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king Time and Distanc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6초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고려한 통합보행네트워크 통행배정모형 (A Pedestrian Network Assignment Model Considering Space Syntax)

  • 이미영;김종형;김은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7-49
    • /
    • 2015
  • Space Syntax에서 개별링크의 통합도가 크면 네트워크에서 접근이 편리함을 나타낸다. 보행자가 통합도가 높은 링크들의 연결성을 경험하도록 보행로를 설계하거나 집적도가 높은 토지이용을 유도하는 것이 타당하다. 보행자 통행배정모형은 보행수요(보행자)의 불편도(통행거리 및 시간) 등을 최소화하는 경로선택을 반영한다. 이는 보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실제 통행패턴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Space Syntax와 보행자 통행배정모형을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천시 부평역을 대상으로 통합모형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부평역 주변은 통합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나 보행전용구역인 역 북부지역은 상대적으로 통합도가 낮게 나타났다. 모형의 구조는 통합도가 높은 지역에 실제 이동수요를 반영하여 통합도가 적합하게 유지되는지 설명이 가능하다. 통합모형은 Space Syntax의 네트워크에 대한 가시거리를 나타내는 축선도와 건물과 도로로 구획된 링크를 결합하는 방식과 보행자 통행배정모형의 기종점의 유사경로를 파악하여 균일 배정하는 방안을 도입한다. 제안된 모형은 보행개선지역 및 사업의 사전/사후평가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Health-Promoting Behaviors, Health Literacy, and Levels of Knowledge about Smoking-Related Diseases among Smokers and Non-smokers: A Cross-Sectional Study

  • Celebi, Cihat;Calik-Kutukcu, Ebru;Saglam, Melda;Bozdemir-Ozel, Cemile;Inal-Ince, Deniz;Vardar-Yagli, Naciy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4권2호
    • /
    • pp.140-147
    • /
    • 2021
  • Background: For generations, cigarette smoking has presented an important public health concer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exercise capacity, physical activity level, health literacy, and knowledge level of smoking-related diseas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Methods: The study included 71 smokers (mean age, 32.69±8.55 years) and 72 non-smokers (mean age, 31.88±9.94 years)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years. Assessments included a 6-minute walking test (6MWT), Godi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HPLP-II), Cardiovascular Risk Factors Knowledge Level Scale (CARRF-KL), Asthma/COPD Awareness Questionnair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 questionnaire (WHOQoL-Bref [TR]), and Health Literacy Questionnaire (HLQ). Results: The results from the study show that the number of coronary artery disease risk factors measured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smoker group members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non-smoker group members (p=0.001). Smokers had significantly lower %6MWT distance than non-smokers (84.83±4.72 and 93.45±7.16, respectively;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mokers and non-smokers in terms of physical activity, CARRF-KL, HLQ, WHOQoL-Bref, and HPLP-II subscales or total scores (p>0.05). Additionally, while only forty-one smokers (57.7%) were active, 48 of the non-smoker group was active (66.7%). Conclusion: Smokers suffer greater negative effects to their exercise capacity in comparison to non-smokers. Although smokers and non-smokers have similar levels of health literacy and similar levels of knowledge about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obstructive lung diseases, health professionals could continue to further increase individuals' awareness of smoking-related risk factors and continu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for protecting cardiopulmonary health.

SP Data를 이용한 주차장선택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쇼핑통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rking Place Choice Behaviors Using Stated Preference Data (the case of shopping trips))

  • 정성용;윤용득;배영석;이재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3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주차정책의 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주차행동 변화를 예측하고, 나아가서 주차시설별 주차수요의 예측이 가능한 주차장 선택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운전자의 선호의식자료를 이용한 다항로짓과 네스티드로짓 주차장 선택모형을 추정하고, 모형에 대한 탄력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명변수로서는 성별 연령 등의 대안특유 사회경제적 변수와 주차장 탐색 및 입고시간, 목적지까지의 도보거리, 주차요금, 불법주차 단속횟수 등의 주차관련 특성변수를 적용하였다. 모형의 추정결과에 의하면, 각 설명변수에 대한 추정 파라메타의 부호는 논리적으로 타당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 역시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주차정책변수의 변화에 대한 모형의 탄력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주차비용의 탄력성이 가장 높았고, 주차시설 접근시간보다 목적지까지의 도보거리의 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차시설의 입고 편의성보다 주차시설과 목적지간의 근접성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주차시설은 목적지 주변에 소형주차장을 분산하여 공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주차정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도서관광 활성화를 위한 연안-내륙 연계교통체계 구축 방향 (Suggestions for Building Coast-Inland Linkage Transport System to Promote Island Tourism)

  • 최창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3-59
    • /
    • 2012
  • 자연경관이 우수한 도서지역을 찾는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민소득 수준과 여가시간의 증가로 장래 도서지역 관광객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관광객을 지원하는 관광교통의 측면에서 볼 때 연안여객터미널과 육상교통수단과의 연계교통 효율화는 매우 중요하지만 실상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는 연안여객터미널 위치가 육상교통수단의 터미널과 떨어져 있으며 이를 서로 연결해야 하는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의 지원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도서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연계교통체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시내버스를 중심으로 하는 연계교통체계의 구축과 보행거리의 최소화, 도서지역 관광특성에 맞도록 여객선 운항계획의 조정, 관광객의 운임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여객선의 대중교통화 방안, 교통수단간 시간적 공간적 연계 및 이를 통합교통정보로 제공하는 방안 등이다.

노력성 호흡운동에 의한 편마비환자의 보행 비대칭율 개선 (The improvement of gait asymmetry ratio for hemiplegic patients by forceful respiratory exercise)

  • 김병조;이현옥;안소윤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6권4호
    • /
    • pp.38-58
    • /
    • 2004
  • The regain of independent ambulatory ability is a important goal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 of hemiplegic patient. Not only the function of lower extremity muscles, but also trunk muscles which stabilize extremities and pelvis, are important factors in normal gait. Therefo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program which can improve muscle strength and symmetric activity of trunk mus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runk muscle strengthening by forceful respiratory exercise on the gait asymmetry ratio in hemiplegic patient. 45 Hemiplegic patients due to stroke was randomized in 3 groups, forceful expiratory training(FET), forceful inspiratory training(FIT) and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s, ordinary physical therapy with forceful expiratory training and forceful inspiratory training for 20 minutes duration 3 times per week for 6 weeks were respectively performed. In the control group, only ordinary physical therapy was done. Before and after experiments, temporal-spatial gait parameters was measured in all patients. The data of 28 patients who carried out the whole experimental course were statistically analysed.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 are as follows : 1. In comparison of difference of single support time asymmetry ratio among 3 groups, the FE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p<.05). 2. In comparison of difference of step length asymmetry ratio among 3 groups, the FI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p<.05).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forced respiratory exercise program for 6 weeks can be improve the gait asymmetry ratio in hemiplegic patients. Therefore, the forced respiratory exercise is useful to improve the walking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Since this study dealt only with the patients who could walk more than 3 meters in distance on floor independently, the further study for evaluating the influence of the forceful respiratory exercise on patients with acute stage stroke and also the development in various methods of use are expected.

  • PDF

Optical Method to Determine Gait Parameters Using Position Sensitive Detector

  • Jung, Gu-In;Kim, Ji-Sun;Lee, Tae-Hee;Choi, Ju-Hyeon;Oh, Han-Byeol;Kim, A-Hee;Goh, Bong-Jun;Kim, Jun-Sik;Lee, Eun-Suk;Jun, Jae-Hoo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5호
    • /
    • pp.2155-2161
    • /
    • 2015
  • This study suggests an optical method to measure cardinal of gait (step width,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with position sensitive detector (PSD). The effect of reflector’s shape (flat and cylinder) on the PSD output voltage was examin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suggested system to real situations with a curved shape reflector (e.g. shoes). Various mathematical models were evaluated to find the optimal equation for the distance measurement. Considering the effect of shape on detected signal, the inverse polynomial model was developed. The suggested method is simple to operate, low in cost, small in size, and can evaluate gait parameters in real time. This method is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and sport science

거주자우선주차구역내 공유주차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의식 분석 연구 (A Study on Parking User's Perception for Vitalizing the Shared Parking in Residential Priority Parking Areas)

  • 김희선;오승훈;강태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45-53
    • /
    • 2019
  •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대도시의 주차수요가 주차장 공급에 비해 급증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대도시 내 주차장 확보를 위한 공간은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으며 예산적인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현재 있는 주차장을 활용할 수 있는 공유주차제도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거주자우선주차구역을 중심으로 효율적으로 공유주차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실시결과, 출근/통학 및 업무 목적 통행이 가장 많이 있으며 주차 시 중요요소는 '주차요금', '주차 후 목적지까지 도보거리', '주차장 탐색시간' 순서였으며, 공유주차에 긍정적으로 반응을 보인 응답자가 약 46 %를 차지하였다. 잠재이용의사를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수량화II류 분석한 결과, 주차요금을 10분당 500원 이하이며 탐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3-6분 정도 소요되도록 정책을 시행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전교차로에서 대각선횡단보도 설치에 따른 차량의 지체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Vehicular Delay Caused by Scrambled Crosswalk Installation in a Roundabout)

  • 강성인;이영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8-2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회전교차로를 대상으로 현재의 횡단보도 설계기준에서 벗어나 보행자의 편의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각선횡단보도 설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각선횡단보도의 설치는 보행자 편의증진에는 도움이 되지만 차량 통행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전교차로에 대각선횡단보도를 설치하였을 때 차량의 지체시간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합리적인 설치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교차로의 기하구조와 다양한 교통특성 등을 반영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회전교차로에 대각선횡단보도를 설치할 경우 포화도, 보행자수 증가에 따라 차량의 지체시간이 증가하지만 증가율은 경우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포화도 0.6이하에서는 보행자수에 관계없이 대각선횡단보도의 설치에 따른 영향이 미소하였으며 보행자수 300인/시 이하에서는 포화도에 관계없이 지체시간의 차이가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전교차로의 내접원 지름이 커짐에 따라 포화도와 보행자수의 증가에 따른 차량 지체시간의 차이가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내외 $NO_2$농도 및 $NO_2$개인폭로량과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지역 주택 및 주부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Indoor-Outdoor $NO_2$ Levels and Personal Exposures to $NO_2$ with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NO_2$ Concentrations - Centering on Urban Homes and Housewives -)

  • 전진호;이채언;김준연;정요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1호
    • /
    • pp.132-151
    • /
    • 198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ontrol program for preventing unfavorable health effects of nitrogen dioxide($NO_2$) exposure in homes by preparing the fundamental data for evalu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NO_2$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through measurements of indoor-outdoor $NO_2$ levels and personal $NO_2$ exposures for housewives with questionnaire survey on 172 homes in Pusan area from April to June, 1987 $NO_2$ measurements were made by using diffusion tube samplers(Palmes tube $NO_2$ sampler) for one week at 4 sites in homes ; kitchen(KIT), bedroom(BED), living room(LIV), outdoor(OUT) and near the collar of housewives(personal exposure livel, PNO). The details of questionnaire were number of household members(FAM), number of regular smokers (SMOKER), daily number of meals eaten(MEAL), type of housing units(HOUSE), location of house with distance from the heavy traffic roads as walking time(DIST), and of kitchen(KAREA), kind of cooking fuels(FUEL), cooking time of each meal(CTIME), usage of kitchen fan for cooking(FAN), type of heating facilities(HEAT) and so on of subject home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ellows : 1) The mean $NO_2$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at indoors than outdoors(p<0.01) and the kitchen $NO_2$ level was the highest with $33.7{\pm}13.6ppb$(9.5-81.5ppb). The mean personal exposure level of $NO_2$ for housewives was $20.6{\pm}8.8ppb$(3.1-46.9ppb). 2) The mean indoor $NO_2$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household members above 5 than below 4(p<0.05), in detached dwellings than apartments(p<0.001), within 5 minutes of distance than over 5 minutes(p<0.001), in the group of unusing fan(p<0.001), in the group of longer cooking time(p<0.001), and it was in order of coal briquette, gas, electricity and oil by kind of cooking fuels(p<0.05). 3)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p<0.001) with indoor $NO_2$ level were kitchen $NO_2$ level(r=0.8677), cooking time(r=0.5921), outdoor $NO_2$ level(r=0.5192), personal $NO_2$ exposure level(r=0.4615), usage of kitchen fan(r=0.3573) and location of house(r=-0.2988) 4)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 to the kitchen $NO_2$ level was cooking time[KIT=$-0.378{\pm}11.772$(CTIME)+0.298(OUT)+3.102(FAN)], it was kitchen $NO_2$ level to the indoor $NO_2$ level[IND=6.996+0.458(KIT)+0.230(OUT)-1.127(KAREA)], and it was indoor $NO_2$ level to the personal $NO_2$ exposure level[PNO=15.562+0.729(IND)-4.542(DIST)-0.200(KIT)] 5) It was recognized that aritificial ventilation in the kitchen, suppression of unnecessary combustion and replacement of cooking fuel, as much as possible, were effective means for decreasing indoor $NO_2$ levels in homes.

  • PDF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과 운동기능을 위한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BIG(LSVT-BIG) 프로그램의 임상적용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BIG (LSVT-BIG) Program for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Motor Functions of Stroke Patients)

  • 정선아;홍덕기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3호
    • /
    • pp.63-75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BIG(LSVT-BIG)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과 운동기능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고 임상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LSVT-BIG 프로그램을 4주 동안 주 4일, 회당 1시간,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OPM), Berg 균형 척도(BBS), Time Up and Go(TUG), 기능적 뻗기 검사(FRT),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MF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중재 전·후의 점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 대상자 2명 모두 중재 전·후로 작업수행의 수행도 및 만족도는 증가하였다. TUG의 수행시간은 대상자마다 각 0.91, 8.42초로 감소하여 보행 속도가 증가하였다. FRT 거리변화에서 대상자는 환측과 건측 모두에서 증가를 보였고, BBS 점수는 대상자마다 각 3점, 6점 증가하였다. 또한 MFT 점수에서 대상자 A는 건측에서만 1점 향상을 보였고, 대상자 B는 건측에서 1점, 환측에서 3점 향상된 점수를 보였다. 결론 : LSVT-BIG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새로운 중재기법으로써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LSVT-BIG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