with dietary behavior in Chinese adolescents in two regions of China. Further studies on Chinese adolescents from other regions in China should be considered.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Attempt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Engage in Intermittent and Light Smoking

  • Ra, Jin Suk;Jeong, Yeon-Hee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attempts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engage in intermittent and light smoking. Methods: Cross-sectional secondary data derived from the 2018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ere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biopsychosocial model. The sample comprised 829 high school students who reported current intermittent and light smoking, which was defined as cigarette smoking on 1~29 days in a 30-day period and no more than 10 cigarettes per day. Purposeful selec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In total, 71.7% (n=586) of the respondents had tried to stop smoking during the past 12 months. The main result was that respondents who had viewed an anti-smoking advertisement in the past year significantly more smoking cessation attempts than those who had not (adjusted odds ratio=2.59; 95% confidence interval=1.45~4.62, p=.001). Conclusion: To encourage smoking cessation attempts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engage in intermittent and light smoking, healthcare providers, including school and community nurses, should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s using anti-smoking advertisements tailored to adolescents' interests and developmental stage.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식생활 행태가 스트레스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the Effects of Eating Behaviors on Stress Recognition by Adolescent Gender)

  • 김가은;최윤하;강수민;이종석;정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85-92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식생활 행태가 이들의 스트레스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성별에 따른 맞춤형 영양교육과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중·고등학생 57,303명을 선정하였다. 청소년의 연령, 학업성적, 경제상태, 거주형태, 주관적 건강과 체형 인지를 통제하고, 식생활 변수로 아침식사 및 신선식품(과일, 채소, 우유, 물), 가공식품(탄산음료, 에너지음료, 단맛 나는 음료, 패스트푸드) 변수들이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침식사는 청소년 모든 성별에서 스트레스 인지에 부(-)의 영향을 나타냈고, 신선식품의 경우 남학생은 물이, 여학생은 과일이 스트레스 인지에 가장 높은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가공식품의 경우 청소년 모두 에너지음료가 스트레스 인지에 가장 높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 개선을 위해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맞춤형 식생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형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구강관리보조용품 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dental hygiene devices in Korean adolescents)

  • 박신영;류소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1-191
    • /
    • 2017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 of dental hygiene devices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70,362 adolescents in 800 schools who completed the 2015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usage of dental floss, interdental brushes and mouthwash solution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ealth state and behaviors, and oral health behaviors and experience of oral diseases. Results: The related factors of usage of dental hygiene devices included gender, where females showed higher usage (OR=1.10) compared to males, father and mother's level of education where usage was higher in above university graduates (OR=1.20, OR=1.14) compared to less than high school graduation, economic status where usage was higherin high and middle (OR=1.93, OR=1.26) compared to low, vigorous physical activity where usage was higher in those who responded yes (OR=1.35) compared to no, subjective weight recognition where usage was higher in normal (OR=1.07) compared to under weight, sleep time where usage was higher in enough (OR=1.12) compared to not enough, number of toothbrushing (day) where usage was higher in 2 times or over 3 times (OR=1.35, OR=1.75) compared to below 1,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R=1.10), sealant experience (OR=1.17) and scaling experience (OR=1.45) where usage was higher in those who responded yes compared to no, school where usage was lower in high school (OR=0.64) compared to middle school, residential type where usage was lower in rural area (OR=0.74) compared to metropolitan area, living form where usage was lower in other (OR=0.77), compared to with family, smoking (OR=0.93), and alcohol drinking (OR=0.90) where usage was lower in those who engage in the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who didn't, BMI where usage was lower in normal (OR=0.87) and over weight (OR=0.98) compared to under weight. Conclusions: To expand the use of dental hygiene devices in the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need and motivation of dental hygiene device usage.

한국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성차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Korean youth mental health on binge drinking)

  • 송희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421-43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정신건강(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자살생각)이 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제12차(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만 12-18세 남녀 중 고등학생 65,5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정신건강 수준에 따른 위험음주 차이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을, 위험음주에 대한 정신건강 효과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학생의 정신건강에 따른 위험음주 발생(스트레스 인지: 1.444배 (95% CI: 1.200-1.737), 우울감: 1.843배 (95% CI: 1.674-2.029), 자살생각: 1.656배 (95% CI: 1.464-1.872))은 남학생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는 성별 차이를 나타냈다. 위험 음주의 예방/치료와 관련한 프로그램 개발시 정신건강에 따른 위험 요인의 관리뿐만 아니라 성별에 따른 다양한 접근 방식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 청소년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정신건강이 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

중학생의 건강요인·식습관과 구강증상과의 융합적 관련성 (Convergent Relations between Health Factors and Eating Behaviors and Oral Symptoms in Middle school students)

  • 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89-98
    • /
    • 2018
  • 본 연구목적은 중학생의 건강요인 식습관이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제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30,88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건강요인 식습관이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치아통증 증상과 잇몸통증 증상에서는 학업성적,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일일잇솔질횟수, 가공육류의 미섭취에서 통증 인지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취증상에서는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와 일일잇솔질횟수가 적을수록 구취증상을 높게 인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로 중학생의 건강요인 식습관은 구강증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구강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주관적 수면충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6년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기반으로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Sleep Sufficiency among Korean Adolescent by Gender: Based on 2016 12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 채명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43-35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라 한국 청소년의 개인적, 가족적 및 환경적 특성과 수면충족감 정도를 비교하고, 개인적, 가족적 및 환경적 특성과 주관적 수면충족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6년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였고, 남학생 33,803명, 여학생 31,725명, 총 65,52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충족감을 나타낸 비율은 남학생 33.4%, 여학생은 19.5%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개인적 특성은 우울경험, 자살생각, 학업성적,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 주관적 건강인지, 음주 및 흡연, 약물 경험, 알레르기비염 및 아토피피부염 진단여부, 가족적 특성은 경제 상태, 부모님 학력, 주거형태, 환경적 특성은 학교급, 학교유형, 고민상담자 유무가 주관적 수면충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 중 아침식사 빈도와 천식 진단 여부는 남학생에서만, 신체활동 여부는 여학생의 수면충족감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의 정신건강이 청소년의 주관적 수면충족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수면충족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 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성향 (Subjective Health Status, Mental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General Families)

  • 채명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383-39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가정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이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 및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2017년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해 복합표본분석을 하였다. 대상자는 일반가정 61,320명(98.5%), 다문화가정 956명(1.5%)이었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보다 건강하지 못한 편, 불행한 편, 우울 경험, 자살생각, 주중과 주말 스마트폰 과의존, 친구나 선후배 관계에서 스마트폰 관련 문제적 경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해 자살생각 1.270배, 주중과 주말 스마트폰 과의존 각각 1.359배, 1.297배, 친구나 선후배 관계에서 스마트폰 관련 문제 경험이 1.60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인터넷 중독 성향을 개선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 소아.청소년의 고열량 저영양 식품 섭취와 비만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Energy/Low Nutrient Food Consumption and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허규진;남소영;이수경;정상진;윤지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6-242
    • /
    • 2012
  • Consumption of foods with high energy and low nutrient values has been linked to various health issues including obesity and chronic disea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gh-energy/low-nutrient food consumption status and its relationship with obesity status and intake of energy and nutrien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nd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WS). The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2-18 year-olds was 8.4% and 10.8% in 2008 and 8.5% and 9.0% in 2009, respectively, in KNHANES.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12-18 year-olds was 13.9% in 2008 and 11.4% in 2009 in KNHANES, while it was 8.1% in 2008 and 8.2% in 2009 in KYRBWS. Consumption patterns of high-energy/low-nutrient foods were diverse depending on the particular food type. High-energy/low-nutrient foods such as cookies were most often consumed more frequently (2~3 times per week), but fast food type foods were generally consumed less frequently (once per week or less).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highenergy/ low-nutrient food consumption and level of energy and nutrient intakes were found in either datasets. Adolescents who were not obese more frequently consumed ramen (p < 0.001), cookies (p < 0.001) and fast food (p < 0.001) than those who were obese in KYRBWS, however, such relationships were not found in KNHANES. This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could be probably attributed to the cross-sectional nature of the datasets. This study was limited by the cross-sectional nature of the data, therefore, further longitudinal research using various study techniques would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igh-energy/low-nutrient foods on child obesity.

코로나19이후 사회 경제적 변화와 청소년 정신건강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Changes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After COVID-19 Pandemic)

  • 김희주;김민혁;민성호;이진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1호
    • /
    • pp.16-21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들의 코로나19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우울 증상과 자살 사고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이 연구는 제 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건강 위험 행동 15개 영역에서 103개 이상의 질문을 포함하는 한국 청소년(12-18세)의 대표 통계이다. 제 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793개 학교, 총 54,948명의 학생들이 질문에 응답했다. 설문조사는 한국 청소년의 정신 건강과 관련된 코로나19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한 것이다.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른 우울 증상과 자살 사고에 대해 교차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코로나19이후 가정 경제의 변화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했다. 가정의 경제 변화가 나빠졌다고 보고한 청소년은 자살 사고와 우울 증상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가정 경제의 변화가 나빠졌다고 보고하는 청소년(AOR 1.38, 95% CI 1.38-1.57)과 더 나빠졌다고 보고하는 청소년(AOR 2.07, 95% CI 1.87-2.29)은 우울 증상과 높은 연관성이 있었다. 가정 경제의 변화가 나빠졌다고 응답한 청소년(AOR 1.34; 95% CI 1.34-1.60)과 더 나빠졌다고 응답한 청소년(AOR 2.01; 95% CI 1.76-2.29)은 자살 사고와 높은 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 이번 연구에서 사회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청소년이 코로나19와 관련된 사회 경제적 변화와 자살 사고 및 우울 증상의 연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이후 사회 경제적 변화가 좋지 않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선별 및 개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