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struction of the Paleo-environment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at Seongjeong-dong, Cheonan-si, inferred from Pollen Analysis

천안 성정동 지역의 화분분석 결과를 통한 Pleistocene 후기 고환경복원

  • 김혜령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 황상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 이병철 (충청문화재연구원)
  • Received : 2012.01.22
  • Accepted : 2012.02.27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Paleo-environments such as vegetation and climate changes from the Last Glacial Maximum to the Holocene are reconstructed by the results of pollen analysis in the floodplain of Cheonan River, Seongjeong-dong, Cheonan-si, Chungnam Province. In the pollen zone I (approximately 23,000-15,000 yr BP), the area studied was covered by the extensive grassland with sparse wood. The climatic conditions were very cold, but it might not be so severe compared to the intermontane area in the Yeongnam area. This zone corresponds to the 'very cold' stage of Woldstedt(1962) and Yoon and Jo(1996). No pollen horizon(pollen zone II) deposited between approximately 15,000 and 10,000 yr BP corresponds to the transitional stage from the Last Glacial Maximum to the Holocene. The horizon consists of the dark gray brown sand deposits different from the other horizons dominated by the silty deposits and these sedimentary properties may be attributed to the dramatic climate changes between the very cold stage and warm stage. The pollen zone III formed between approximately 10,000 and 6,000 yr BP shows clearly different pollen compositions indicative of temperate climate conditions.

충남 천안시 성정동 지역의 천안천 충적평야 화분분석 결과를 통해 최종빙기 최성기부터 홀로세에 걸쳐 고식생 환경과 기후 변화를 중심으로 고환경을 복원하였다. 화분대 I (약 23,000-15,000 yr BP) 시기는 목본이 드물게 분포하는 소림(疏林)상태로서 초지가 넓게 펼쳐져 있었다. 기후는 한랭하였으나 영남 산간지역에 비해 심하지 않았으며, Woldstedt(1962)와 Yoon and Jo(1996)에 따르면 'very cold'에 대비된다. 화분대 II (약 15,000-10,000 yr BP)는 회갈색 모래층에 해당하는 무화분대로서 최종빙기 최성기에서 홀로세 사이의 점이기에 해당한다. 이 모래층은 실트가 포함된 토탄으로 이루어진 상, 하부 층준과 확연히 구분되는데, 이와 같은 특징은 대단히 한랭했던 시기에서 온난한 환경으로 전환되는 동안 급격한 기후 변화가 진행된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Holocene 전기에 대비되는 화분대 III (약 10,000-6,000 yr BP)의 화분조성에서는 기후가 뚜렷하게 온난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