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m Temperate Zon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5초

The Diversity and Ecology of Mollusks in Seogundo off The Souther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 Noseworthy, Ronald G.;Choi, Kwang-Sik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31
    • /
    • 2010
  • Seogundo is a small island adjacent to the southern coast of Jeju Island and connected to it by a boulder beach at low tide Surveys of this area were conducted from 2001 to 2009 to enumerate the mollusks there and also to examine their diversity, relative abundance, and ecological relationships. Both the boulder beach itself and several large tide pools were studied, including the coarse sand substrate and several species of seaweed and coralline algae found in the tide pools. Of the 121 species obtained or observed, there were 97 gastropods, 16 bivalves, and 8 polyplacophorans. Live specimens were obtained for about half of those species. About one third were found on rocky substrate, with the most common species being Nodilittorina radiata and Nerita japonica in the upper intertidal zone, N. radiata and Littorina brevicula in the middle intertidal, and Turbo (Lunella) coronata coreensis and Acanthopleura japonica in the lower intertidal and shallow subtidal. The seaweeds and coralline algae contained about 40% of all mollusk species. The most common mollusks in two species of brown seaweed were Ittibittum parcum, Musculus nanus, and Euplica scripta. In a species of red seaweed, Komaitrochus pulcher was the most frequent, as in the coralline algae, along with M. nanus. The coarse sand in the tidepools contained about 25% of the species, with the Cerithiidae having the largest number. A sample of beach drift contained 17 species, with Bittium aleutaceum and Rissoina (Phosinella) pura being most common. Most species, about 60%, were found in a variety of habitats, especially the marine flora; few species exhibited any habitat preferences. Biographically, Jeju Island is part of the Warm Temperate Northwest Pacific Province and the East China Sea ecoregion with a strong faunal affinity with southern Japan, eastern China, and northeastern Taiwan. Zonal-geographical groupings reveal that the fauna is mainly subtropical-low boreal, preferring moderately warm water, with a somewhat smaller number of tropical-subtropical species.

A2 시나리오를 이용한 아시아 지역 기후대의 변화 전망 (Future Projections of Köppen Climate Shifts in the Asia Regions Using A2 Scenario)

  • 신상훈;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3호
    • /
    • pp.253-2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쾨펜의 기후대 구분법을 이용하여 현재 아시아 지역(경도 $55.6^{\circ}{\sim}149.3^{\circ}$, 위도 $-11.5^{\circ}{\sim}53.0^{\circ}$) 기후대를 분석하고, IPCC SRES A2 시나리 오상황에서의 기후대 변화를 전망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후대 구분의 기준이 되는 강수 및 기온자료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기후요소의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2080년경에는 기준기간(1991~2010)에 비해 기온은 $4.0^{\circ}C$, 강수량은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공간적으로는 기온의 경우 고위도 지역이 저위도 지역보다 기온상승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강수량은 지역적 편중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후대 변화를 전망한 결과, 대체로 온난한 기후대의 면적은 증가한 반면, 한랭한 기후대의면적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준기간 대비 2080년경에는 열대 기후대(A)의 경우 7.2%, 건조 기후대(B)는 1.9% 증가하였으며 온대 기후대(C), 냉대 기후대(D), 한대 기후대(E)는 각각 -2.4%, -4.9%, -1.8%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증가와 사막화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Solution of the Natural Monument (No.374) Pyeo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of Jeju)

  • 이원호;오해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4-60
    • /
    • 2013
  • 본 연구는 비자나무 숲을 대상으로 Z.-M. 학파의 방법으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비자나무 숲에 대한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비자나무 숲은 수평적으로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역의 저지대 및 구릉지에 발달하고 있었다. 총 50과 80속 95종으로 구성되어진 비자나무 숲은 종조성에 의해 비자나무-상산군락의 전형하위군락, 가는쇠고사리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서식처 환경조건에 대응하였다. 3~4층으로 구성된 비자나무 숲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과거 간벌이후 일제히 재생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 Miyawaki et Ohba 1963)을 특징짓는 진단종군으로 구성되어진 것이 특기되었다. 또한 임상의 경우 소엽맥문동, 십자고사리, 큰천남성 등의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으며, 임연식생의 주요 구성종으로 대표되는 주름조개풀이 높은 기여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비자나무 숲이 지속적으로 인간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비자나무의 치수는 반음지, 음지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또한 비자나무 숲을 유지하기 위하여 삼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쇠퇴시킬 가능성이 큰 강도간벌 대신에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을 구성하는 교목수종을 간벌하되, 아교목 및 관목수종을 대상으로 밀도조절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이다. 향후 지속가능한 비자나무 숲을 유지하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관리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부산일대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생육 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Growth Density on the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in area of Busan, Korea)

  • 이상철;홍석환;김동필;최송현;안미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5-224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세력은 약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곰솔과 소나무에 대한 식재요구도는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반도 난온대림지역에 속하는 부산일대, 남동부지역에 주요 조경수목인 소나무림과 곰솔림을 대상으로 자연림의 생육밀도를 파악한 후 난온대림에 적합한 생태적 식재밀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한반도 남동부에 해당하는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소나무림 22개소, 곰솔림 60개소를 선정하여 $100m^2$ 방형구를 설치하여 조사구 내 출현하는 교목, 아교목층 수종의 흉고직경 및 개체수를 조사한 후, 회귀분석을 통해 평균흉고직경급별 적정 개체수 산정을 위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흉고직경의 생장에 따른 교목층 생육개체수 예측모형의 결정계수는 곰솔림 0.700, 소나무림 0.533으로 단일 요인에 의한 설명력으로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측 회귀모형은 곰솔림의 경우 $Y=31.176e^{-0.055x}$, 소나무림의 경우 $Y=38.351e^{-0.059x}$(X=흉고직경, Y=개체수/$100m^2$)였다. 남동부지역의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생육밀도는 중부지방보다 다소 높았다.

제주도 곶자왈 지역에서 서식 환경에 따른 조류 다양성 및 특징 (The Bird Diversity and Feature by the Habitat Environment in Gotjawal area, Jeju Island, the Republic of Korea)

  • 김은미;강창완;최형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917-925
    • /
    • 2019
  • All of the animals and the plants in ecosystem are intim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the changes of forests and surroundings affect directly wild animal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Hangyeong-myeon Cheongsu-ri located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belonging to Hangyeong Andeok Gotjawal Zone and Jocheon-eup Seonheul-ri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belonging to Jocheon Hamdeok Gotjawal Zone. The survey on advent of birds was carried out twice a month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5. We divided habitat environments into three survey sites such as a forest, a shrub forest and a farmland. A total of 65 species and 4,802 individuals were observed during the survey period. In a forest, 36 species and 1,287 individuals were observed while A shrub forest had 40 species and 1,554 individuals. And in a farmland, 41 species and 1,961 individuals were observed. The only 10 species were observed in forest and the only 7 species in shrub forest and the only 10 species in farmland. The species diversity and the evenness of a farmland were the highest, and the species richness was the highest in a shrub forest, and the dominance of a forest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areas.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a shurb forest and a farmland was high while that between a forest and a farmland was low. The similarity index related with breeding appeared that a forest and a farmland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한반도 비자나무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Torreya Nucifera Stand in Korea)

  • 신현철;이광수;박남창;정수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12-322
    • /
    • 2010
  • 한국에서 비자나무는 남해안 및 제주도의 온난 기후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사찰과 향교 주변 등에서 주로 보호림으로 조성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반도의 대표적 비자나무 임분에서 식생구조분석을 실시함으로서 현재 비자나무 식생군락의 동태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적절한 임분 보전대책을 수립하는데 있다. 비자나무 임분 내에서 조사된 종수는 총 148종이었으며, 교목층 임분에서 출현수종 28종, 아교목층 출현수종 38종, 그리고 관목층 출현수종 82종의 목본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비자나무 임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종은 쥐똥나무, 송악 및 마삭줄이었다. 조사지역 모든 층위에서 비자나무가 우점종 이었으나, 아교목층 및 관목층에서는 그 우점치가 다소 떨어져 임분 쇠퇴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사실은 교목층 임분의 수관발달 및 아교목층에서의 생장편의에 의한 결과이다. 비자나무림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천연발아에 의해 조성된 임분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조사된 우리나라 비자나무림에 대한 건강한 임분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도태 간벌시업을 응용함으로서 과도한 수관경쟁의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이다.

천안 성정동 지역의 화분분석 결과를 통한 Pleistocene 후기 고환경복원 (Reconstruction of the Paleo-environment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at Seongjeong-dong, Cheonan-si, inferred from Pollen Analysis)

  • 김혜령;윤순옥;황상일;이병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9-192
    • /
    • 2012
  • 충남 천안시 성정동 지역의 천안천 충적평야 화분분석 결과를 통해 최종빙기 최성기부터 홀로세에 걸쳐 고식생 환경과 기후 변화를 중심으로 고환경을 복원하였다. 화분대 I (약 23,000-15,000 yr BP) 시기는 목본이 드물게 분포하는 소림(疏林)상태로서 초지가 넓게 펼쳐져 있었다. 기후는 한랭하였으나 영남 산간지역에 비해 심하지 않았으며, Woldstedt(1962)와 Yoon and Jo(1996)에 따르면 'very cold'에 대비된다. 화분대 II (약 15,000-10,000 yr BP)는 회갈색 모래층에 해당하는 무화분대로서 최종빙기 최성기에서 홀로세 사이의 점이기에 해당한다. 이 모래층은 실트가 포함된 토탄으로 이루어진 상, 하부 층준과 확연히 구분되는데, 이와 같은 특징은 대단히 한랭했던 시기에서 온난한 환경으로 전환되는 동안 급격한 기후 변화가 진행된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Holocene 전기에 대비되는 화분대 III (약 10,000-6,000 yr BP)의 화분조성에서는 기후가 뚜렷하게 온난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신갈나무우점군락 특성 -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 구덕산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Quercus mongolica Dominant Community on the Ridge of the Nakdong-Jeongmaek -Focusing on the Baekbyeongsan, Chilbosan, Baegamsan, Unjusan, Goheonsan, Gudeoksan-)

  • 강현미;김동효;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8-333
    • /
    • 2020
  • 낙동정맥은 강원도 태백시에서부터 부산광역시까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온대림에서 난대림까지 폭넓은 산림대를 포함하고 있다. 백두대간과 정맥에서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신갈나무우점군락의 낙동정맥 내에서의 식생구조 특성을 지역 및 군락별로 분석하고자 대표적인 6곳(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 구덕산)을 선정하여 신갈나무우점 군락을 조사하였다. 6곳의 조사지역의 교목층에서 신갈나무의 상대우점치는 85% 이상으로 확인되었으며, 아교목층에서는 철쭉, 쇠물푸레나무 등이 관목층에서는 쇠물푸레나무, 조록싸리, 미역줄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TWINSPAN에 의해 분리된 4개 군락의 교목층 신갈나무의 상대우점치는 80% 이상이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지역별 우점종이 동일하게 우점하였다. 현재 신갈나무는 교목층에 이어 아교목층에서도 확인되어지고 있어 외부요인이 없는 한 신갈나무우점군락이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온대림에 속하는 지역들이 자연림 상태에서 참나무류와 서어나무가 중심이 되는 주 임상을 이루는 데 이러한 특징을 고려해 볼 때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신갈나무우점군락은 우리나라의 온대 산림대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신갈나무군락은 대표적인 한반도 냉온대 낙엽활엽수림으로서 산지 상부의 기후극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극상림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같은 종의 수목이 각 층위별로 분포되어 있어야 지속적으로 교목층을 우점하여 극상림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 극상림은 신갈나무군락으로 사료된다.

居金島의 植生 (The Vegetation of Kokum Island)

  • Kim, Jong Hong;Seok Mo Chang;Ho Joon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7권3호
    • /
    • pp.132-157
    • /
    • 198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d the flora and vegetation of Kokum-do island from July 1982 thru December 1983; and the findings hereof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lora investigated thereform comprises 737 species whih are classified into 128 families, 466 genera, 651 species, 79 varieties and 7 formae; and those which are worthy of close attention among the same include such endemic species of Korea as Celtis choseniana, Corylopsis coreana, Carpinus tschonoskii var. eximia and Tricyrtis dilatata, and a few plants, to be distributed in the north, such as Lilium distichum, Girardinia cuspidata and Orostachys sikokianus. Now that the said island belongs to the warm temperate zone, the distribution thereof consists of 120 species of evergreen plants including 74 species of evergreen broadleaf trees. The rich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f trees in the island is thanks to the plantation thereof by the public organizations for scenic beauty. The destruction of flora in this island was caused by felling, fire nization and other human activities around 1940, and in particular, has been correlated with the population densiity of Yonhong-do, Sanghwa-do, and Hahwado islets; and that of top soil and ground vegetation in he quarry area of Ojon-ri town resulted from the collection of natural rocks an stones. It is evaluated as necessary that such evergreen broadleaf trees as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Machillus thunbergii and Ligustrum japonicum of Hyongje-do. Chun-do, Tok-do, Taech'wi-do, and Soch'wi-do islets, andPhyllostachys bambusoides, Caesalpinia japonica and Albizzia julibirssin of Kokum-do island, and Machillus thunbergii of Hongryon-ri town be under protection. The average DGN of the whole archipelago proves to be 5.84, which shows the tendency of the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resident population per unit area. The pteridophyta distributed in this island comprises 39 species, and the coefficient of cryptogam as to the destruction of vegetation shows a high value of 1.4 which is regarded as indicating the diversified distribution of pteridophyta, forestbed shade plants under the forestbeds of some wellpreserved lots of this island. The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this island, were found out comprising a total of 23 species, and the Urbanization Index(UI) as to the destruction degree of natural vegetatioin shows a low value of 20.9.

  • PDF

한국 상록활엽수림의 군집분류 (Syntaxonomy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Korea)

  • Kil, Bong-Seop;Kim, Jeong-Un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233-247
    • /
    • 1999
  •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의 식생인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에 대한 군집분류 체계의 수립을 시도하였다. 여러 저자들에 의한 399 식생조사 자료로 2개의 식물사회학적인 표를 작성하고 군단을 정리한 바, 한국의 상록활엽수림 식생은 현재 15개의 군집을 포함하는 3개의 군단으로 구분되었다. 즉, (1) 신칭 가시나무-잣밤나무군단(Querco-Castanopsion all. nov.)은 구실잣밤나무군집 (Castano-psietum sieboldii), 붉가시나무군집 (Quercetum acutae), 가시나무군집 (Quercetum myrsinaefoliae)과 까마귀쪽나무군집(Litseetum japonicae)등 4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지고 (2) 신칭 후박나무-동백나무군단 (Machilo-Camellion all. nov.)은 10개의 군집 즉, 후박나무군집 (Machiletum thunbergii), 돈나무군집 (Pittosporetum tobirae), 식나무군집 (Aucubetum japonicae), 참식나무군집 (Neolitsetum sericeae), 우묵사 스레피군집 (Euryetum emarginatae), 보리밥나무군집 (Elaeagnetum macrophyllae), 동백나무군집 (Camellietum japonicae), 차나무-동백 나무군집 (Theo-Camellietum japonicae), 다정큼나무군집 (Raphiolepietum umbellatae)과 굴거리군집 (Daphniphylletum macropodae)이 그것이다. 또 (3) 황칠나무-구실잣밤나무군단(Dendropanaco-Castanopsion sieboldii)은 하나의 군집인 좀비비추-구실잣밤나무군집(Hosto minoris-Castanopsietum sieboldii)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군단의 식물종조성, 생태학적 특성을 기술하고 그들의 분포를 나타내는 지도를 작성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