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ming trend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5초

IPCC-IV 국가 보고서 분석에 의한 한국의 기후변화과학 분야의 현황과 발전방향 (The 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Science in Korea analyzed by the IPCC-IV Reports)

  • 정연앙;정효상;류찬수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38-43
    • /
    • 2011
  • The recent global warming may be estimated to give lots of impacts to the human society and biosphere of influencing climate change included by the natural climate variations through the human activity which can directly and/or indirectly play a major role of total atmospheric composition overall. Therefore it currently appears evidences such as hot wave, typhoon, and biosphere disturbance, etc. over the several regions to be influenced by global warming due to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greenhouse gases in the atmosphere through inducing forest destruction, fossil fuel combustion, greenhouse gases emission, etc. since industrial revolution era. Through the working group report of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for climate change was analyzed by the individual country's current status and figure out the important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future trend of climate change science with advanced countries preparedness and research, In this study, the first working group report of IPCC focuses on those aspects of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science of climate change that are judged to be most relevant to policymakers. As this report was assessed and analyzed by including the progress of climate change science, the role of climate models and evolution in the treatment of uncertainties. This consists of the changes in atmospheric constituents(both aerosols and gases) that affect the radiative energy balance in the atmosphere and determine the Earth's climate,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biogeochemical cycles that affect atmospheric constituents and climate change, including aerosol/cloud interactions, the extensive range of observations snow available for the atmosphere and surface, for snow, ice, and frozen ground and for the oceans, respectively and changes in sea level, the paleoclimate perspective and assessment of evidence for past climate change and the extension, the ways in which physical processes are simulated in climate models and the evaluation of models against observed climate, the development plans and methods of improving expert and building manpower urgently and R&D fund expansion in detail for climate change science in Korea will be proposed.

Two-stream Convolutional Long- and Short-term Memory 모델의 2001-2021년 9월 북극 해빙 예측 성능 평가 (Performance Assessment of Two-stream Convolutional Long- and Short-term Memory Model for September Arctic Sea Ice Prediction from 2001 to 2021)

  • 지준화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1호
    • /
    • pp.1047-1056
    • /
    • 2022
  • 지구 온난화의 중요한 지시자인 북극의 바다 얼음인 해빙은 기후 시스템, 선박의 항로 안내, 어업 활동 등에서의 중요성으로 인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자동화와 효율적인 미래 예측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새로운 해빙 예측 모델들이 전통적인 수치 및 통계 예측 모델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극 해빙의 전역적, 지역적 특징을 학습할 수 있는 two-stream convolutional long- and short-term memory (TS-ConvLSTM) 인공지능 모델의 북극 해빙 면적이 최저를 보이는 9월에 대해 2001년부터 2021년까지 장기적인 성능 검증을 통해 향후 운용 가능한 시스템으로써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장기 자료를 통한 검증 결과 TS-ConvLSTM 모델이 훈련자료의 양이 증가하면서 향상된 예측 성능을 보여주고 있지만,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단년생 해빙의 감소로 인해 해빙 농도 5-50% 구간에서는 예측력이 저하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반면 TS-ConvLSTM에 의해 예측된 해빙 면적과 달리 Sea Ice Prediction Network에 제출된 Sea Ice Outlook (SIO)들의 해빙 면적 중간값의 경우 훈련자료가 늘어나더라도 눈에 띄는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TS-ConvLSTM 모델의 향후 북극 해빙 예측 시스템의 운용 가능 잠재성을 확인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예측이 어려운 자연 환경에서 더욱 안정성 있는 예측 시스템 개발을 위해 더 많은 시공간 변화 패턴을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1981-2020년 기간 동아시아 지역 산불 발생 위험도의 변동성 및 변화 특성 (Variability and Changes of Wildfire Potential over East Asia from 1981 to 2020)

  • 이준이;이두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0-40
    • /
    • 2022
  • 전 세계 곳곳에서 산발적이고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산불은 가연성 식생 지역에서 주요한 자연 변동성의 일환이면서 전 지구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공공 비상사태를 야기하는 심각한 자연재해이다. 산불 배출량, 연소 면적 및 산불기상지수를 활용한 산불 발생 위험도의 변동성 및 변화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1981년부터 2020년까지 지난 40년 기간 동안 산불기상지수 자료를 분석해 동아시아 지역 산불 위험도의 변동성 및 장기 변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동아시아 지역 산불 위험도의 첫 번째 주요 변동 모드는 전체 변동성의 29%를 설명하며, 대부분 지역에서 산불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지구온난화 및 해양의 수 십년 주기 변동성과 연계되어 지표 기온이 상승하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이며, 이는 토양 수분의 상승 경향에 의해 그 효과가 다소 상쇄되고 있다. 두 번째 변동 모드는 엘니뇨-남방진동과 연계된 경년 변동성을 반영하며 전체 변동성의 17%를 설명한다. 엘니뇨(라니냐) 시기 동아시아 지역 강수량의 증가(감소)는 토양 수분을 증가(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산불 위험이 감소(증가)하게 된다. 이는 지표 기온 상승(하강)에 의해 그 효과가 다소 상쇄된다. 산불 발생 위험도의 변동성 및 변화에 대한 이해와 예측을 증진하는 것은 그에 따른 피해를 저감하고 대비책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위성 기반의 토양 융해 탐지 자료를 이용한 식목일의 적합성 검토 (Suitability Assessment of Arbor Day Using Satellite-Based Soil-Thaw Detection and Analyses)

  • 박강민;박선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55
    • /
    • 2023
  • 식목일은 식재를 권장하고 식재 시기가 도래했음을 상징하는 날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4월 5일로 정해져 있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해 식목일이 실제 식재 시기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1~2020년 기간을 대상으로 인공위성 기반의 토양 융해 관측 자료(FT-ESDR)를 이용하여 식재 가능 시기의 시작과 현행 식목일 간의 불일치 현상을 확인하고 식재를 위한 대안 시기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한반도의 토양 융해일은 평균적으로 1991~2000년 기간 중 3월 24일이었던 것이 2011~2020년 기간에는 3월 17일로 변화하였다. 토양 융해일을 고려하여 식목일을 변경할 경우, 시·군 수와 면적을 모두 고려할 때 3월 중순을 채택하는 것이 식재 시기의 적합성 측면에서 가장 포괄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현행 식목일의 대안으로 적합도가 높은 날은 식수절(3월 14일)과 세계 산림의 날(3월 21일)인데, 이는 시기적으로 한반도 평균 토양 융해일인 3월 19일에 가깝고, 토양 융해일과의 편차가 10일 이내 범위에 놓이는 면적이 한반도 중부를 중심으로 전체의 52.5~58.8%에 달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토양 융해 시기는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식목일 일자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미래의 식재 적합 시기가 지속적으로 앞당겨지는 경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IMO 극지방운항선박 안전코드 제정 현황 및 시사점 (Enactment Trend and Implication of the Polar Code in IMO)

  • 서대원;김대헌;하태범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9-64
    • /
    • 2014
  • 지구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의 해빙속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변화로 북극항로에 대한 관심은 북극해 주변국뿐만 아니라, 먼 이웃국가들에게까지 확산되고 있다. 과거 극지역을 항해하는 선박에 대한 설계 및 운용과 관련된 선급 규칙은 주로 북극해에 인접한 러시아, 노르웨이, 핀란드에 의해서 주로 개정되어 왔다. 그러나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극지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제규정인 극지방운항선박 안전코드(Polar Code)를 제정하기로 결정하였으며, 현재 2014년에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극지방운항선박 안전코드의 제정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극지방운항선박 안전코드의 제정을 위한 우리나라의 각 기관의 역할 및 시사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일별 온도의 연속형 자기회귀모형 연구 - 6개 광역시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daily temperature using continuous AR model)

  • 김지영;정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1호
    • /
    • pp.155-167
    • /
    • 2014
  • 본 연구는 기후파생상품의 가격결정 연구를 위한 중간과정으로서 우리나라 일별 평균기온에 대한 연속형 시계열 모형을 추정한다. 6개 광역도시를 대상으로 1954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의 57년간 일별 기온 시계열을 추세, 계절성, 불규칙 변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불규칙 성분은 연속형 자기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1) 57년의 비교적 장기간 온도 시계열을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다르게 추세 성분이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세성분의 기울기가 양의 부호를 가짐으로써 지구온난화의 추이가 우리나라에서 진행 중임을 보였다. (2) 추세와 계절성분이 제거된 불규칙성분에 대해 단위근 검정을 적용한 결과, 6개 광역시 모두에 대해 단위근이 없는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불규칙 성분에 대해 연속형 모형인 CAR모형을 적용한 결과, 차수가 3인 CAR(3)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국외문헌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파생상품의 가격결정에는 기초자산의 연속형 시계열 모형의 개발이 가장 중요하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파생상품의 가격결정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발생과 기후요소의 영향 (Influence of Climate Factors on the Occurrence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Food Poisoning in Korea)

  • 김종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3-358
    • /
    • 2020
  • Objectives: An outbreak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food poisoning in Korea was first reported in 1998. They have continued to occure since th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scribe the long-term trend in pathogenic E. coli food poisoning occurrences in Korea and examine the relation with climate factors. Methods: Official Korean statistics on food poisoning outbreaks and meteorological data for the period 2002-2017 were us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outbreaks of pathogenic E. coli food poisoning and meteorological factors.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upon the outbreaks was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pathogenic E. coli food poisoning ranked second for the number of outbreaks (excluding unknowns) and first for the number of cases. Average temperature, the highest and lowest temperatures, precipitation, number of days with rainfall, and humidity all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nthly number of outbreaks of pathogenic E. coli food poisoning (p<0.001). It was found that the lowest and highest temperatures and precipit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onthly number of outbreaks of food poisoning (p<0.001). These variables together explained 42.1% of the total variance, with the lowest temperature having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food poisoning incidenc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especially warming.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pathogenic E. coli infections are now an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 in Korea since it is one of the countries where climate change is occurring rapidly.

북한 소나무과 나무의 생태와 자연사 (Ecology and Natural History of North Korean Pinaceae)

  • 공우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5호
    • /
    • pp.323-337
    • /
    • 2006
  • This work discussed the species composition, phylogeny, spatio-temporal distribution, ecology and natural history of North Korean Pinaceae or pine tree family, which seems to be important to maintain nature and eco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Out of five genera and sixteen species of Pinaceae of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contains four genera and eleven species of Pinaceae, including Pinus densilflora, P. koraiensis, P. pumila, Picea jezoensis, P. koraiensis, P. koraiensis var. koraiensis, P. pungsanensis, Larix gmelini, L. gmelinii var. olgensis, Abies holophylla and A. nephrolepis. In terms of phylogeny Pinus is closely related to Picea, and followed by Larix. Abies is close to Tsuga which only occur at Ullung Island. Distributional pattern of North Korean Pinacea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ree species of nation-wide montane type i.e., Pinus densilflora, P.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four species of central and northern subalpine type, i.e., Pinus pumila, Picea koraiensis, Larix gmelini and Abies nephrolepis, one nation-wide subalpine type, Picea jezoensis, and three species disjunctive to north type, i.e., Picea koraiensis var. koraiensis, P. pungsanensis, and Larix gmelinii var. olgensis. Pinaceae species occurring on the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North Korea, such as Pinus koraiensis, P. pumila, Picea jezoensis, P. koraiensis, P. koraiensis var. koraiensis, P. pungsanensis, Larix gmelini, L. gmelinii var. olgensis and A. nephrolepis are considered as the glacial descendant from the boreal region. Those species might have migrated from the north during the Pleistocene glacial epochs in search of favourable condition, and since the Holocene period they survived on the hostile alpine and subalpine environments, in which they are more competitive than warmth-tolerant temperate vegetation. Certain species, such as Picea pungsanensis, is segregated on the isolated mountains since the Pleistocene period, and forced to adapt to local environment, and eventually became an endemic species of North Korea. Recent rapid global warming trend especially in northern high mountains of North Korea could cause an unfavourable environment for the survival of cold-tolerant Pinaceae of the alpine and subalpine belts. Pinus densiflora, which is occurring on the montane belt might faced with difficulties due to both the deforestation and the outbreak of insect-borne disease, such as Bursaphelenchus xylophilus.

특허 및 논문 게재 분석을 통한 수처리용 분리막의 연구동향 (Research Trend of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by Analysis of Patent and Papers Publication)

  • 우창화
    • 공업화학
    • /
    • 제28권4호
    • /
    • pp.410-419
    • /
    • 2017
  • 지구온난화, 환경오염, 가뭄 등의 재해현상으로 인한 물 부족 현상이 진행됨에 따라 수자원의 활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원천기술의 개발과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중 수처리 분리막 기술은 기존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공정보다 수질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약품 사용이 배제된 환경친화적인 공정이다. 수처리 분리막은 오폐수처리, 정수처리, 해수담수처리, 이온교환 공정, 초순수 제조, 유기용매 분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은 점차 응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수처리 분리막의 핵심 기술은 분리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기공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으로써 더 나은 성능을 나타내는 분리막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특허 및 논문의 기술경쟁력 평가를 통하여 국가별, 기관별 발표 빈도수를 정리하였으며, 오폐수처리용 분리막, 정수처리용 분리막, 해수담수화용 분리막, 그리고 이온교환공정용 분리막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Trends in Reports on Climate Change in 2009-2011 in the Korean Press Based on Daily Newspapers' Ownership Structure

  • Lee, Jihye;Hong, Yeon-Pyo;Kim, Hyunsook;Hong, Youngtak;Lee, Weonyo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2호
    • /
    • pp.105-110
    • /
    • 2013
  • Objectives: The mass media play a crucial role in risk communication regarding climate chang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 in journalistic reports on climate change in the daily newspapers of Korea. Methods: We selected 9 daily newspapers in Korea, which according to the ABC Association, represented 77% of newspaper circulation, out of a total of 44 Korean daily newspapers. The collected articles were from 2009 to 2011. All of the articles were sorted into the following 8 categories: greenhouse gas, climate change conventions, sea level ris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ynthesis reports, expected damage and effect, use of fossil fuels, global warming, and mitigation or adaptation. A chi-squared test was done on the articles, which were counted and classified into cause, effect, and measurement of climate change according to the newspaper's majority or minority ownership structure. Results: From the 9 selected newspapers, the number of articles on climate change by month was greatest in December 2009. Generally, the articles vague about climate change (lack of precise data, negative or skeptical tone, and improper use of terminology) were much more common than the articles presenting accurate knowledge. A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ased on ownership structure: the majority-owned newspapers addressed the cause of climate change, while the minority-owned newspapers referred more to climate change measurement. Conclusions: Our investigation revealed that generally Korean daily newspapers did not deliver accurate information about climate change. The coverage of the newspap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ownership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